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소녀 ㅣ 카르페디엠 8
벤 마이켈슨 지음, 홍한별 옮김, 박근 그림 / 양철북 / 2006년 6월
평점 :
<나무소녀>를 처음 접하면서 나는 당황했다.
과테말라 내전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나로서는 과연 이 책을 잘 읽을 수 있을 지 걱정이 되었다. 책을 읽는 데는 별 무리가 없었다. 그렇지만 독후감을 쓸 수는 없었다. 인간이란 대체 무엇인가? 인간이 감당 할 수 있는 고통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과연 인간으로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많은 생각을 했다. 섣불리 내 짧은 글 몇 줄로 책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았다. 거의 한달 가까이 묻어 둔 후 두 번, 세 번을 다시 읽어 봐도 역시 자신이 없다. 몇 마디 글줄로 이 책이 전하고저 하는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전쟁의 소문은 늘 있어 왔다. 소문과 소문...... 머지않아 거대한 폭풍이 몰아치리라.
대다수의 사람들은 ‘설마’하는 의구심을 가지면서도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가비의 가족들 풍족하지는 않지만 자연의 품에서 날마다의 삶에 감사하며 행복하게 살아간다. 가비의 부모님이 불안한 마음에 뭔가 한 조치가 있다면 아홉 명의 형제 중에 가장 영리하고 가장 용감하다고 생각 되는 아이를 선택하여 변화 속에 살아남는 법을 배우고 자신이 배운 것을 가족에게 가르쳐 함께 살아남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가비를 학교에 보낸 일이다.
가비는 나무를 잘 타 나무소녀라고 불렸다.
가비가 열다섯 살이 되는 생일날은 ‘킨세아넬라’ 성인식을 치르는 곳에 군인들이 왔었다.
동생의 킨세아넬라에 와서 행패를 부리는 군인들에게 호르세 오빠는 말대답 몇 마디 했다고 끌려갔다. 그리고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 없었다. 군인들은 자신들이 오빠를 잡아가지 않았다며 반군들의 탓으로 돌렸다. 그러나 가비는 안다. 반군들은 군복을 입지 않는다는 것을, 오빠를 잡아간 것은 군인들이라는 사실을.
마을 사람들 대부분은 공산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가 뭔지 몰랐고 관심도 없었다. 그저 조상들이 살던 대로 가만 내버려 두기만을 바란다. 자신들의 노동으로 소박한 행복을 가꾸면서 살기를 바란다. 그러나 군인들은 때때로 마을에 나타나 반군들에 대한 정보를 요구했고 자신들의 요구를 거절하거나 자신들에게 대항하는 사람들을 죽이거나 잡아 갔다. 이웃마을과 소통하는데 필요한 에스파냐를 아는 사람들을 적으로 간주하여 제거하려고 했다.
가비가 시장에 갔을 때 마을에 군인들이 들어왔고 아버지와 동생 셋은 마을 사람들과 더불어 죽었다. 나뭇가지로 얕게나마 땅을 파 식구들을 묻었고 옆구리에 주먹만 한 총구멍이 난 안토니오도 죽었다.
알리시아와 멕시코를 향하여 가던 중에 가비는 죽어가는 산모의 아기 출산 도와주게 된다. 알리시아에게 아기를 맡기고 먹을 것을 구하러 나섰던 가비는 토악질조차 나오지 않을 만큼 끔찍한 학살 현장에 있게 된다. 나무위에 숨어 죽어가는 사람들을 바라만 볼 수밖에 없었던 가비의 절망감, 무력감, 분노 ......
어떻게든 살아남아 언젠가 내가 목격한 것을 사람들에게 전해야한다. 피의 향연을 마치고 몸을 씻고 말끔한 모습으로 아내와 아이들이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가려는 군인들을 보면서 가비는 생각한다.
살육의 흔적인 피는 씻을 수 있지만 그들의 영혼은 결코 깨끗하게 씻어 낼 수 없을 것이라고. 모두는 당당하게 자신의 죽음을 대면했는데 혼자 나무위에 올라가 숨어 있는 행위는 용감한 행동이 아니었다. 혼자 살아남았다. 나 혼자 살아남았다. 모두가 죽었는데 ....... 다시는, 다시는 나무에 오르지 않겠다.
