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귀한 눈이 오신 날, 그냥 보낼 수는 없다. 눈한테 미안하지 않기 위해 언 손 비비며 마음을 담았다. 약간은 피뚤어지고 어색하고 모양에 어설픈 미소가 딱 나 닮은 꼴이다.

겨울맞이하는 마음에 제 할일은 마친듯 홀가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굴 붉어짐을 스스로 경계하여 용납하지 않았지만 때론 그런날이 필요함까지 부정하지는 않는다. 어쩌면 속내는 그 붉어짐을 부르지만 애써 멀리하는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년 중 행사처럼 얼굴이 붉어진 날이다.

살다보면 그런날 있듯 오늘 저녁노을처럼 딱 닮은 내 모습이다. 낯설지만 느긋해지는 마음이 불편하지는 않다. 

간혹, 오늘 저녁노을처럼 붉어져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若將除去無非草 약장제거무비초
好取看來總是花 호취간래총시화

베어버리자니 풀 아닌 게 없지만
두고 보자니 모두가 꽃이더라


*송대의 유학자이자 사상가인 주자朱子의 글이다.

제 눈에 안경이고 내 안에 담긴 색으로 세상이 보인다고 한다. 그러니 무엇 하나라도 내 마음 먹기에 따라 달리 다가오기 마련이다. 특별한 조건이 아닌 이상 애써 부정적인 시각으로 자신 스스로를 아프게 하지는 말아야 한다.


무엇보다 우선, 나 스스로가 나를 따뜻한 가슴으로 품자.

사소한 말 한마디라도 놓치지 않고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내게로 왔다. 신 맛과는 멀리하고 되도록이면 맛보기도 싫어한다고 했더니 달콤함이 가득한 차를 나눠준다. 어찌 고맙지 않을까. 겨울 한복판에서 아침 저녁 그 고마운 마음을 마신다.


"베어버리자니 풀 아닌 게 없지만
두고 보자니 모두가 꽃이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접근은 거부하지만 밖은 봐야 한다. 이 모순이 만들어낸 틈이 있어 숨을 쉴 수 있다. 산을 올라 돌을 쌓고 스스로를 가두어 살 수 있는 시공간을 확보하는 일이지만 완벽한 단절은 아니다.


바람끝이 사나운 겨울날이다. 겨울바람 특유의 매운맛을 흉내는 내지만 아직은 그 맛은 덜하다. 이제야 비로소 겨울답다. 바람이 부니 무거운 구름이 자리를 비켜주고 그 틈에 햇볕은 얼굴을 내밀고 마알간 하늘이 웃는다.


사람도 다르지 않다. 사람이 속한 사회적 관계나 그 관계를 이어가는 스스로가 자신과 상대를 위해 틈을 만들고 그 틈을 유지시켜 줘야 한다.


어디에도 틈은 있고 또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흐리고 비오던 비가 멈추었다. 구름 사이로 붉은 속내를 가진 햇살이 스며든다. 겨울이 시피봤다고 성깔을 드러내려는지 바람끝이 사납다.

구름 속 피어나는 밝음으로 오늘 하루 그대의 가슴이 온기로 가득하길 소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