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오래 읽었다.  운동하면서 짬짬히 몸풀때, 그리고 close-out할 때 자전거 페달을 돌리면서만 읽다보니까 이제서야 다 읽게 된 것 같다.

 

여기에 들어있는 작품들은 소위 초기 SF의 황금시대라는 1930년대의 작품들 중 주옥같은 10개를 모은 것인데, 최소한 몇 개는 이미 영화로도 여러 번 제작된 바 있다. 

 

거의 100년이 다 되어가는 시대의 상상력인데, 우리 시대에는 이미 가능해진 이야기들도 있고, 요즘 도교니 하는 곳, 또 우주 movement같은데서 이야기하는 concept들이 나와있기도 한걸보면 SF작가들의 무궁무진한 상상력, 아니 그 이상의 혜안은 놀랍기만 하다.

 

읽고나니 Science Fiction을 공상과학으로 번역하는 작태가 매우 한심하다고 생각된다.  정확하게는 과학소설이라고해야 마땅할 것이다.  최소한 과학판타지 정도면 좀 봐줄 수 있겠지만, '공상'이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negative connotation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도대체 어떤 분께서 처음으로 이 단어를 쓰신걸까?  분명 초기의 번역가들 중 하나였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지금은 영어가 그리 먼 외계어가 아닌 - 적어도 21세기 한국에서는 - 데 좀 고쳐 썼으면 한다.

 

번역된 이야기들이 있나해서 찾아보았는데, 한국어판으로 나오면서 다르게 편집되기도 해서 그런지 도무지 찾을 수가 없다.  이 책에 수록된 작가들과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1. HP Lovecraft - The Shadow ouf of Time

2. Harry Bates - Alas, All Thinking

3. Eric Frank Russel & Leslie T. Johnson - Seeker of Tomorrow

4. L. Sprague de Camp - Divide and Rule

5. Stanley G. Weinbaum - Dawn of Flame

6. Horace L. Gold - A Matter of Form

7. Cornell Woolrich - Jane Brown's Body

8. John W. Campbell, Jr. - Who Goes There?

9. Murray Leinster - Sidewise in Time

10. Jack Williamson - Wolves of Darkness

책 소개는 Isaac Asimov가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매우 재미있게 읽는 책들의 쟝르는 정말 다양하다.  아니, 적어도 나는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학교 1학년 때까지는 주로 역사, 역사소설, 또는 이 분야의 책을 읽었고, 그 뒤로 European Intellectual History시리즈 강의를 들으면서, 그 다음엔 Russian Intellectual History를 들으면서 나도 모르게 갑자기, 그 동안 지겹다고만 생각했던 문학이 좋아졌고, Harry Potter나 Eragon을 읽으면서 판타지도 많이 읽게 되었다.  지금은 추리소설부터, 어릴 때 전집류로 접했던 SF소설들을 다시 찾아내어 읽는 것은 밋밋한 하루 일상에서 꽤나 큰 낙이 되고 있다.

 

2-3년 전인가 누군가로부터 넘겨받은 hard disk에 들었있던 Dresden Files라는, 별로 뜨지 못해서 시즌 1으로 끝나버린 드라마를 꽤 재미있게 본 나는, 이 시리즈의 원작인 Dresden Files를 첫 권부터 읽기 시작했다.  쉽게 생각하면 판타지작품으로써, 르와르에 마법을 섞은 책인데, 은근히 중독성이 있어 전권을 다 읽어가다가, 주인공이 죽는 Changes부터 손을 놓았고, 그 다음에 나온 Ghost Story역시 당연히 읽지 못하고 있다.  이는 조만간 해결해야할 숙제이다.

 

로쟈님도 그렇고 책을 좀 읽는 분들은 번역에 대한 불만이 많은 것 같다.  당장 나만해도 그렇고.  그런데 번역이 쉬운 일은 아니긴하다.  일단 언어적인 능력 이상으로 번역자는 문학에 대한 일정한 조예 내지는 소양이 있어야 하는 것 같다.  이는 돌아가신 이윤기 선생의 지론이기도 했었다.  즉 번역은 외국어에 능한 문학가가 해야 좋다는 것인데, 그래서인지 하루키가 번역한 일어 Fitzgerald는 꽤 좋을 것 같다. 

