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나를 실제 나이보다 열 살 정도 젊게 평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나는 그런 사실을 좋아하기보다 실제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경우 건강도 좋은가, 하는 궁금증을 갖는다.

젊게 보이는 사람들이 건강도 좋다고 하지만 예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내가 그 예외의 한 사람이다.

염색을 잘 하지 않는 내가 할 필요를 느끼는 것은 다음 주 월요일 듣기로 한 강의가 책쓰기 강의이기 때문이다.

책쓰기는 글쓰기와 다르다는 또는 책쓰기는 글쓰기가 아니라는 말의 진정한 뜻을 다음 주 월요일 강의에서 확인하게 될 것이다.

달리 말해 어떻게 나만의 문제의식을 갖고 그에 맞춰 자료를 수집하며 목차는 어떻게 구성하며 긴 호흡으로 글을 쓰는지 등을 배우는 시간이 될 것이다.

어떻든 강사나 다른 수강자들이 나를 보고 이제껏 책 한 권 쓰지 못하고 뭐 했는가, 하는 생각을 하지는 않겠지만 어쩔 수 없이 위축이 된다.

사실 책쓰기 강의를 듣는 것처럼 자신의 이력을 의식하게 하는 것 즉 나이 들어 하기 어려운 것이 점을 보거나 사주를 보는 것이다.

불혹이 없다고 하지만 굳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스스로 삶의 길을 찾는 것이 아닐까 싶다.

다른 사람에게 삶의 길을 묻거나 의뢰하는 것 자체가 불혹에 이르지 못한 또는 천명을 알지 못함을 증거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어린 아이들에게도 물을 수 있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지만 그렇더라도 제 힘으로 충분히 애쓴 후에 하는 것이 관건이다.

내 나이와 같은 때에 또는 한 살 많은 나이에 등단한 시인이나 70세가 넘어 첫 장편 소설을 쓴 분, 그리고 유명 교수이지만 내 나이보다 한 살 많은 나이에 첫 책을 쓴 분 등을 보며 희망을 갖는다.

물론 나는 그 분들이 완성도 높은 시/ 장편 소설/ 책 등을 쓰기 위해 나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치열하게 살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나는 그분들이 내 나이까지 결과를 내지 못한 표면만 보고 나와 그 분들이 걸은 삶의 과정까지 같거나 비슷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각자 길이 다르고 소명이 다르고 몫이 다르다고 생각할 뿐이다.(내 영원한 문제 거리인 위장이 요즘 주목할 만하게 좋아져 이런 글이라도 쓰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