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향신문과 중앙일보가 '감정사회학'에 대한 언급을 연이어 하길래 기사를 읽었다. 아무래도 저널의 특성상 학문적 '추적'이라고 해야 할까 그 부분보다는 한국 사회와의 접점을 통해 '왜 이게 뜨는가' 같은 내용이 주였던 것 같다.

2. 엄밀히 말하자면, 감정사회학의 이로움은 '새' 학문이라는 특성이 아니라, 고전사회학을 재해석할 공간으로 작용한다는 점 아닐까 싶다. 이 사람이랬었어? 하는.

3. 다만 그랬을 때 연구자와 이런 연구자들을 주시하는 책 만드는 이 그리고 독자들이 따져볼 점은 감정사회학이 다분히 '클래시컬'한 요소가 많다는 것이다. 그래서 도전을 해보면 '지루한 느낌'을 견뎌야 하는 과정이 꽤 있는 것 같다. 

4. 우리로서야 수사로든 어쨌든 그나마 '요즘 센스'가 있는 '에바 일루즈' 혹은 주제 선정과 그 결과물이 한국 사회와 잘 들어맞았던 '앨리 혹실드'가 감정사회학이라는 분과학문에 대한 홍보 효과가 되면서 고쪽의 재미를 계속 기대하지만, 진퉁으로 돌파해야 할 영역은 박형신 교수가 번역해놓은 저술과 그 경로들이긴 하다. 

5. 그런 과정 속에서 불가피하게 파고들어야 할 부분은 과거 '큰 사회학'에서 맡을 수 있던 사회심리학적 향취를 되돌아보는 작업 그리고 개선해볼 수 있는 지점을 찾아보는 작업일 거라 본다. (후자의 작업이 중요할 것 같다)

6. 어제는 미국사회학회 감정사회학회분과 사이트에 들어가 우수대학원생논문명단을 비롯해 우수논문과 저술을 행한 학자 명단, 공로상 명단을 쭉 봤다. 그리고 논문 주제와 초록들, 저술 관련 출판사 소개글 등을 조금씩 정리해보고 있는 중이다.
우수대학원생 논문명단에는 한국 사람도 있었다. 지금 멀리서든 여기서든 공부하는 친구들을 위해 기도하는 마음 보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