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감성소통 - 소통에 답답함을 자주 느끼는가?
신은희 지음 / 좋은땅 / 2014년 6월
평점 :
의료 사고는 시시비비를 가리기가 애매할 때가 많은데, 임의소송이란 환자가고소를 할 수 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 애매한 상황에서 의사를 고소한 경우를말한다. 같은 상황에서 어떤 환자들은왜부당한 치료를 받았다고 느끼고 격분하는가? 캘리포니아 대학교 보건 심리학 교수로있는 셸리 테일러가 쓴 <보살핌>에 따르면 고소를 많이 당하는 의사들은 환자에 관심이없고, 감정이 메마르고, 환자들의 통증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며, 환자들이 호소하난 고통에 전혀 정서적으로 반응하지않는다고한다.
그들은 환자를 배려할 줄 모ㅡ르고, 생색을 내고, 심지어는 환자를 경멸하는의사라는 것이다. 환자들이 의료 행위에 불만을 제기하면 그들은 무례하게 환자의의견을 묵살했고, 설명해달라는 환자의 요구를 무시했다. 한마디로 자주 소송을 당하는 의사들은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했던것이다. 의사들의 소통 능력은 결국 병원의 경쟁력으로 이어진다.
어떤 대상을 백만 명이 사용하면 패션이 되고, 오백만 명 이상이 사용하면 트렌드이며, 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면 문화가된다고한다.
대인관계 능력은 다른 사람들과 서로 조화롭게 협력하는사회적 감성표현능력이다.
장애물이 잔뜩 가로막혀 놓여있는데 어떻게 통할 수 있단 말인가?
바꾸어 말하면 자신의 술로 가득 채운잔에 타인의 술을 받을 수 없으며, 자신의 기준으로 높은 벽을 쌓아둔 채 타인이 넘어오길 바란다는 것은 상대방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즉 상대방과 소통하려면 그쪽에서 쉽게 다가올 수 있도록 내 잔을비워놓고, 길도 시원하게 터놓아야 한다. 함께 나눠야 할 술과같이가야할 길이라면 나만의방식대로 세운 원칙을내려놓고, 기다려주는 인내와 적극적인수용이필요하다. 시간과비용이 들어도나중에보면 그게 훨씬 효율적이다.
불안해하지 말고아집을버리고,용기를 내서 손을 내밀어야 한다. 또 잡아달라고내미는 손이 있다면 주저 말고 두 손 맞잡아야한다. 그럴 때만이온전히 같이 공감할 수 있고 감성의 끈으로 연결될수 있다.
칭찬과 격려에는 감동이 있어야 한다.
- "열심히 해"보다는 "열심히 하고있네", "잘했어" 보다는 "이 일의 성공은 자네의 노력과 공이 가장 컸네"
미식축구 감독이자 동기부여 전문가로 알려진 루 홀츠의 말을 빌리자면, 선수들은 감독에게 마음 속으로 늘 '당신은 내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내가 당신을 신뢰할 수있는가? 그리고 우리팀의 성공을 약속하는가?'라고 질문을 던진다고 한다. 리더는 이 질문에 말이 아닌 행동으로 답해야 한다. 리더의 행동이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야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오랫동안 공들여 준비한 일이 그 실마리마저 잘 안풀릴 때가 있다. 그럴 때 무심히 지나치거나 방치해둔 미미한 문제가 큰 장벽을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살펴봐야 한다. 그야말로 등잔밑이 어두운 것처럼 원인은 내부나 아주 가까운 곳에서 찾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