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콰이어트]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콰이어트 Quiet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수전 케인 지음, 김우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도 하는지 모르겠는데, 라디오 광고 중에 '친구 좋아하는 외향적인 성격'이라는 멘트가 있었다. 나는 이 광고 문구가 너무 이상했다. 아니, 친구를 좋아하는 게 외향적인 성격만의 특성일까? 내향적인 사람은 친구를 싫어하나?

 

이렇게 말해도, 한 때는 나도 내향적인 성격에 대한 오해가 있었다. 내가 바로 내향적인 성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부러 <내성적인 사람이 성공한다> 같은 내향성에 관한 책을 찾아 읽기도 하고, 심리나 성격에 관한 공부를 하면서 내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다.

 

<콰이어트>의 저자도 나와 비슷한 사람인 것 같다. 하버드 법대 출신에, 경쟁이 치열한 변호사 생활을 하면서 무던히도 남들에게 시달리고, 괴로웠던 그녀는 자신의 내향적인 성격이 변호사라는 직업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리고 그 후로는 내향적인 성격에 관한 연구에 착수, 현재는 작가이자 컨설턴트, 카운셀러 등으로 활동하며 내향적인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일을 하고 있다.

 

이 책 <콰이어트>는 그런 그녀의 연구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1장 '외향성이 롤모델인 세상'에서 저자는 외향적인 성격만 권유하는 사회를 꼬집는다. 통계적으로 봤을 때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의 비율은 약 3:1, 크게는 2:1 정도라고 한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산업화, 자본주의화가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인격보다 성격'을 강조하는 문화가 만연하게 되었다. 말 없고 점잖은 '신사'보다 자기 표현을 잘 하고 활달한 '세일즈맨'을 선호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속성상 상대적으로 말이 없고 차분한 내향적인 성격보다 외향적인 성격을 사회적으로 권장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자기계발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데일 카네기. 부를 쌓고 사회적인 명성을 얻기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라는 그의 조언은 막 태동한 자본주의 사회 문화에 적합했다. 이후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비롯한 유수의 리더십스쿨에 그의 사상(?)과 철학이 전파되며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고착되었다.

 

그렇다면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은 타고나는 것일까, 만들어지는 것일까? 2장에서 저자는 '유전 VS 환경' 논쟁을 다뤘다. 연구 결과 저자가 내린 결론은 절대적인 요인은 없다는 것. 오히려 칼 융이 제시한 외향성, 내향성에 관한 정의가 옳은 것인지, 근원적인 의문을 품게 된다. 저자의 연구에 따르면 내향적인 성격은 알려진대로 '말이 없고, 차분한' 등등의 고정된 특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자극에 남들보다 더 민감한 것뿐이다. 때때로 내향적인 성격인 사람이 자신이 좋아하는 화제가 나오거나 좋아하는 일에는 활달하게 열정적으로 매달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내가 그렇다), 이렇게 봤을 때 문제는 그 사람의 성격이 아니라 외부의 자극, 더 정확히는 외부의 자극에 대한 대응 정도라고 보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이를 입증하는 예로 엘리너 루스벨트, 워런 버핏, 마하트마 간디, 찰스 다윈 등 내향적인 성격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자기 분야에 대한 뛰어난 감각과 열정으로 세상을 바꾼 사람들을 소개했다. 특히 엘리너 루스벨트에 대한 부분이 참 마음에 와닿고 본받고 싶었다.

 

이어진 3장에서 저자는 외향적인 성격과 내향적인 성격에 대한 관점이 문화마다 다르다는 점을 소개했다. 미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유독 외향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을 사회적으로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신대륙 발견, 카우보이, 뉴 프론티어, 우주 개발' 같은 정치적인 이슈부터 '슈퍼맨, 원더우먼' 같은 문화적 이슈만 봐도 그런 것 같다. 반면, 저자의 관찰에 따르면,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은 윗사람 앞에 겸손하고 침묵과 절제를 권장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 비하면 그렇다고도 볼 수 있지만, 아시아 사람으로서 100% 공감이 되지는 않았다. 이웃나라들만 봐도 중국 사람은 활발하고 목소리가 크다는 이미지가 있는 반면, 일본 사람은 절제하고 배려하는 이미지가 있다. 우리나라 하면 정이 많아서 다른 사람 일에도 신경을 많이 쓰고, 화끈하고 끈기가 있다는 이미지가 있다. 게다가 서구 문화와 자본주의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도 이제 외향적인 성격을 더욱 권장하는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저자가 이 부분에 대해서도 지적해 주었다면 더욱 완벽한 연구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내향적인 성격을 스스로 받아들이고 외향적인 성격을 권유하는 세상과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내향적인 성격이라고 해서 방 안에 틀어박혀 대인과의 접촉을 피하며 살 수만도 없지만, 억지로 고칠 필요도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몇 가지를 간략하게 소개해 보자면, 회사나 모임 같은 곳에서 홀로 조용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억지로 다른 사람을 만난 횟수만큼 혼자서 조용히 지낼 수 있는 시간을 보상으로 마련할 것, 그리고 직업을 선택할 때는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말고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분야를 공들여 고르는 것 등등이 있다. 내향적인 사람으로서 사회 활동을 하면서 꼭 필요한 팁을 얻은 것 같아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