 

어쨌든, 번역이 어려운 일인 것은 다음의 문장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아무리 머리를 굴려도 이 문장을 원래의 뜻을 손상시키지 않고 번역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다.  아, 그전에 배경을 설명하자면, 주인공인 Harry Dresden은 Chicago에서 유일하게 openly practice중인 마법사이다.  광고에 의하면:

 

Harry Dresden - Wizard

Lost Items Found. Paranormal investigations.

Consulting. Advice, Reasonable Rates.

No Love Potions, Endless Purses, Partise, or

Other Entertainment.

 

마법사 - 해리 드레스덴

잃어버린 물건찾기. 괴현상조사.

자문. 조언. 합리적인 가격.

사랑의 묘약, 화수분같은 지갑, 파티 혹은

그 밖의 다른 엔터테인먼트 없음.

 

정도로 번역할 수 있는데, 다음의 장면은 사무실에 붙은 Harry Dresden - Wizard라는 문구때문에 주인공이 아침부터 우편 배달부와 약간 한바탕 한 후에 기분이 나쁜 상태에서 받는 전화와 이에 대한 답변이다.  이는 Dresden Files의 첫 권인 Storm Front에서 나오는 부분인데, 원문은 이렇다:

 

...I picked up the receiver and said, "Dresden."

"Oh. Is this, um, Harry Dresden?  The, ah, wizard?" Her tone was apologetic, as though she were terribly afraid she would be insulting me.

No, I thought.  It's Harry Dresden, the, ah, lizard.  Harry the wizard is one door down.

 

수화기를 들고 말했다, "드레스덴 입니다"

"오, 저기, 음, 해리 드레스덴인가요? 저기, 어, 마법사?" 나를 자극할까봐 두려운 듯한 조심스러운 톤이었다.

아뇨, 난 생각했다. 저는 도마뱀 해리 드레스덴입니다.  마법사 해리는 옆방입니다.

 

난 전문 번역가가 아니니까 대충 이해할만큼만 할 수 있다.  어쨋든 중요한 것은 이 리저드와 위저드인데, 쉽게 생각하면 영어식 말장난 같은거다.   근데, 위에 보듯이 직역을 해놓으면 전혀 이상한 말이 되어버린다.  도마뱀 해리 드레스덴과 마법사 해리는 아무리봐도 원문에서 너무 벗어나있다.  그런데, 달리 비슷한 종류의 말 장난을, 그것도 원문에서 너무 벗어나지 않도록, 한국어로 옮기는 것은 쉬운일이 아닐게다.  솔직히 난 모르겠으니까.  영어를 오래 써왔다고 번역을 잘 하는건 아님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 (예전에 모 검사부탁으로 FBI 마약단속 가이드를 번역해줬는데, 무지하게 어려웠다는).

 

아무튼 위의 겨우에서 보듯이, 번역이란 때로는 매우 어려운 것이 아닌가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사르 2012-07-23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번역물은 어느 정도 수위가 되는 사람인 경우 번역물로 한 번 읽고, 더 깊이 알고프면 원서로 읽는게 좋다는 말이 있군요. (오에 겐자부로가 그렇게 말을 했어요) 영어식 말장난을 잘 모르더라도 영문을 보면 약간의 감은 오는 반면, 우리식으로 도마뱀, 마법사 로 직역한 문장은 그 감이 조금은 떨어질 테니까요.

