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쟁탈전 - 지도를 바꿔 버린 유럽의 식민지 전쟁 illustoria 3
기획집단 MOIM 지음, 2DA 그림 / 그림씨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세계 무대에 다시금 존재감을 드러내는 아프리카 대륙의 역사를 아주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우리 사회의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이 매우 협소하기에, 얇고 간단하지만 역사 개론서로서 충분하다. 특히 서구 열강이 아프리카에 미친 범죄적인 악영향을 명확히 짚는다. 이미지들이 내용 설명에 적확하게 쓰였다. (다만 경제적으로 어려울지라도 현대화로 나아가는 아프리카의 요즘-또는 현대사-이 너무 경시된 느낌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피스 106 - 천재의 꿈
오다 에이치로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어5 등장 이후로 막판 스퍼트가 제대로 붙었다. 특히 1066화, 1069화는 명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셔블 셔울 서울 - 역사, 풍경, 시민을 위한 도시 건축 이야기
전상현 지음 / 시대의창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긴 역사 속에서 나름의 존재를 분명히 해온 도시 ‘서울’의 역사적 변천, 특히 조선 시대 이후 도심(수도)으로 기능하면서 쌓여온 역사적 ‘풍경’에 주목하여 이를 현재적으로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를 건축 전문가이자 시민 운동가의 관점에서 살피고 있다. 일제강점기, 독재 정권 시기, 1990년대 이후 세계화 전면화 시기 등을 거치면서 크게 훼손된 ‘우리식’ 도시 양식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현대적 재생을 꿈꾼다는 점에서 이채로운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
강덕상 지음, 김동수.박수철 옮김 / 역사비평사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재일사학자 故 강덕상 교수의 역작. 지금도 일본의 국가 책임 및 그 진상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은(그래서 굴욕적이고 기형적인 것으로 평가받는 1965년의 ‘한일 협정’에서 전혀 다뤄지지 않은) 관동대지진 시기 조선인 학살에 대해 아주 촘촘하게 추적한 역사서이자 사회정치 도서이다. 자연 재해 시기 ‘우발적인 충돌로 수백 명의 조선인 희생자를 발생시킨 안타까운 사건’이라는 일본의 공식 입장이 얼마나 기만적이고 흉악한 것인지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
무엇보다도 학살의 시발점이 된 ‘조선인이 소요를 일으킨다’는 거짓 정보의 근원지이자 유포자가 정부 기관들이었으며, ‘언제나 소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조선인에 대한 박해와 학살을 시작한 것도 군경이었고, 재해 시기 재향군인회와 청년단 등의 자경단을 적극 조직하고 통제한 것이 국가였으며, 1차 대학살 이후 살아남은 조선인들을 ‘전쟁 포로’ 취급하며 체포하여 수용소에 모아놓고 취조하며 또 다시 학살하였다. 일본의 통계에 의하면 233명이 사망했지만, 당시 <독립신문>의 비밀 조사 결과는 6000여 명이었고, 저자가 ‘보수적으로’ 추산한 희생자 수는 최소 6433명이다. 학살을 주도한 계엄 주도 군인들은 승승장구하였으며, 자경단의 극히 일부가 구속되었지만 그 기간은 최대 3개월(!)에 불과했다.
저자는 이러한 학살이 1919년 3.1 봉기 이래 계속 고조되던 조선의 독립-민족해방 투쟁 움직임에 대한 일본 제국주의의 광기어린(또한 공포에 휩싸인) 대응이 그 근저에 놓일 수밖에 없다고 짚는다. “이 점을 간과한다면 이 사건은... 기껏해야 동정의 눈물을 사는 이야기가 되고 말 것이다. 이 사건을 바라볼 때 우리는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문제를 절대 비껴갈 수 없다...1910년 이후 식민지 지배와 그것을 보조했던 일본 민중이 ‘만만치 않은 적’인 조선인민에게 느꼈던 공포심이 불러온 집단 살인이자 민족 범죄였으며, 불행한 한일관계의 연장선에 놓인 필연적 귀결이었다.”
즉, 여전히 철저히 은폐된 관동대학살의 진면모는, 결국 한일관계를 역사적으로 바로잡고 정의롭게 정리하는 과정에서 밝혀질 수밖에 없다. 핵 오염수를 뻔뻔하게 방류하고 거의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없게 그에 맞장구치는 일본과 한국의 현 정부들에게 기대하기는 난망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 스스로를 위해 반대편에서 진실을 갈망하는 변화의 길로 나설 수밖에 없다. 이미 고인이 된 노학자의 역작을 널리 권하고 싶은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방특급열차 - 김정일과 함께한 24일간의 러시아 여행
콘스탄틴 보리소비치 풀리코프스키 지음, 성종환 옮김 / 중심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2000년 평양에서의 정상회담 및 공동선언 발표로부터 이어진 2001년의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기 러시아 방문,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을 핵심 사건으로 하여 쓰인 책이다. 러시아 극동지구 전권대리인이자 일종의 ‘특사’로서 북한 대표단을 수행한 저자가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한 것들을 풀어냈다. 북한 지도자에 대한 경험 및 소회를 밝힌 것이기도 하지만(그의 인물 평가는 한 마디로, 매우 긍정적이다. 물론 그는 “정치인”이고 “외교관”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당시 시점에서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명백하게 담고 있기도 하다.
하나 재밌는 사실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순방을 마치며 ‘러시아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이룩하지 못한 것들을 푸틴 대통령이 꼭 성취하길 기원’했다는 것. 북한의 푸틴에 대한 신뢰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다.
최근의 북러 정상회담 및 북러 관계와 함께 생각해볼 수밖에 없는데, 지난 시기 어쩌면 느릿느릿 진행되었던 ‘상황 전개’는 2020년대 이후의 국제 관계 역학 변화 속에서 훨씬 더 가속도를 내고 있다. 책에도 수록된 2001년의 공동선언(2000년 공동선언에 의거하고 있다)은 북한과 러시아 관계의 기본 방향을 밝히고 있고, 이는 지금까지도 큰 틀에서 이어진다고 보여진다(2000년 공동선언의 1항에는 ‘다극체제’를 지향한다는 표현이 있을뿐더러, 각자의 주요 정책을 지지하면서, 정치-외교-경제-사회-군사 등 모든 분야에 걸친 협력 구상을 꽤 상세히 밝히고 있다). 2001년의 이야기들이 직접적으로 2023년과 이어지는 모습들(특급열차를 이용한 것에서부터!)을 꽤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북러 관계 역시 나름의 역사와 전통에 기반을 둔다), 오래된 책이지만 읽어볼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