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깨지기 쉬운 깨지지 않을 - 바람단편집 3 ㅣ 반올림 11
김혜진 외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7년 10월
평점 :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간 아이들에게 젤 처음 하는 말은 '이제 여러분은 더 이상 어린이가 아닙니다. '라는 말이 있다. 어제까지 허용이 되던 것이 더 이상 허용이 되지 않는다. 새로운 무언가 허용이 되느냐? 아직은 어려서 안 된단다. '어린이도 아니다. 어른도 아니다.
또박또박 너는 청.소.년이야!' 말을 하는데 청소년이란 과연 무엇인가 말이다. 학기 초라면 상급학교에 진학을 했고 교복을 입었다는 것 외에는 어제의 그들과 별로 다르지 않다. "어린이도 아니잖니? 그럼 한 단계 높여 책도 읽어야지." 비록 상급학교에 진학을 했다고, 교복을 입었다고 아이들이 갑자기 크는 것도 아닌데 주변에서 보내는 눈총은 따갑다.
갑자기 크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청소년들이 읽을거리를 생각해 보니 없다. 아동문학 쪽은 이미 포화 될 대로 된 상황이고..... 그렇게 틈새시장으로 한국의 청소년 문학은 시작을 했다. 사계절 출판사가 가장 선두에 섰고...... 지금은 너무나도 많은 출판사가 너도 나도 청소년 문학에 손을 대고 있다. 어떤 출판사는 특정의 주제만 놓고 그 주제를 따라 책을 펴내고 있는가하면 또 어떤 출판사는 외국의 한다하는 작품을 싹쓸이 하다시피 독점 수입하고 있다. 또 어떤 출판사는 그래도 새로운 작가군의 발굴에 의미를 두고 있는 곳도 있다.
최근에 바람의 아이들 출판사에서 나온 <깨지기 쉬운 깨지지 않을>이란 작품은 우리 작가의 청소년 문학이라서 매우 반가웠다. 작품을 끝까지 읽기는 읽었는데 아무것도 머릿속에 남지 않아 당황스러웠다. '언제 어디서, 어느 상황에서나 배운다.'는 장점을 가진 내 안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왜 이러지? 너무 평범해서? 작가가 글을 못 써서? 내 독해력이 떨어져서? 도대체 뭐지?' 그렇게 작품들은 책장 안에 다시 갇히게 되었다. 그래도 뭔가 찝찝함을 지울 수 없었다.
작품에서 빠져나와 출판사에서는 왜 이런 책을 냈을까를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아마도.....
그래, 이 작품에 나오는 아이들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있는 아이들이구나. 너무 흔해서 그 아이들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구나. 특별한 아무개가 아닌 평범한 아이들의 삶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구나. 그렇게 출판 의도를 이해하고 작품들을 다시 보게 되었다.
<깨지기 쉬운 깨지지 않을>에는 총 7편의 작품이 수록이 된 단편집이다. 대부분 새롭게 청소년 문학 작가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젊은 작가들이다.
박정애씨의 '정오의 희망곡'은 아버지와 학습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홍홍이의 사연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다. 홍홍이가 받는 스트레스는 이해를 충분히 하겠다. 그러나 홍홍이는 스스로 그 문제를 해결하려하지 않고 어른들의 뒤에 숨어 누군가 문제 해결을 해 주기만을 바라는 점이 많이 아쉬웠다.
이경화씨의 '쥐포'의 소재는 전교조를 다루고 있어 8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듯 보이지만 그것은 한갓 소품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어느 순간에 운명을 바꾸어 놓을 어떤 사건이나 인물을 만나기도 한다. 주인공 재삼이가 만났던 선생님이 하필이면 전교조 선생님이고 그것이 발단이 되어 자기의 삶을 돌아보고 올바른 가치를 찾아가는 이야기일 뿐이다. 우리 주변에서, 언제나 있을 수 있는 평범한 이야기 속에 재삼이의 성장과 선생님의 성장이 아울러 보이는 작품이다.
이경혜씨의 'Reading is sexy'의 주인공 연저는 작품에서 가슴에 Reading is sexy라는 다소 선정적인 문구가 쓰여 진 티셔츠를 입고 있다. 연저는 별반 내세울 만한 외모를 가진 아이는 아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Reading is sexy라는 문구가 쓰여 진 옷을 입었다는 것은 자신의 내부에 sexy 하지 않음에 대한 욕구의 반대적 표현이 이다. 연저 엄마가 경영하는 분식집에 민기를 데리고 가서 보인 행태들은 연저의 가난하지만 당당함이 아니라 가난으로 인하여 이룰 수 없는 것들을 포장한 것처럼 느껴진다. 때문에 연저의 당당함 이면에 진한 슬픔이 느껴진다.
