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뚱하고도 기발한 수학
일본 코미디 수학 협회 지음, 김정환 옮김 / 북스힐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본 수학 코미디협회에서 만든 책이다.

그냥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읽었다. 수학으로 어떻게 유머를 구사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수학자 4인의 기발한 아이디어 이야기다.

엉뚱해서 하하하 웃기도 하고, 이게 말이되나? 참 억지스럽다. 호호 하기도 하고, 우와~ 이런 방법이 이렇게 생각하기도 했다.

확실히 일본 사람들은 우리와는 다른 안목에서 수학에 접근하기도 한다. 그래서 안목을 넓힐 수 있고, 오타쿠적으로 고민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풀이를 해서 그런 면이 존경스럽기도 하다. 그만큼 자기가 사랑하는 분야에 대해 깊이있게 공부하고, 더 쉽게, 더 재밌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 등에 대해 고민하는 측면에서 대단.


첨엔 웃으며 봤는데 역시나 건질 것이 있었다. 로그와 분수를 비교하는 부분에서 유사점. 분수는 분모가 같아야 덧셈, 뺄셈을 할 수 있고, 로그는 밑이 같아야 덧셈, 뺄셈이 가능하다. 또, 분수는 곱셈할 때, 분모와 분자를 약분할 수 있고, 로그의 곱셈에서도 지수와 밑의 약분이 가능하다. 

분수는 덧셈의 세계에서 분자는 분모가 몇 개 있느냐이고, 로그는 곱셈의 세계에서 진수는 밑이 몇번 곱해졌는가이다.

등은 통찰이 돋보이는 점이었다. 


그 외 폰 노이만의 재밌는 일화나 머리카락 개수를 수학적으로 세는 법 등이 흥미로웠다.

우리나라 책들은 천편일률적인게 많은 것 같은데 기발해서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미있는 수학여행 3 - 기하의 세계
김용운. 김용국 지음 / 김영사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김용운 김용국님 형제분이 쓰신 수학책인데요 책 내용 짱입니다. 보통의 우리 나라 수학책 다 내용이나 목차가 비슷한데 이 시리즈는 제 생각에 우리나라 수학책 중 제일 잘 된것같아요. 흥미면에서나 내용선정면에서나 내용면에서~
중3이상 읽으면 좋을것 같아요
짱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만점 프로세스 - 수능.내신 수학 점수를 폭풍처럼 상승시키는
고진석 지음 / 웅진윙스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학문에 왜 공부해야하는가? 이런 질문은 하기 싫은 사람이 하는 질문같다.

수학을 왜 배우느냐고, 산수할줄 알면 되니않냐고?

그럼 국어는 왜 배우나? 말하고 쓸줄 알면 되지. 특히 고전문학은 왜 배워. 옛날글 말 알아서 뭐하게. 그리고 영어는 왜 배우나? 영어 사용안하며 사는 직업 선택할 건데. 같은 논리 아닌가.

 

위 논리는 내 논리이고, 저자의 논리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에겐 설득력 있을 듯.

흔히  대학에서  수학 같은 기초 학문을  전공하면  일하는  분야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워.  그런데  얼마 전에  신믄기사를 보니, 최근 들어 수학전공자들을  필요로 하는  분야가  정말 많아졌더구나. 이들은  특히  문제 해결력이 돋보이는 분야에서  약진하고있더라
KT 김이식 상무가  말하길, 사회에서 수학적인 기법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분위기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구나.  기업이 수학전공자처럼  아는 것보다 배우는 능력이 뛰어난  인재를  찾고 있다는 거야

금융인에게  수학을 가르치기보다는 수학자에게 금융을  가르치기가  훨씬 쉽다

요즘 부자 주  수학전공자의  수가  늘어남.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부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수학이야마로 이런 능력을  키워주는 최적의  학문

주위에  친구들을  보렴  수학 잘  하는 애들 주메 수학만  잘하고  다른  주요과목을  못하는  친구가 거의 없다  대신 특정과목은  잘하지만  수학을 유독 자신없어하는  친구들은 종종 있다  그리고 그런 친구들은  그  특정과목을  제외한  다른  과목에서는 그리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그러니  어느 과목에  한정된 에너지를  더 집중해서  쏟아부어야하는지  감이  잡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은 오묘한 수학방정식
클레망스 강디요 지음, 김세리 옮김 / 재미마주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인생을  수학의  연산, 함수, 복소수, 차원에 빗대어  설명한  만화인데, 작가의  통찰과  위트에  무릎을  치여  재밌게  봤다 ㅎ

인간은 탄생의 뺄셈으로 인해 세상에 나와 내적으로 공허함을  느낀다. 그리하여 그는 채우기 시작한다.  외부에  있는 모든 것들을 집어서 내부로 가져온다.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이런것. 이해하기위해  부여받은  인간의  능력을 사고라  부른다. 사고란 밖에  주어진 것들을 조직하는  능력,감각.

 

연산 을 인간의 출생,  복소수를 인생의 실수부(육체) 허수부(생각 사고 등) 비유한 게 가장 재밌었다.

위트있고 철학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x의 즐거움 - 인생을 해석하고 지성을 자극하는 수학 여행
스티븐 스트로가츠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재한 수학칼럼을 모은 것으로 미국에서 오일러도서상을 수상했으머 과학분야베스트셀러였다 명성에 걸맞는 책이었다
저자 스티븐 스트로가츠의 설명과 번역가의 번역이 매크럽고
너무도 쉬우면서 자연스럽게 설명해줘서 만족스러웠다
또한 부분을 보느라 놓쳤던 전체그림을 보여주었고 큰 그림들간을 이어주어 좋았다
여느 수학도서와 비슷하게 어느 정도의 수학지식이 있어야 이해가 될듯하다
고등학생이상이 보기에 적합할듯하고 아는만큼 보인다고 많이 알수록 이 책에서 느끼는 재미가 클 듯하다
난 아직 많이 공부해야할듯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