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의 나에게.. (언제나가 아니고 요즘의 나에게 말이다.)
가장 책 읽기 좋은 장소는 '지하철안' 이다.
출퇴근 시간의 지하철안..
오롯이 나를 위해 쓸 수 있는 유일한 시간.
아침 출근 시간에 그 부대끼는 속에서, 한손에는 그래도 할머님 같은 아주머니가 전철 계단에서 나눠준 무가지를 들고, 그 비슷비슷한 무가지를 보는 사람들 틈에서 가방속의 책을 꺼내든다.
물론 아기가 잠이 들고나면 충분히 잠이 들고나면 모기장을 다시 한 번 아물쿠고 새근새근 하는 숨소리를 확인한뒤 몰래 다른 방으로 나가 스탠드를 켜고 책을 읽다가, 아기 울음소리에 방으로 다시 뛰어오며 잠든 아기가 더 깰까봐 방의 불은 켜지 못하고 뛰어나오면서 눈을 질끈 감아 어둔 방안 모기장속에 아기가 어디만큼 굴러가서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눈을 조금이라도 어둠에 익숙하게 만들기 위해 감은눈으로 복도를 더듬어 아기가 자는 방안으로 아기 외엔 아무도 없는 안방으로 들어올 수도 있지만.
그럴 염려없이 오롯이 책에 몰입할 수 있는건 출 퇴근 20여분 남짓한 그 순간이다.
그것도 중간에 한 구간 가서 2호선으로 갈아타고, 2호선의 번갈아 열리는 문들 사이에서 문옆의 기둥에 기댄채 깜빡거리는 전등불 아래서 읽기도 하지만.
그래도 이번 주에는 미야베 미유키의 이름없는 독을 읽어 냈다. 물론 토욜밤에 새벽에 빠져나와 읽은 덕분이긴 하지만. 
  그 시간 마저도 처리해야할 일들에, 오늘 있었던 회의 내용이나 나를 벙찌게 만들거나 화내게 만들었단 사람들 일에 이렇게 했어야 하는데 하면서 혼자서 분을 삭이지 못하니라 책을 읽지 못하는 때도 있다. 아니 가끔은 EBS 지식채널 e 같이 분량에 상관없이 페이지를 넘기다 자신도 모르게 잠깐 책을 덮고 먹먹해지는 때도 있긴 하지만..

   그렇지만 지하철이 책읽기 좋은 장소인 요즘이 얼마나 가랴..
이 꼬맹이 녀석도 곧.. 정말 곧.. 내 품을 떠나는 날이 올거고.. 곧 이라지만 최소 몇년 이상은 될테고..
   지금 내 상황에서는 여튼 책을 어떤 책이든 손에 잡을 수 있다는거 자체가 고마운거니까. 꼬맹이한테 무슨일이 있다거나 정말 야마가 확 돌아서 아무 생각도 할 수 없을 만큼 일이 엉망으로 진행된다면 아마 전혀 책이고 뭐고 못하고 있을 테니까.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7-07-02 18: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로 상관없는 얘기지만, 제가 일본 지하철 안에서 한국 책 꺼내보곤 했거든요,왜 일본사람들은 손바닥만한 문고판 읽잖아요, 저는 막 크고 두꺼운 한국 책 꺼내보면 좀 민만하더라구요.

저도 회사다닐때 출퇴근길 각각 20분 가량 책 읽으면서 다녔어요. 저는 점심도 혼자 먹으면서 책 읽고.(뻔한 드라마수다가 싫어서 혼자 다니기 시작했더랬지요) 그렇게 평일에 은근히 책을 많이 읽게 되더라구요.

비로그인 2007-07-02 2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헤에 - 소중한 시간이군요.
저도 예전에 지하철에서 종종 책을 읽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가끔..
서울에 갈 때, 1시간 이상 전철 안에 있어야 할 때는 책을 들고 갑니다.
책만큼 지루한 전철에서의 시간을 달래줄 녀석도 없고, 가로로 좍- 펼쳐봤자,
A4 크기밖에 되지 않는 그 작은 공간에 몰두해 있다 보면 어느새 주변의 소음들,
복잡함도 잊혀지고 나만의 책속 세상에 폭 담겨질 수 있으니까요.
그러다가 내릴 곳을 지나쳐 U턴해 오는 번거로움도 생기지만 말입니다. (웃음)

짬을 내어 책 읽는 모습 아름답습니다.

토토랑 2007-07-03 09: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이드님 아하~ 한국보다 더 그런가 보군요.. 그래도 한국은 책읽는 사람자체가 작아서 좀 민망할때가 있잔아요. 음음... 아직 일본은 한번도 못 가봐서 그런데 하이드님 글들 너무 잘 보고 있어요.
흑 전 드라마 수다에 낄려고 드라마나 드라마 관련기사들 보던때가 있었는데 역시~~

엘신님~~ 맞아요 U턴.. 흑흑 게다가 다음역이 중간이 붙어 있는데면 다행인데, 플랫폼이 나누어져 있고, 게다가 계단 올라갔더니 반대로 갈려면 표 끊고 나가야 되는데면 대략 난감 -_-;;;

비로그인 2007-07-03 09:57   좋아요 0 | URL
푸하하하핫 !!!! 공감 모드 100%.......(털썩)

향기로운 2007-07-04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토토랑님이랑 L-SHIN님 너무 웃겨요^^;;;; 아, 정작 저도 웃을일이 아니건만... 저는 버스로 출퇴근하기때문에(지금이야 환승이 되지만 그때는..) 반대편으로 건너서 다시 버스를 타고 돌아온 적도 있다지요..ㅠㅠ;;

토토랑 2007-07-04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후훗 향기로운님도 역시나~~ 아 환승되기 전 버스면 무조건 800원 날라가는거지요..
그것도 신호등과 육교나 지하보도를 찾아서. 헤매이다, 신호기다리는데 반대편에 타야할 버스가 지나가면 으읔..하지요 털썩..

향기로운 2007-07-04 1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차라리 아주 멀리까지 갔으면 버스비라도 안 아까웠을거에요. 그치만, 그치만, 달랑 한 코스였는데.. 사실 그 코스가 중간에 다리하나 있어서 엄청 길었는데... 하필 잔돈이 없어서 걸어온적도 있다지요..ㅠㅠ;;;; 눈물이 핑 돌았어요. 그때는.. 에구 바보같이요~

토토랑 2007-07-04 1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향기로운님.. 혹시 .. 그 다리가 양화대교???
만약 한강다리였으면.. 눈물이 날만하죠 ㅡ.ㅜ

향기로운 2007-07-05 1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는 부산이라 양화대교가 어디있는지 모르는데요^^;; 서울쪽 다리라면 아마도 가까운 슈퍼라도 찾으러 다녔을걸요^^ 잔돈바꾸러.. 겨우 해봐야 구포다리에요^^;; 서울다리에 비하면 아마 반에 반도 안되는..ㅠㅠ;;;;

토토랑 2007-07-05 1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차차. 향기로운 님 제가 착각을 잠시~~
제 사촌언니가 구포쪽에 살아서 거기도 대충 알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