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촌의 춘곡(春谷) 고희동(高羲東) 가옥을 찾은 것은 지난 6월 15일. 당시 나는 춘곡의 주선으로 전형필 선생이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난 대목을 떠올렸다.

춘곡에게 전형필은 제자였는데 내가 간송 전형필 선생이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난 대목을 떠올렸다고 하지 않고 전형필 선생이 위창 오세창 선생을 만난 대목을 떠올렸다고 말한 것은 그때까지 전형필 선생에게 옥정연재(玉井硏齋)라는 재호(齋號: 당호堂號의 다른 말)는 있었지만 아호(雅號)는 없었기에 그렇다.(옥정연재는 우물에서 퍼올린 구슬 같은 맑은 물로 먹을 갈아서 글씨를 쓰는 집이라는 의미.)

추사의 제자이자 역관(譯官: 역관은 통역관을 말하는데 나는 왜 자꾸 역관易官을 떠올리는지...)이었던 오경석의 아들인 오세창 선생은 두루마기를 입은 젊은 전형필을 보고 깊은 산 속에서 흐르는 물<간(澗)>과 같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부친 오경석의 스승인 추사가 그의 다른 제자인 역관 이상적(李尙迪)에게 세한도(歲寒圖)를 주며 인용한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는 뜻의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라는 문구에 나오는 송(松)을 넣어 간송이라는 아호를 전형필 선생에게 지어 주었다.

선불교에서 법통을 계승하는 것을 연상하게 하는 아름다운 장면이다.

당시 오세창 선생이 전형필 선생에게 아호를 지어준 것은 선생이 전형필 선생으로부터 부친인 오경석의 탁본을 선물받았기 때문이다.(오경석이 인장을 해 중국 금석학자들에게 보낸 탁본을 전형필 선생이 입수해 선물한 것.)

내일 전형필 가옥을 간다. 단아하고 소박한 집을 보며 간송 선생의 인품과 헌신적 노력을 되새길 것이다.(폭염이 누그러져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직도 나를 실제 나이보다 열 살 정도 젊게 평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나는 그런 사실을 좋아하기보다 실제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경우 건강도 좋은가, 하는 궁금증을 갖는다.

젊게 보이는 사람들이 건강도 좋다고 하지만 예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내가 그 예외의 한 사람이다.

염색을 잘 하지 않는 내가 할 필요를 느끼는 것은 다음 주 월요일 듣기로 한 강의가 책쓰기 강의이기 때문이다.

책쓰기는 글쓰기와 다르다는 또는 책쓰기는 글쓰기가 아니라는 말의 진정한 뜻을 다음 주 월요일 강의에서 확인하게 될 것이다.

달리 말해 어떻게 나만의 문제의식을 갖고 그에 맞춰 자료를 수집하며 목차는 어떻게 구성하며 긴 호흡으로 글을 쓰는지 등을 배우는 시간이 될 것이다.

어떻든 강사나 다른 수강자들이 나를 보고 이제껏 책 한 권 쓰지 못하고 뭐 했는가, 하는 생각을 하지는 않겠지만 어쩔 수 없이 위축이 된다.

사실 책쓰기 강의를 듣는 것처럼 자신의 이력을 의식하게 하는 것 즉 나이 들어 하기 어려운 것이 점을 보거나 사주를 보는 것이다.

불혹이 없다고 하지만 굳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스스로 삶의 길을 찾는 것이 아닐까 싶다.

다른 사람에게 삶의 길을 묻거나 의뢰하는 것 자체가 불혹에 이르지 못한 또는 천명을 알지 못함을 증거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어린 아이들에게도 물을 수 있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지만 그렇더라도 제 힘으로 충분히 애쓴 후에 하는 것이 관건이다.

내 나이와 같은 때에 또는 한 살 많은 나이에 등단한 시인이나 70세가 넘어 첫 장편 소설을 쓴 분, 그리고 유명 교수이지만 내 나이보다 한 살 많은 나이에 첫 책을 쓴 분 등을 보며 희망을 갖는다.

물론 나는 그 분들이 완성도 높은 시/ 장편 소설/ 책 등을 쓰기 위해 나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치열하게 살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그분들이 내 나이까지 결과를 내지 못한 표면만 보고 나와 그 분들이 걸은 삶의 과정까지 같거나 비슷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각자 길이 다르고 소명이 다르고 몫이 다르다고 생각할 뿐이다.(내 영원한 문제 거리인 위장이 요즘 주목할 만하게 좋아져 이런 글이라도 쓰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시 이야기도 계급적 – 맞는 표현인지 모르지만 – 으로 접근할 수 있고 흥미 위주로 접근할 수 있다.

