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어
요시다 슈이치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열대어다. 왜 열대어로 제목을 정했을까?

난 책을 읽을때 그 제목에 너무 집착하는 경우가 있다. 왜 그랬을까? 왜 그런 제목이어야만 했을까? 그리고 그 답을 찾기 위해서 정독을 하게 되고 답을 문장속에서 찾게 되면 기뻐하기도 하지만 못찾게 되면 그 답을 찾기 위해서 책을 되돌려서 다시 읽고야 마는 일종의 집착이 있다. 이 책도 마찬가지였다. 왜 열대어일까 하고 표지를 가만히 쳐다보고만 있었다. 그러다 열대어가 아니라 열대야로 잘못 알기도 하고 그랬었다. 표지를 보는건 여기서 그만두기로 하고 책장을 넘겨서 꼼꼼하게 책을 살펴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답을 찾았다. 목수일을 하던 그 남자주인공의 모습이 어항에 갖힌 열대어와도 같다고 껄껄 웃는 교수님이 등장한다. 열대어와 작업복을 입고 땀을 비처럼 흘리며 일하는 목수는 닮았다? 이해 할수도 있을것 같고 이해가 불가능 하기도 하고..

그런데 이 작가의 글은 첫페이지 부터 마지막 페이지까지 이 아리송한 쿨한 문체가 지속된 다는 점에 있다. 내가 이 작가의 글을 처음 읽어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요시다 슈이치라는 남성작가의 글 탓인지 아니면 세개의 단편속의 주인공들이 모두 남성이라서 그런것인지 아니면 폭력성이 짙은 그네들의 성격탓인지도 모를일이다. 가령 일하는 집 주인 아저씨의 딸을 꼬셔서 바람을 피운다던지 잠깐동안의 도피를 위해 떠난 그 시골에서 여관집 안주인을 마냥 기다리게 하고 자기는 본래의 생활로 다시 돌아오고는 그녀가 그를 기다릴것을 알면서도 무참히 잊어버린다거나 자기 여자친구에게 아무일도 아닌일로 화를 내고는 그녀의 집에서 그녀를 나가라고 하는 주객전도식의 인성이나(아니 자기 집도 아니면서 집주인인 여자친구에게 집을 나가라니..허 참..이해 할수 없는 인물이지 않는가?)자기 여자친구가 친한 친구와 바람을 피었다고 해서 그 친구의 여자친구에게 아무일도 아닌듯이 같이 바람이나 피자고 하는 그런 무미건조하면서도 건조한 그 메마름에 난 그만 질려버렸다.

하여튼 다른 소설에서는 느낄수 없는 독특한 문체의 소유자였다.  그의 파괴적이고 무참할 정도로 냉혹하고 냉정하면서도 쿨한 그 성격만이 기억에 남는 그런 작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