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후배님의 문화연구에서 이론에 대한 심화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보면서 오랜만에 학교 다닐 적 생각이.

 

 

1. 현실적으로 봤을 때 문화연구는 학계의 '아싸(아웃사이더)'로 계속 남을 가능성이 크다. 문화연구자는 내가 보기에 부르디외의 '성찰 세포'를 잘 살리면, 문화연구자가 속한 학계 내부의 건실한 비판자, 속된 말론 영양가 있는 '뒷담화쟁이'로 남을 수 있을 것이다.

 

2. 지금 문화연구가 학계라는 구조 속에서 '아싸'를 유지하는 건 학계라는 구조 자체가 문화연구가 갖고 있는 '성찰성' 혹은 '메타적'인 측면을 '전시 도구'로 삼을 가능성도 크다는 것을 고민해본다. 아이러니하게도 문화연구는 지금의 아싸를 유지해야 '문화연구'처럼 보이는 위치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조금 열려 있는 학자들이 이른바 우석훈의 88만원세대 구도처럼 젊은 연구자들 짱돌 들어!를 좀 도와주면서, 학계의 성격 변화를 유도할 수 있겠지만, 오히려 젊은 세대 연구자들이 학계의 생존성을 감안할 때 문화연구를 배척하는 상황도 무시하지 못할 것이다.

 

3.문화연구는 어떻게 이론을 깊이 있게 공부하고 연구할 수 있을까. 문화연구자들이 할 수 있는 위치를 현실적으로 보면 1) 학계 내부의 이론 소비 속도와 수용 형태의 부작용 비판이 있을 것이다. 이건 사실 누구나 다 하는 것이다. 문화연구자들이기에 자신들이 속한 주류 학회를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 2) 1)을 심화시켜 건설적인 대안을 내어놓는 것이 "우리가 다 알고 있는 게 사실 이게 아니었어"식의 이론 연구를 통한 발견. 사실 문화연구에서 이론의 깊이 있는 연구를 원하는 분들은 2)에 중점을 둔다는 생각이. 1)은 내가 일찍이 '문화연구의 실패한 성찰게임'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2)의 고민은 그렇다면? '문화연구적' 이론이란 존재하는가? 대답하기 어렵다.

 

4. 문화연구자들이 귀가 얇다는 건 일장일단이 있다. 문화연구를 공부하면서 그런 건지, 그런 사람들이 문화연구를 좋아하는 건지 모르겠지만 암튼. 문화연구자들은 뭐 하나를 하면 잘 꽂힌다. 그리고 잘 식기도 한다. 그래서 이른바 '문화연구의 실패한 성찰게임'에서 잘 나오는 논리가, "야 이제 마르크스로 돌아가야 해" "야 랑시에르가 문화연구의 핵심을 말해주고 있는 거야"라는 식. 좀 시기가 지나면 마르크스는 다른 누구로 바뀌어 있고, 랑시에르도 다른 누구로 바뀌어 있다.

 

5. 그런 면에서 무슨 이론이 문화연구에 적합하다고 주장하는 선에서 이론 연구가 이뤄지는 것보단 차라리 그런 거 아예 구애받지 말고 그냥 뭔가 필이 팍 오는 그 이론만 꾸준히 버티고 오래 보면서 자기 길 가면,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면 알고 보니 그 사람이 문화연구자였네? 하는 게 차라리 낫다는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