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의 조언 - 저절로 탁월한 선택을 하게 해주는 실천 지침
존 해먼드.랄프 키니.하워드 라이파 지음, 조철선 옮김 / 전략시티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는 끊임없이 선택을 해야하고 그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이과를 선택하든 문과를 선택하든, 

사립대를 선택하든, 국공립대를 선택하든

취업잘된다고 하는 남들의 선망을 받는 학과를 가든

아니면 자기가 가고 싶은 대로 가든

자신이 선택해야 합니다.

 

학교교육을 비판할때 많이 쓰는 말로,

'선택을 잘하는 법', '인간관계를 잘 맺는법' 등 

실생활에서 필요한 것은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는데, 일면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이 드는 것은

이 책과 같은 책들 때문일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이론들 그리고 사례들을 통해

선택을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잘 할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자신을 혁신한다는 것은

자신의 선택을 혁신한다는 것이고

그 선택은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것이고

그로 인해 자신이 속한 조직이 변화할것입니다.

 

톨스토이가 자신을 혁명하는 사람은 드물다고 한 말을

굳이 인용하지 않아도 알수 있는 말일겁니다.

 

찰스 두히그의 습관의 힘과 이 책을 같이 본다면 좋을것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불확실성이 가면 갈수록 증가하는 사회속에서

선택은 직관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하지만, 직관이라는 것도 결국 훈련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콤 글래드웰이 블링크에서 보여주었지요.

 

처음엔 어렵겠지만, 열심히 노력하다보면

어느새 '제대로'선택하는 법이

자신의 몸에 체화되어 있을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성 세일즈 - 1년에 10배 성장으로 과장에서 부장 승진
전영환 지음 / 밥북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탁월함,

현대사회에서는 '성과'라는 이름으로 많이 추구되는 것입니다.

얼마나 많이 팔았는지 얼마나 고객을 많이 확보했는지

얼마나 자기계발을 하였는지 얼마나 자신의 스펙을 확보했는지 등

다양한 것을 통해 보여지지요.

 

그런데 그것을 위해서 옆에있는 동료를 그저 '경쟁자'로 밖에 보지 않고

나만 잘하면 돼 라는 생각을 하면 오히려 그것이 역으로 다가올수 있겠지요.

지금 사회에서 혼자 독보적으로 성과내기는 쉽지 않으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의 감성을 이해하고

같이 성장해나가는 리더십이 필요할텐데 이 책에선

그것을 설명합니다.

 

회사라는 곳이 그리 낭만적이고 장밋빛은 아닐겁니다.

그렇지만, 수평적 사고와 소통이 없다면,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을겁니다.

그것이 오히려 성과를 막고, 탁월함을 부정하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이 책은 근본적으로 '장그래'를 구해줄 묘책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요새같이 갑과 을 논쟁이 많고 그로인해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은 이때 감성을 잡는 리더십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그렇게 할때 저자가 말하는 SAMPLE(Smile, Action, Memo, Plan, Learn, Effort)원칙을 지키는 조직원을 기를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단순히 회사를 10배 키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회사를 튼튼하고 단단하게 만들기 위해서라고

생각하면 더욱 좋을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딜 Red Deal - 피 같은 당신의 돈이 새고 있다!
이준서 지음 / SCGbooks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오늘도 신문을 편다.

언제나 그렇듯, 정치적 논쟁은 끊임이 없다.

무엇이나 그렇듯 양면성이 있다. 

화합을 이루지 못하는 것일수도, 민주주의가 살아있다는 증거일수도 있다.

지금은 잠시 잠잠해졌지만, 누리과정 논란으로 모든 언론과 정치권이 

들썩인 적이 있었다.

왜 지금 그때와는 정반대로 너무나 조용히 잠잠해졌는지 모르겠으나

조만간 다시한번 그 화력은 저번의 제곱배로 나타날거라 예상하고 있다.

 

복지와 재정 파탄이라는 구호가 다시한번 살기를 띄우고

맞설 때가 올 것이다.

 

그렇지만, 잠시 감정을 내려놓고 '구호'보다도 '실제'를 보려는

노력을 해야한다.

'해석'의 차이가 있을수 있다 하더라도,

최소한 데이터를 보려는 노력은 해야한다.

