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의 「내가 훔친 여름」(1967)를 읽다가 '연락 없음'의 시대성이라는 것이 있을까 생각해봤다. 이 소설이 나온 시절만 해도 "내가 누군지 모르겠어? 나 000야"로 시작되는 말이 친숙했을 것이다(이 소설의 시작처럼). 성과 이름을 큰 목소리로 다 꺼내고, 상대방이 "누구....?"라고 하면 허허 하며 혀를 끌끌 차고 가슴을 치는 장면으로 이어지는. 이때 연락 없음을 명증하는 인사란 '환골탈태'나 '금의환향'의 서사에 가닿아 있었을 것이다. 마치, 고추장사하던 박씨네 코흘리개 아들 흥수가 저렇게 말끔해져서 돌아왔네라는 반응이 자연스레 떠오르는. 그러다가 흥수의 성공기가 흥수의 옛 친구를 통해 흘러나오게 되고 거기엔 학벌이나 재력, 땅 이야기가 포함될 것이다. 


요즘은 조금 시들해진 것 같지만 한때 많은 이를 휘감았던 연락 없음의 시대성은 "언제 밥 한번 먹자"라는 이름의 서사였던 것 같다(『오늘의 거짓말』에 나온 어느 구절처럼). 허한 말들의 과다와 자극에 지친 이들을 씁쓸한 맛으로 위무하는 이 서사는 도시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에서 연유하는 가녀린 위악에 맞닿아 있었다. 이 가녀린 위악은 서로가 어차피 이 약속의 달성 유무에는 관심이 없다는 걸 속으론 알고 있지 않냐는 룰을 '암묵적'으로 숙지하고 있다는 그 자체에서 출발했다.


"잘 지내지?"라는 인트로도 없이 거두절미한 용건 제시가 도착했을 때, 인연의 길이와 넓이를 가늠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죄송하지만, 제가 폰을 새로 해서요"라는 인사법은 사실과 과해석의 저울질로 구성된다. 과해석에는 간소한 인연을 추구하겠다는 자기 선언의 합리화 혹은 상대방이 행여나 기분 나쁘지 않을까라는 지나친 염려가 끼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