이상운의 '내가 왜 그랬지'의 현서는 '착한 일을 하고 그 행동이 착하다고 생각하는 논리적인 이유를 써 보라'는 과제를 받음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떤 행동 뒤에 '왜?'라는 의문 부호를 달지는 않는다. 현서는 과제를 위하여 자신의 행동에 의문 부호를 달면서 진짜 '선행'이란 것에 대하여 생각을 한다. 그러다 우연히 만난 노점하시는 할머니를 만나게 되고 착한 일이라고 생각하여 많은 마늘을 사가지고 집으로 돌아온다. 마늘을 산 이야기를 듣게 된 현서의 부모님은 많은 칭찬을 했고 용돈도 두둑하게 주었다. 자신의 선행을 자랑하고 싶었던 현서는 친구를 증인으로 세우고 다시 한 번 노점상 할머니의 마늘을 전부 사려고 하지만 할머니는 화를 내면서 거절을 한다. 지금 현서는 할머니가 왜 화를 냈는지 모른다. 그러나 현서는 생각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할머니가 화를 낸 이유를 생각하고 선행이란 과연 무엇인가 생각하고 또 생각할 것이다. 선이라고 의식하는 그 순간을 냉정하게 생각 해 보면 이면에 자시과시 내지는 동정이 깔려 있다. 또 누구에게는 선이 또 다른 누구에게는 선이 아닐 수도 있음을 이작품은 이야기하고 있다. 현서가 생각하기를 멈추지 않는 한 현서는 성장을 할 것이다.
박상률씨의 '세상에 단 한권뿐인 시집'은 회고조다. 또한 작가는 사춘기의 첫사랑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작품속의 어떤 인물도 살아있지 못하다. 또한 작품의 의도를 알 수 없다.
임태희씨의 '학습 된 절망'은 무엇 하나 딱 부러지게 잘하는 것 없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이걸까 싶어 하다가 보면 '이게 아닌가벼." 이건? 이것도 아니네....... 그렇게 자신의 적성을 찾아 방황하는 우리 모두에 대한 이야기다.
한번씩 '이게 아닌가봐!'할 때마다 삐꾸는 위축된다. 남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대놓고 힐난하고 무시한다. 거듭된 실패, 거듭된 힐난과 무시 속에 나는 소심해지고 절망한다.
"걷지를 못하면 기기라도 해야지"하는 매형의 말에 "기기를 잘하면 어디에 쓸모가 있을까?"를 삐꾸는 생각한다. 삐꾸는 매번 실패하고 매번 절망하지만 "아직은 기는 걸 잘 하고 싶지 않다"-175쪽는 것으로 보아 비록 오늘도 실패하고 힐난을 받을지라도 또 다시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움직일 것이다. 하루 빨리 삐꾸가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았으면 좋겠다.
김혜진씨의 작품'깨지기 쉬운 깨지지 않은'은 이 단편집의 표제작이다. 주인공 시은이는 고3이다. 수시로 대학에 합격을 하고 지금 유리공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중이다. 시은은 상천에게 무심결에 한 거짓말로 인하여 둘의 관계가 깨어질까 두려워한다. 유리는 아름답지만 결코 막 다룰 수 있는 물건은 아니다. 늘 어린애 달래듯 조심하지 않으면 언제 깨질지 모르는 것이다. 그렇다고 깨질지 모른다고 유리를 한갓 장식물로 취급할 수도 없다. 유리는 잘 깨진다. 그렇지만 재활용도 얼마든지 가능한 게 또 유리다. 유리가 깨진다는 것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변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의 관계 또한 소멸하는 게 아니라 새로운 관계 맺음이 존재 할뿐이라는 것을 작가는 이야기 하고 있다.
세상에는 많은 평범함이 존재하고 그중에 극히 일부만이 특별하다. 평범함은 드러나지 않는다. 드러나지 않지만 존재한다. 특별함은 전체를 선도한다. 그러나 평범한 것은 특별함을 도드라지게 하고 특별함이 존재하게 하는 그 자체다. 그런 의미에서 바람의 아이들 출판사에서 나온 <깨지기 쉬운 깨지지 않는>은 의미가 있다.
우리의 청소년의 삶을 보살피는 우리 청소년 문학이 발전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