이럴 때, 각주에 도마뱁, 마법사 는 영어식 말장난이라고 좀 달아놔주면 좀 낫긴 하겠어요. 실지로 그런 각주를 본 기억이 납니다. 어느 책인지는 몰라도 아주 성실하게 각주가 있었어요. 아마..이윤기 샘 책이었던 듯 싶네요.

transient-guest 2012-07-24 01:36   좋아요 0 | URL
이거요..ㅋㅋ 어제 운전하다가 떠올랐는데 도마뱀-마법사 대신에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오, 저기, 음, 해리 드레스덴인가요? 저기, 어, 마법사?" 나를 자극할까봐 두려운 듯한 조심스러운 톤이었다. 아뇨, 난 생각했다. 마법사 해리는 옆방이고, 여긴 마동탁 해리 드레스덴입니다. (마동탁 대신 어떤 단어도 가능합니다)

각주는 좋은데, 이게 또 너무 많으면 책의 몰입도를 떨어뜨리는게 좀 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footnote보다 endnote형식을 선호하는 번역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여느 주말처럼 오전에 운동을 마치고, 해안도로를 따라 드라이브를 한 후, logos의 헌책을 둘러보다가 모처럼 맘을 먹고 책 몇권 - 중에서 가죽으로 제본된 Dubliners와 Hawthorne의 단편집은 헌책인 주제에 30-50불 사이를 호가한다 - 을 샀다.  다운타운에 있던 Borders서점이 망한 후부터는 어디엔가 틀어박혀서 차분하게 커피 한잔과 함께 하루종일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이 없다, 적어도 이 부근에는.  Starbucks나 Peets모두 카페가 되어서 그런지, 쉴새없이 사람들이 들락거리고 있어서 분위기가 영 아니고, 커피는 맛있지만서도. 

 

생각다못해, 다시 집으로 들어오면서 근처 마트에 들려서 맥주 몇 병을 차우멘과 함께 사가지고 들어와 뒷뜰에 앉아서 어제부턴가 읽던 하루키의 노르웨이의 숲을 이어서 읽고 있다.  살짝 buzz가 오니 따뜻한 오후에 그늘에서 바람을 맞으며 기분이 조쿠려~~~

 

어젯밤엔가 노르웨이의 숲에서 Blue Light Yokohama란 노래가 어쩌고 하길래, youtube에서 찾아보았더니 뜻밖에도 괜찮은 노래였다.  지금도 계속 듣고 있는데, 1968년에 일본 열도를 흔들어 놓은, 소위 대박이 났던 노래라고 한다.  68년의 아리따운 가수는 이제 할머니가 되어 기모노를 입고 말라 비틀어진 목소리로 과거의 영광을 노래하고 있긴 하지만 - 그래서 옛날 화면 캡쳐로만 듣고 있다.  신기한 인연이다.  책에서 책으로 연결되고, 작가에서 작가로 연결되는 일은 있지만, 책에서 노래로 연결이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사르 2012-07-23 1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르웨이의 숲. 아직 안 보고 아껴두고 있는 책이네요.
트란님이 다 읽고 리뷰 쓰시면,
그래서 마음이 동하면 저도 따라 읽을까요? ㅎㅎㅎ

하루키 책 읽다보면 음악도 같이 듣고 싶어질 때가 종종 있어요. 하루키 책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느낌.

transient-guest 2012-07-24 00:47   좋아요 0 | URL
엊그제 노르웨이의 숲 다 읽었어요. 상실의 시대를 2번 읽었으니까 모두 3번 읽은 셈인데, 확실히 처음보다는 뭐가 좀 보이긴해요. '마의 산'에서 살짝 빌려온 듯한 모티브도 보이고 (이건 작품에서 힌트가 주어져요). 어떤 리뷰를 쓸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 책은 확실히 Fitzgerald가 많이 느껴져요. 그러고보니 Midnight in Paris란 영화도 재미있게 봤네요, 1920년대의 예술가들이 많이 나오는.
하루키 책 읽으면서는 맥주, 위스키, 재즈, 여행, 달리기 이런거 많이 따라해보고 싶어져요.ㅋ
 

최근 2-3년간 그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만큼 많은 추리소설을 읽었다.  물론 추리소설 마니아면서 '경성탐정록'을 쓴 한모 작가형제에 비하면 한참 멀었지만, 내 개인적인 독서인생에서 볼 때, 정말이지 많은 추리소설을 본 것 같다.  특별한 동기는 없었고, 그냥 막연하게 재미있겠다 싶어서, 다시 잡았는데, 머리를 식혀주는 놀라운 효과를 보면서 이제는 항상 가까이 두는 쟝르가 되어버린 것이다. 