가난한 사람들은 녹지(綠地)가 주는 혜택에서조차 소외된다는 기사와, 폭염은 자연재해가 아닌 사회비극이라는 주장을 하는 책(뉴욕대 사회학과 교수 에릭 클라이넨버그의 ‘폭염사회’)을 읽으며 격하게 공감한 것과 별개로 유현준 교수의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으며 흥미를 느꼈다.

저자에 의하면 유럽의 도시들은 자동차가 만들어지기 이전에 만들어진 까닭에 사람보다 조금 더 빠른 마차의 속도에 맞춰 거리가 만들어져 (자동차에 맞게 도시가 만들어진 미국의 도시들에 비해) 도시의 도로망이 짧은 단위로 나누어짐으로써 사람들에게 거리의 다양성과 도로의 공간감을 더 잘 체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물론 흥미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에릭 클라이넨버그는 1995년 7월 기온이 섭씨 41도까지 올라 일주일간 700여명이 사망한 시카고를 예로 들며 그것은 자연재해가 아니라 정치, 사회적 실패라고 규정한다.

700여명의 대부분은 노인, 빈곤층, 고립된 사람들이었다. ‘폭염사회’는 의미가 깊은 만큼 시선을 잡아끄는 흡인력도 대단한 놀라운 책이다.
자꾸 우리의 현실을 비춰보게 한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책이기도 하다.

지금 폭염을 겪는 현실보다 한번 상승한 온도는 되돌려지지 않는다는 말이 더 힘을 빠지게 하는 이때 클라이넨버그의 책이 중요한 사람들에게 꼭 읽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정조(正租) 교양학과가 있다는 사실을 안 것은 지난 해 1화성(華城), 정조와 다산의 꿈이 어우러진 대동의 도시란 책을 통해서였다. 이 책의 저자인 김준혁 교수가 한신대 정조(正租) 교양학과 교수이다.

 

한신대에 언제부터 이 과가 생겼는지 알지 못한다. 단 김 교수가 2014년부터 재직했다니 정조의 호위부대인 장용영(壯勇營) 연구로 박사가 된 김 교수와 더불어 과가 생겼으리라 생각된다.

 

김준혁 교수가 진행하는 동작(銅雀) 도서관에서의 정조의 능행길을 따라 가다란 프로그램을 신청했다. 829일부터 928일까지 6회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에는 한 차례(921)의 수원 화성 및 융건릉(隆健陵) 탐방 순서도 포함되어 있다.

 

동기들 톡방에 프로그램 소식을 알렸더니 무려 세 사람이 신청했다. 정조의 인기를 실감했다. 이틀만에 신청(30)이 마감(에버러닝)된 것도 그렇다.

 

비교의 대상이 될지 모르겠으나 대학원에 진학하면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사를 전공하는 것이 당연시되던 시절 혼자 정조를 연구해보겠다고 해 이단아 취급을 받았던 김준혁 교수를 생각하면 격세지감이 있다.

 

당시 일반에서 정조는 어떤 존재로 여겨졌을까? 정조와 그 이후 시기를 총체적으로 알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미니즘 영화인문학 산책!(페미니즘과 영화와 인문학과 산책이라는 선호하는 네 개념이 다 들어 있는)..가보고 싶은데 슬프게도 멀고 먼 전남 광주에서 열리네요..(8월 28일 - 9월 12일) ㅜㅜ 이화경 작가가 설명과 함께 감상하게 되는 영화 ‘실비아‘의 주인공인 시인 실비아 플라스(Sylvia Plath: 1932 - 1963)의 말을 음미하는 것으로 아쉬움을 달랠 수밖에요..

‘나에게 언제나 착하고 친절하고 사랑스러운 사람이 되기를 기대하지 마시길..나에게도 냉정하고 생각없고(부주의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있으니 말이예요‘라는..

일찍 죽은 아버지를 평생 그리워 하며 격렬한 죽음 충동에 시달리는 한편 죽음 너머에서까지 자신을 지배, 조종하는 폭력적 아버지로부터 해방되기를 간절히 원한(김승희 지음 ‘남자들은 모른다‘ 38 페이지) 시인 실비아 플라스.

이화경 작가는 ‘버지니아 울프와 밤을 새다‘에서 ˝여자로 태어난 게 나의 끔찍스러운 비극˝이라는 실비아의 통곡을 여자로 태어난 것, 조선에서 태어난 것, 하필 김성립의 아내가 된 것을 세 가지 한이라 말한 허난설헌과 함께 논합니다.

마포의 한국영상자료원에 가서 ‘실비아‘를 감상하고 와야겠습니다.

˝과대망상적인 욕망과 수동적이고 쓸모 없는 존재라는 느낌 사이에서 분열˝(‘버지니아 울프와 밤을 새다‘ 91 페이지)된 실비아를 보아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