‘내가 책임져야 할 가족들은 모두 당에 묻혔다. 이제 내데 남아 있는 유일한 책임은 내 배를 채우는 것과 알리시아라는 조그만 여자 아이와 결코 원하지는 않았던 갓난아기를 찾는 일이다’
멕시코 국경을 향하여 가는 가비는 분노와 죄책감과 끝임 없는 죽음의 공포와 불신으로 똘똘 뭉쳐있었다.
천신만고 끝에 도착한 멕시코 의 산미겔 난민수용소.
배고픔, 추위, 무질서.....
가비는 살아야 했다. 옥수수 한 줌, 천 한 조각을 얻기 위하여 자신보다 약한 자를 밀치고 밟고 빼앗아야 했다. 우리 부모님은 날 이렇게 키우지 않았지만 이렇게라도 살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함, 그것이 옳은지 그른지를 따질 게제가 아니었다. 살고 봐야 했다.
어느 날 발견하게 된 자신의 실체.
‘나는 대체 어떤 사람이 되어 버린 걸까? 나의 기품이란 건 내 몸의 때만큼이나 약했던 것일까? 고작 방수막 하나에 자존심을 버리고 말다니, 이렇게 살아남는다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수용소에는 많은 구호품이 필요하다. 그러나 구호품보다 더 절박하게 바라는 것은 희망이다. 전쟁이 곧 끝나리라는 희망, 가족들이 고향에서 다시 만날 수 있으리라는 희망, 희망만 있으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가비의 희망은 어디에 있는가?
기적적으로 가비는 알리시아와 아기를 만난다. 말을 잃어버린 알리시아, 자기 안에 갇혀있는 알리시아를 바라보면서 가비는 동생들을 잘 돌보겠다는 부모님과의 약속을 생각한다. 자기 안에 갇힌 동생을 도와야한다는 책임은 가비에게 삶의 목표가 된다.
수용소에서 만난 마리오 덕분에 가비는 자신의 아픔을 마주 대할 수 있고 주변을 돌아 볼 여유를 가지게 되면서 새로운 삶의 희망을 보게 된다.
수용소에서 얼마나 있을지 모르는데 아이들이 교육을 받지 않으면 인디오라는 걸 평생 수치로 여겨야 할지 모른다 생각한 가비는 학교를 연다.
수용소에서 신뢰를 주었던 마리오가 반군에 들어가려고 수용소를 떠나려하자 가비는 당황한다. 그리고 마리오를 따라가겠다고 한다. 도망치듯 알리시아를 데리고 밤을 도와 떠나려던 가비는 수용소를 떠나지 않으려는 알리시아의 무언의 저항에 부딪힌다.
알리시아는 이런 식으로 가비가 도망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여기, 이 수용소의 아이들이 가비를 필요로 하는데 밤을 도와 도망치는 것을 원치 않았다. 가야한다는 가비와 무언의 저항을 하는 알리시아. 알리시아는 나무를 오르려고 한다. 나무소녀인 가비가 다시는 오르지 않으리라 다짐했던 나무에 오르려고 했다. 가비는 말렸지만 알리시아는 고집을 부렸다. 왜 나무에 올라가면 안 되느냐고, 왜 안 되느냐고. 무엇을 두려워하여 나무소녀가 나무를 겁내느냐고 묻고 있었다.
가비는 이제 안다.
넘어진 그 자리에서 다시 잃어서야 한다는 것을
“나무소녀는 아주 특별해. 겁쟁이가 아니야. 자기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을 가지고 스스로를 나무라지 않아. 나무소녀는 높이 올라가면 떨어질 수 잇다는 걸 알지. 그렇지만 올라가면 새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도 알아. 아주 강하기 때문에 삶에서 좋은 것을 누리기 위해서 나쁜 일을 겪어야 할지라도 그걸 피하지 않고 마주 할 수 있어. 희망을 찾기 위해 어떤 고통도 굳세게 맞서지 삶에서 아름다운 것들을 찾기 위해서 추한 것들을 만난 위험도 무릅쓰고. 다른 사람들은 무서워서 감히 덤비지 못할 대에도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어.”
가비와 알리시아의 눈을 통하여 우리는 너무나 당연하게 존중받고 존중해야 할 공동체가, 순박한 사람들의 삶과 지혜의 터전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 극한에서 인간이 살아남을 수 있는 힘은 과연 무엇인지, 그것은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