 

시작은 요령없이 그냥 그렇게 아무 책이나 잡았지만, 지나고나니 다른 쟝르처럼 추리소설도 입문 시 도움이 되는 방법이 있는 것 같다. 

 

보통 처음에 독서를 시작하면 특정 작가나 쟝르를 target하기보다는 전집류 - 문학전집, 역사전집, 위인전기 등 - 로 시작하여 이미 어느 정도 검증된 작품들을 섭렵하면서 독서근육을 키우게 된다.  요즘처럼 책이 쏟아져 나오지 않던 시절, 심지어는 도서대여점도 생기기 전, 작은 container봉고 트럭을 몰고 다니던 이동식 대여점에서 책을 빌려보던 때가 생각나는데, 역시 이 때에는 전집류가 유년기 영장류 최강의 독서 아이템이었던 듯 싶다. 

 

어쨌든, 전집류 과정을 통과하고 나면, 대략 자기가 좋아하는 쟝르나 작가가 생긴다고 할 수 있다.  진정한 독서인생의 시작인 셈인데, 예를들면, 전집류로 읽은 책을 제대로 된 번역본으로 사서 보는 것, 전집에서 reference된 작가나 책을 찾아보는 것 등에서 점차 active하게 책과 작가를 찾아다니면서 읽게 되는 것이고, 이후로는 독자적인 방법과 시스템을 구축하여 독서와 장서수집 또는 도서관 출입을 하게 되는 것 같다. 

 

추리소설에 있어서 위의 전집류에 해당하는 시리즈를 하나 꼽는다면 주저없이 '동서문화사'의 '동서 미스터르 북스'를 추천하고 싶다.  200권으로 이루어진 이 셋트에는 정말이지 다양한 추리소설, 탐정소설, 활극, 전쟁소설등이 선별되어 있다.  내가 란포나 세이초, 아니 일본의 고전 추리소설을 만난 경로도 이를 통해서이고, 브라운 신부와도 근 20여년만에 다시 만난 것도 이 시리즈를 통해서였다.  값도 한국 기준으로는 매우 싼 편인데, 대부분 나온지 좀 되어 세일폭도 꽤 크다.  이 책들을 보면서 흥미가 가는 작가가 생기면, 다시 단행본으로 나온 특정 작가를 찾아서 독서의 범위를 넓게 만들어 가는 것이다. 

 

나의 경우를 예로 들면, 타 출판사에서 나온 '브라운 신부' 전집, '란포 단편집' 또는 '세이초 전단편집' 등으로 넓혀 간 것인데, 지금은 엘러리 퀸 시리즈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내가 정말 재미있게 읽었던 몇 권을 다시 소개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여왕폐하 율리시즈호는 전쟁소설인데, 이 책이 아니었으면 나는 예전에 나온 2차대전 영화로만 알고 있었던 '나바론'이 소설인지는 꿈에도 몰랐을 것이다.  문신살인사건의 경우 작가의 다른 작품은 이제는 구하기 어려운 것으로 아는데, 매우 특이한 문신에 대한 표현과 살인전개가 기억에 남는다.  특별요리는 well, 단편모음집인데, 특별요리...과연 무엇일까?

 

이들 외에도

 

 

 

 

 

 

 

 

 

 

 

 

 

 

알랭 드롱이 주연했던 영화로만 알고 있었는데, 원작은 저 유명한 Talented Mr. Ripley였다.  맷 데이먼과 쥬드 로, 그리고 귀네스 펠트로가 주연한 Talented Mr. Ripley는 그러니까 remake인 셈이다.  어쩐지 영화를 볼 때, 고풍스러운 무엇인가가 있다고 느껴졌었다 (시대적인 배경 외에도). 

