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퍼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전략 퍼즐 - 비즈니스 스쿨에서 배울 수 없는 것은 무엇일까
제이 B. 바니 & 트리시 고먼 클리포드 지음, 홍지수 옮김 / 부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처음 이 책 제목만 봤을 때는 어떤 내용일지 감이 안 왔다.
'전략'이라는 말이 들어있는 것을 보면 경제보다는 경영전략에 관한 책일 것 같은데 '퍼즐'은 뭘까?
그런데 책 소개를 읽어보니 소설이란다.
이제까지 전문 분야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풀어쓴 책을 여러 차례 읽어보았지만 경영소설은 처음이었다.
재미있을까? 경영에 대해 잘 몰라도 이해할 수 있을까? 기대를 품고 바로 읽어보았다.
주인공 저스틴은 MBA 졸업 후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전략 컨설팅을 하는 회사에 갓 취업한 사회 초년생.
그는 MBA의 '빡센' 교육과정을 이수한만큼 회사로부터 어떤 임무가 주어져도 해낼 자신이 있었다.
특히 '사례 뽀개기'는 학교에서 여러번 해본터라 누구보다도 잘 해낼 수 있다고 믿었다.
그에게 부여된 첫 업무는 HGS라는 회사에서 개발한 신기술 '플라스티웨어'의 시장 전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토록 자신있어하던 '사례 뽀개기' 기술(?)을 발휘할 수 있는 업무라는 생각에 의욕이 앞섰다.
그러나 막상 업무를 시작해보니 MBA 학위가 무색해질만큼 실수 연발.
업무 파악도 제대로 못하고, 팀원들과 협동도 잘 못해서 상사에게 깨지기 일쑤였다.
다행히도 유능한 상사와 팀원들이 조언을 해주고 도와준 덕분에 맡은 업무를 하나씩 하나씩 처리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 그가 깨달은 것은 학교에서 배운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
MBA 시절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했지만 실전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뭐든 혼자서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팀원들과 협동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는 것도 배웠다.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협업하기... 사실 그리 획기적이고 새로운 교훈은 아니다.
하지만 학교를 떠나 사회 생활을 처음 하는 사회초년생들, 특히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일수록
이런 교훈을 잊고, 이론과 실전의 차이라는 벽 앞에서 좌절하고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 배운 것을 실전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
그것이 돈을 내며 배우는 학생과 돈을 벌면서 배우는 직업인, 전문가의 차이점이 아닐까?
그리고 또다른 차이는 바로 '핵심역량'이다.
"기업의 핵심역량은
(1)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2) 경쟁사들 사이에서 찾기 힘든 역량이며,
(3) 경쟁사들이 모방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드는 기업 활동이다"
뭔가가 빠졌다는 느낌이 들긴 했지만 그래도 방향을 제대로 잡았다!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었다. 이제 핵심역량이라는 말은 나에게 더 이상 구호에 그치지 않았다.
VRIO는 더 이상 강의 내용에 머무르지 않는, 현실 세계의 전략을 점검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였다. (p.145)
이 책에는 '핵심역량'이라는 단어가 여러번 등장한다.
저스틴이 말했듯이 기업, 경영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 학부에서도 자주 쓰이는 말이라고 한다.
책에 나온 정의에 따르면, 핵심역량이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고,
경쟁력이 있고,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가치를 일컫는데,
이는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으로서도 갖추어야 할 덕목이 아닌가 싶다.
저스틴은 앞으로 팀원에게 의지하지 않아도 혼자서 급료에 걸맞는 성과를 낼만한 인재가 되어야 하고,
비벡처럼 자기만의 전문성도 가져야 한다.
그리고 파트너십이나 비전처럼 남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장기적인 가치를 가지는 것도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첫 업무에서 그랬던 것처럼 계속 시행착오를 겪고,
상사의 전화를 받을 때마다 해고를 당하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을 떨치지 못할 것이다.
남보다 조금 뛰어난 MBA 졸업생에서 그 누구로도 대체할 수 없는 인재가 되는 것.
그것이 앞으로 저스틴이 풀어야 할 과제다.
그렇다면 과연 나의 핵심역량은 무엇일까?
무엇이 부족해서 돈을 내면서 배우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일까?
무엇을 갖추면 핵심역량을 가진 인재가 될 수 있을까?
이것은 앞으로 내가 풀어야 할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