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흔히들 '작품을 만든다'고 말하지만, <캐리>, <샤이닝> 등을 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스티븐 킹에 따르면 작품은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발굴하는 것'이다. 그의 창작론을 담은 책 <유혹하는 글쓰기>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나는 소설이란 땅 속의 화석처럼 발굴되는 것이라고 믿는다. 소설은 이미 존재하고 있으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어떤 세계의 유물이다. 작가가 해야할 일은 자기 연장통 속의 연장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유물을 최대한 온전하게 발굴하는 것이다." (p.169) 

 

 

어린 시절 병약했던 그는 친구들이 밖에서 뛰어놀 때 병원 침대에 누워 (그의 말을 빌리자면) '대충 6톤쯤 되는 만화책을 읽어치웠고', 이어서 각종 소설을 섭렵했으며, 그것도 모자라 필사와 모작의 단계를 거쳐 초등학교 2학년이 되기도 전에 소설 네 편을 완성했다. 소년 킹의 창작열은 도통 식지를 않았다. 학교 수업 시간에 쓰고, 방과후에 쓰고, 직장에서 쓰고, 집에서 썼다. 그 중 수백 편을 신문이나 잡지사에 투고했고 대부분 거절당했지만 그래도 계속 썼다. 그러기를 십여 년. <캐리>로 데뷔했을 때 그의 나이 고작 스물일곱 살이었지만,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쓰기 시작한 걸 감안하면 18년 차가 되던 해에 처음으로 세상의 빛을 본 셈이다. 모두가 전설 속에나 존재하는 줄로 믿었던 트로이 유적을 발굴하는 데 평생을 바친 하인리히 슐리만처럼, 스티븐 킹 역시 현존하는 소설보다 위대한 소설이 세상 어딘가에 묻혀 있다고 믿고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 '유물'의 주인이 된 것이다. 글쓰고 책 읽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나만 찾을 수 있는 유물, 내가 찾아야 할 유물은 무엇일까? 심각하게 고민해 봐야겠다.

 

 

창작만이 아니라, 모두가 앞만 보고 위로만 향하는 시대에 아래로 아래로 땅을 파며 자신만의 보물을 발굴하는 데 몰두하기란 쉽지 않다. 그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이 문장에 힌트가 나온다. "궁극적으로 글쓰기란 작품을 읽는 이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아울러 작가 자신의 삶도 풍요롭게 해준다. 글쓰기의 목적은 살아남고 이겨내고 일어서는 것이다. 행복해지는 것이다. (중략) 글쓰기는 마술과 같다. 창조적인 예술이 모두 그렇듯이, 생명수와도 같다. 이 물은 공짜다. 그러니 마음껏 마셔도 좋다." (p.334) 마술사의 묘기를 본 어린 아이가 트릭이 뭘까 궁금해 하는 것처럼, 그는 좋은 글을 보면 어떻게 썼는지 연구하고 모방하고 반복했다. 자신의 눈을 매혹한 것, 자신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에 기꺼이 보답한 것이다. 생각해보니 독자로서 무수히 많은 책을 읽으며 울고 웃고 즐거워했던 것 또한 내가 받은 사랑이었다. 그 사랑에 보답하고 싶다는 마음이야말로 글쓰기의 원동력이며 평생을 책 가까이에 있겠다고 다짐하는 가장 강력한 이유가 아닐런지. 20대에 셀 수 없이 많은 책에 사랑받아 행복했으니, 다가오는 30대에는 그 사랑에 보답할 수 있는 내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강요다 2014-12-17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좋죠. 후기도 잘 보았습니다.

키치 2014-12-18 11:32   좋아요 0 | URL
벼르고 벼르다 드디어 읽었는데 역시 좋네요.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