 

너무도 재미있게 보았던 멜 깁슨의 Payback의 원작인 인간사냥.  역시 동서 미스터리 북스가 아니었다면 알 수 없었을 것이다.  정말이지 우연한 기회에 특별한 이유없이 - 아마도 값이 좀더 쌌었던가? - 산 책이었는데, 이런 유쾌한 결과가 나왔다.  개인적으로 무궁무진한 영화의 source가 되는 서양의 문학/소설 infra를 부럽게 한 책이기도 하다.

 

 

 

 

 

finally,

 

Issac Asimov형님의 추리소설이다.  일종의 외도였던 셈인데, 나중에 읽는 그의 자서전을 보니 자신이 속해있던 추리소설가 친목그룹을 모티브로 구성한 것이라고 한다.  그룹 이름이 Baker Street Boys였던 것 같은데 정확하지는 않다.  물론 이는 코난도일과 홈즈를 기념한 것이다. 

 

Asimov의 자서전은 Logos에서 구했는데, 정식 출판본이 아니라 editor의 review용으로 pre-print되어 나온, 다소 희귀한 판본이다.  투박한 종이커버로 I, Asimov라고 써있고, 리뷰용이라는 문구만 붙어있는데, 아마 정식 출판본과 약간 내용이 다를지도 모르겠다. 

 

 

 

 

특정한 작가군 외에도 이렇게 생각하지도 않은데서 특별한 책을 만나고 싶다면 약간은 옛 시대적이지만, 이런 전집류의 approach도 나쁘지 않은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대로 된 짜장면을 맛보지 못한지 오래다.  여기야 뭐 워낙 좀 그렇지만, 교민으로 미어 터진다는 Los Angeles일대 (뭉뜽그려서 남가주 = 남켈리포니아)에서도 특별히 내 입맛을 자극할만한 곳은 못 봤다.  아니, LA나 NY일대는 교민이 워낙 많아서 그런지, 맛도 방식도 한국의 유행이 그대로 수입된다고 보면 되는데, 그래서 그런지, 맛없는 짜장면은 요즘 한국의 동네 중화요리 식당만큼이나 널렸다.  즉 예전의 맛을 그대로 내는 곳은 여기도 없다는 것.  아마도 한국의 지방 어디, 아니면 제주도라도 가야 옛날식의 맛있는 짜장면을 먹어볼 수 있을 것 같다.  혹자는 화상이 물러난 자리에 한국인이 운영하는 중화요리집이 늘어나면서부터 그렇게 되었다고 하는데, 내가 볼땐 전반적으로 낮아진 음식재료의 질과 이에 비례한 주방장 또는 주인의 마음가짐이 아닌가 싶다.  대륙의 일반적인 위생이나 음식에 대한, 아니 사회적인 인식을 보면, 화상이 주인이라고 해서 예전처럼 정성스러운 맛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듯.  역시 시대가, 세태가, 사회가 변한 탓일까?  자본주의의 극을 달리는 21세기 초엽, 짜장면 하나 제대로 먹을 곳이 없다니. 

 

7월은 언제가 한가했다.  예전에 다니던 사무실이 오너의 골프행각으로 downsize되기 전, 무척 바쁘던 때에도 7월은 한가했다.  나에게 사무실을 맡겨놓고 오너가 한 달씩 휴가를 가도 될 정도로 말이다.  즉 하던 케이스를 이어서 maintain하고 update하는 정도의 일이 7월의 주 업무가 된 적이 많았는데, 신생인 나의 사무실은 maintain하거나 update할만큼 많은 케이스가 없다.  아직은. 

 

한가한 덕에, 벼르던 방정리와 책정리를 시작하여 IKEA에서 bookcase로 쓸 장식장 두 개를 사고, 땀을 뻘뻘 흘리며 조립을 마친 후 한쪽 벽에 세워놓았다.  요녀석들이다.