 

그렇지만, 그동안 '예산'이나 '재정'에 관한 대중서는

별로 없었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중요한 책이다.

정치권에 출입하며 감각을 예민하게 닦아온 저자는

예산에 대한 단순히 설명만이 아닌, 자신의 감각을 통해

정치권의 속내를 보여준다.

 

IMF이후로 항상 그래왔지만, 대내외적 악재가 많다.

심지어 40년 경제불황을 대비하자는 얘기도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저자가 얘기하는 대로

'레드딜'을 감시해야한다.

 

그래야 그나마, 우리에게

아니 지금 나에게

시덥잖은 위로보다는 자립의 힘이 생길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트업 성공학 - 팀 구축에서 출구 전략까지, 스타트업 창업의 6단계
유석호 & 아니스 우자만 지음, 안진환. 한정훈 옮김 / 민음인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취업하기 힘든 세상이라고 합니다. 

혁신이 필요한 세상이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우리에겐 기업가 정신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정신'만 가지면 뭐든지 될까요?

정신일도 하사불성이 될까요?

꼭 그렇진 않겠죠?

 

어떻게 해야하는지 미리 배워볼 필요가 있는데,

그동안 책들은 '정신'에 집중한 경향이 많았습니다.

열정만 있으면 된다, 어떤 정신을 가졌더니 성공했다드라

등 그런거 말이죠.

하지만, 이 책은 그것보다 실질적 팀구성, 성장전략, 출구전략 등

실제적인 것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창업해라 라고 하는것보다

그저 열심히 해라 라는 격려보다

큰 도움을 받을수 있을겁니다.

 

그렇지만, 이 책에서도 그렇고 저도 그렇게 생각하는 것은

'정신'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아무리 절차를 잘 알고

팀구성을 훌륭히 한다고 해도 안된다는 사실입니다.

 

안정성 보다는 굉장히 리스크가 크고

결정 하나하나마다 회사의 생존여부가 갈릴수 있으며

인생모두를 걸어야 할 수도 있는 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은 무시할수 없는 요소입니다.

 

최근에 신문을 보니 청년세대층의 창업은 줄어들고

중장년층의 창업은 늘었다고 합니다.

혁신을 계속해서 외쳐대고 있지만,

생계형 창업만 늘어났다는 것이죠.

 

청년세대의 창업도, 취업도 줄어들면 장기적으로 미래세대에게 산업에 대한 경험을 물려줄수 있는 기반마저 약화될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해결책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워런 버핏처럼 투자하라 - 완전 개정3판
로버트 해그스트롬 지음, 신현승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주식 투자에서 빼놓지 않고 말해야 하는 사람 버핏.

 

많은 사람들이 주식은 버핏처럼 할수 있을거야

조금만 시간이 있으면 나도 할수 있을거야

이번에 조금만 더 벌면 되 라고 하다가

 

많은 손해를 보고 시장을 빠져나가죠.

 

그렇지만, 버핏은 기본을 지키면서도 공부를 많이 한다는걸.

그리고 굉장히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는걸 이 책을 통해

그리고 다른 책들을 통해 배울수 있습니다.

 

주식이라는 것이 쉽지도 않지만, 엄청 현란하기 보다

기본에 집중해야한다는 걸 그리고 나서 다른 테크닉을 해야한다는걸

이 책을 통해 알수있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주식투자를 이 책만 보고 뛰어드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 날고 긴다는 사람들도

경제학자들도(케인즈가 대표적이었죠, LTCM도 있구요)

주식으로 오랫동안 시장에 패배하지 않았던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버핏이 주목을 받는 것이구요.

 

그리고 예전에 박경철씨가 얘기한것이 있었죠.

생계에 필요한 돈으로 주식투자를 하면 안된다고,

 

그 이유는 이 책에서 나온 안정성과 연결됩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리스크가 큰 것을 도전해야하는데,

리스크가 큰것은 잃기도 쉽다는 말이고,

그럼 생계가 힘들어지기 때문에 판단력이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는

말이 됩니다.

 

결국 주식은 어쩔수 없이 어느정도 '먹고살'정도가 되고나서

해야한다는.. 생각을 할수 있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