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메르, 매혹의 비밀을 풀다
고바야시 요리코 외 지음, 최재혁 옮김 / 돌베개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베르메르의 그림을 찬찬히 들여다 보고 나서 공통적인 사실 하나를 느낄수가 있었다. 높고 큰 창이 존재하고 밝게 쏟아지는 햇살과 그 빛을 받아 더욱 환하게 빛나며 알듯 모를듯한 묘한 표정을 짓고 있는 여성이 아닐까싶다. 물론 남성이 그림의 주인공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그렇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내가 보기에 그는 많은 사람을 등장시키는 것을 꺼려하는 듯하다.  많아도 두 세명이면 끝이다. 물론 네덜란드에서 시민계급의 입맛에 맞는 그림( 즉, 시민의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친근한 풍속화)을 그릴수 밖에 없었던 탓이겠지만서도...내가 본 네덜란드 그림들이라 해봤자 정물화를 즐겨 그린 작가들밖에 생각이 안나니 정물화에서 인물을 찾을수도 없는것이니 당대 네덜란드 화가들은 과연 몇명을 화폭에 담았는지 아니면 그네들끼리의 풍속화에는 몇명을 그리자는 원칙이 있었는지 아니면 작가 마음대로 그렸는지 도무지 알수가 없으니 비교를 해볼수가 없다. 그래서 그는 등장인물을 많이 그리기를 꺼려했다고 마음대로 추측해버렸다.

그리고 그의 그림에는 어떠한 이야기가 숨어 있는듯 한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내 그림에 대해서 맞춰보세요 하면서 어떠한 암시나 힌트를 그림 곳곳에 숨겨둔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베르메르라는 화가는 처음에는 여느 작가들처럼 그런 의도로 하나씩 무언가를 그려놓았다가도 금새 덧칠을 해버리고 아무것도 남겨놓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이 그림에 그런 암시가 설마 있을까 싶을 정도로 아주 일상적인 소품으로 그냥 스쳐 지나가듯 살짝 그려놓고 붓을 놓아버리는 심술을 부렸으니깐 말이다. 마치  "다른 작가들처럼 그렇게 뻔히 보이게 그리지는 않을테야!" 하면서 "난 다 보여주는 그림은 그리지 않을테야!"하는 듯한 고집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작품수도 얼마 되지 않는것도 그가 그리고 싶을때 그리고 그림 외에도 장모의 일을 도와주며 널널하게 살았던 탓도 있지 않을까 싶다. 하여튼 그의 그림은 보면 볼수록 베르메르라는 인간에게 관심이 간다. 그리고 그와 직접 옆에서 대화를 하듯이 마치 퍼즐을 풀듯이 마치 소설을 읽듯이 이야기하게 된다고나 할까?

 그래서 그의 그림이 도난을 자주 당하는지도 모른다. 처음엔 다른 의도로 훔쳤다가도 계속 바라보고 있으면 묘하게 끌려서  돌려주지 않는지도 모를 일이다. 물론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이런 단순한 이유가 아니라 베르메르라는 화가의 정보가 거의 없다는점이나 남아있는 작품의 수가 매우 적은데다 진작 여부를 두고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는 점 , 그리고 유명한 위작 사건에 휘말린 과거가 있다는 점 등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여러가지 수난을 당한다고 하는데 모두다 그의 그림이 가지고 있는 매력탓이렷다!

그리고 그의 그림중에서 연애편지를 읽는 그림들이 상당히 많다. 예를 들어서 창가에 서서 편지를 읽고 있는 여인도 있는가 하면(물론 연애편지겠지?)  연애편지를 다소곳하게 쓰고는 있는데 눈에서는 반짝반짝 빛이 나고 별로 쓰고 싶지 않다고 말하고는 쓸말이 너무 많아서 무얼쓰지 하며 고심하는 티가 역력한 숨은 열정이 숨어있는 여성이 있기도 하고, 편지 쓰고 있는 아가씨 곁에 서서 보초를 선듯한데 힐끔힐끔 그 편지를 읽어보고는 몰래 웃음 짓는 듯한 유모도 있다. 물론 모두다 이 그림을 보고 느낀 나만의 상상일 뿐이지만...혹시나 이 그림들이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서 (편지를 소재로 한 )이 그림들의 제목을 죽 나열해보자면 이렇다.

"창가에서 편지를 읽는 여인"

"편지를 읽는 푸론옷의 여인"

"편지를 쓰는 여인"

"연애편지"

"편지쓰는 여인과 하녀"

"신사, 편지를 읽는 여인, 하녀가 있는 실내"

동양화처럼 다 보여주기 보다 감추고 있는 그의 그림이기에 여러가지로 상상의 나래를 펼칠수 있어서 그림을 보는 내내 너무나 즐거웠고 행복했다. 그가 진실로 담은 이야기는 어떤 것이지는 몰라도 비밀이 많은 베르메르의 그림이라서 더욱 비밀을 캐내고 싶어서 안달이 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