 

 

출처: http://www.ikea.com/us/en/catalog/products/80071319/

 

이거 두 개면 2-3겹으로 책을 넣을 수 있는데, 보다시피 각 칸이 좁아서 파티클임에도 불구하고 잘 휘지 않는다.  수많은 책장들을 섭렵한 끝에 pine나무나 oak로 만든 책장 다음으로 꽤 쓸만한 제품이다.  물론 가정집에다 들여놓으면 모양이 좀 별로인데 - 경험상 안다 - 사무실의 한쪽 벽에 두 개를 나란히 세워놓으니 그럭저럭 공간도 채워지고 보기에도 괜찮다.  무엇보다 앞으로 사무실을 옮겨도 - 지금의 executive suite (전화, 비서, 인터넷 등의 기본 서비스가 포함된 방 rent)을 벗어나야지 - 회의실 한켠에 세워두고 장식용 책들 - 두꺼운, 예전에 쓰던 법률서적 (지금은 필요없는) - 을 잔뜩 채울 수 있기에 두고두고 활용도가 높다고 하겠다.

 

아무튼, 이 녀석들 두 개면 두꺼운 책은 20-25권, 일반 두께의 책은 35-40권은 들어가는데, 내 예상과는 달리 거의 꽉 차버렸다.  계획은 한국어 책을 모두 가져다 놓는 것이었는데, 딱 하나 정도가 모자란 분량이 아직 집에 남아있다.  그리고도 모자라서 일부 처세나 자기계발에 관한 책들은 다른 책장에 두겹으로 꽂아 놓았다. 

 

그러고 남은 집의 책장의 자리는 게임과 animation DVD로 좀 채웠는데, 사실 박스에 담아 보관중인 만화책이 무척 많이 있기에 이들도 조금씩 열어서 꺼내어 놓았다.  덕분에 밤에 잠이 안올땐 정말이지 오랜만에 만화책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지금 꺼낼 수 있는건 대략

 

 

 

 

 

 

 

 

 

 

 

 

 

 

이들이다.  모두 전권을 가지고 있는데, 중고책, 그것도 도서대여점의 땡처리 출신이라서 모두 보관상태가 험하다.  '수라문'이나 '짜장면'의 경우 종이질이 조악해서 벌써 테두리가 누렇게 뜨고 있다는. 

 

어제는 이들 중 '짜장면'을 오래 잡고 있었다.  은근히 쓸만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자기일에 대한 자부심, 일에 연연하지 않는, 정확하게는 돈에 연연하지 않는 마음가짐, 그리고 독서의 중요성 등이 그들이다.  고수와의 대결에서 마음의 평정을 잃고 패한 주인공은 삼천포의 짜장면 고수인 백기명인을 찾아가 사사를 받게 되는데, 하루에 딱 백그릇만 팔아서 백기명인이란다.  이는 돈에 연연하지 않기 위한 마음가짐이라고 하는데, 일리가 있는 말이다.  즉, 어느 정도 규모가 되면 만족하고, 나머지의 시간은 자신에게 투자하고, 또 남을 위해 일할 수 있었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나의 경우 주말이나 금요일을 활용한 pro bono work로 가능할 것 같다 (이미 시작은 했고 한 케이스를 맡았다).  그런데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백기명인이 엄청난 장서가라는 것이다.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삼천포는 경상남도 사천시에 위치한 남해지방이라고 한다.  이곳에서 백기명인은 하루에 백 그릇까지의 짜장면을 팔고, 남은 시간에는 낚시와 독서로 소일한다.  현실성이 좀 떨어지기는 하지만, 그의 말에 의하면 좋은 짜장면을 만들 수 있는 비결이라고 하니, 역시 일에 대입하여 본다면, 나의 독서는 내가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idea하나는 꽤 창의적이라고 자부하는 편이긴 하다.  희안한 케이스를 맡아 성공시킨 사례가 몇 번 있는데, 아마도 무의식중에 녹아있는 어느 누군가의 글 덕분일지도 모르겠으니까.

 

짜장면.  갑자기 정말로 잘 만든 짜장면을 먹고 싶어졌다.  그런데, 중국산 재료도 못 믿겠고, 이를 갖다 쓰는 중화요리 식당도 못 믿겠으니 culinary school이라도 가서 배워서 직접 만들어 먹어야 하나?  아니 어쩌면 중요한 회귀인지도.  산업혁명 전까지는 one person - one product의 시대였으니까.  이제 우리는 무엇인가 좋은 것을 먹고 쓰려면 직접 만드는 수 밖에 없는 시대를 향해 가고 있는 것인지도...

 

나른한 오후에 낮잠을 쫓는 구실로 이런 이상한 글을 써버렸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진 2012-07-20 14: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천포 우리 옆 동네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진주만큼이나 남해사람들이 자주가는 지방입니다. 삼천포는... 우리 옆 동네!

139달러면 대체 얼마죠? 진짜 이쁘다... ㅠㅠ

2012-07-20 14: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7-21 13: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7-22 04: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7-20 16: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네요. 맘에 드는 짜장면집 하나 찾기가 힘든 시대. 정 아쉬우면 자기가 배워 만들어 먹어야 하는 시대..
제천역 앞에 진짜 맛있는 짜장면집 있다고 제부가 갈춰줬는데 함 먹어보고 알려드릴게요. 시대를 거스르는 명인의 집인지, 그냥 제부의 입맛이 관대한 건지... 오실 순 없겠지만 일종의 증거는 되는 정보로다가...ㅎ
그나저나 백기명인 이야기 정말 맘에 드는 지난 시대풍의 만화인걸요?! 돈에 초연하고 책을 좋아하는 게 명인의 비결이라니...
삼천포,, 좋은 곳이에요. 숨은 명인이 낚시를 즐기며 살 법한 동네죠~.^^

transient-guest 2012-07-20 16:22   좋아요 0 | URL
가끔 그럴때가 있어요. 바로는 어럽지만, 조금 모아서 그냥 어디 들어갈까. 콜로라도 같은 곳 생각했는데. 삼천포 한번 고려해 봐야겠네요. 한 10년? ㅋㅋ 백기명인이 될수는 없겠지만, 낚시와 책은 저도 자신 있숨다...ㅎ

달사르 2012-07-23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삼천포. ㅎㅎ
얼마 전, 삼천포에 가서 회를 먹었네요. 마산에서 열리는 연수회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단체로 들렀더랬죠. 정작 바다는 버스 안에서만 봤는데요. 그래도 그 아련한 느낌은, 좋던데요. 삼천포가 괜히 삼천포가 아니구나. 그랬어요.
그런 전통 짜장면 집도 삼천포엔 있겠다, 싶어집니다!

transient-guest 2012-07-24 00:42   좋아요 0 | URL
저는 하도 코미디나 농담으로 '삼천포' 운운하니까, 꽤 최근까지는 그게 진짜 동네인지 몰랐었어요.ㅋㅋ 왜, 하도 삼천포로 빠진다 어쩌고 하잖아요. 그런데서 은퇴하면 좋겠어요 이담에. ㅋ

달사르 2012-07-23 1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렇게 앞뒤로 틔어져 있는 책장 류를 모두 expedit라고 하는 건가요? 아님 이케아의 저 제품 이름을 그냥 그렇게 부르는 건가요? 암튼, 탐이 무척 나는 책장입니다. 막 인터넷 바다를 뒤지면서 구경하고 있어요. ㅎㅎ

transient-guest 2012-07-24 00:44   좋아요 0 | URL
네 4x4, 5x5, 2x2 이 정도로 나오는데 모두 expedit이네요. 일반 책장은 거의 모두 Billy라고 되어있고. expedit이 잘 놓으면 비교적 좋은 값에 책을 많이 넣을 수 있어요. 특히 한쪽 벽을 채우기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