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체국 아가씨 ㅣ 페이지터너스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남기철 옮김 / 빛소굴 / 2023년 4월
평점 :
.
오랜만에 츠바이크를 읽는다고 기분이 설랬다. 제목 <우체국 아가씨>만 보고, 속으로 <어느 모르는 여인으로부터의 편지> 같은 소품을 기대했는데 어라, 430페이지 짜리다. 음. 만만하지 않군. 이렇게 생각하고 첫 페이지를 열었다. 역시 츠바이크. 작가 특유의 쓸쓸한 문장으로 사람의 정서를 살살 긁어내린다. 오전에는 거의 할 거 없는 우체국 여직원. “여직원”이라고 했다 해서 성차별 운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우체국은 관료주의의 특권계급이 신성시 하는 사무공간에서는 눈에 띄는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 “성장”과 “쇠퇴”의 법칙 미 적용 지대라고 하면서, 교체할 수 있는 “정부 비품”은 여성이 유일하다고 썼다. 본문을 읽어보면 한 15년에서 20년 정도 여직원이 근무하다가 그만 두면 다른 젊은 여직원이 바로 그 자리를 물려 받아 다시 15년에서 20년 정도 똑같은 일을 한다는 의미다.
수도 빈에서 기차 타고 두 시간 거리, 크렘스 시에서 멀지 않은 곳의 보잘것없는 마을 클라인-라이플링 우체국의 여직원 크리스티네 호프레너. (여기서 처음으로 고개를 갸웃거림. 츠바이크가 크리스티네라는 이름의 여성을 흠모한 적이 있었나? 혹시 첫사랑이야?) 궁정고문관을 했던 삼촌이 우정사업부의 고관한테 청탁을 해 조카에게 얻어 준 일자리로 1926년,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극심한 인플레이션과 경제공황의 고난 속에 그래도 억지로 먹고 살아가고 있던 크리스티네의 권태가 뚝뚝 떨어지는 우체국 오전, 정말로 오랜만에 황동 전신기에서 모스 부호가 울리기 시작하고, 원통형 수신기에 용지를 가져다 댄 크리스티네가 전보을 읽자마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크리스티네 호프레너. 클라인-라이플링. 오스트리아.
너를 기다리고 있다. 언제든지 날을 정해 와라. 오기 전에 미리 도착시간을 알려다오. 클레르-안토니.”
세상에서 가장 지루하게 살고 있는 스물아홉 살의 크리스티네에게 이게 웬 전보. 그러다가 클레르라는 이름이, 30년 전에 지역에선 제법 커다란 스캔들을 일으키고 집에서 쫓겨나 미국으로 건너간 이모, 클라라인 것을 알아챈다. (나도 이제는 확실히 알아챘다! 그래서 별 하나 뺀다.) 미국 남부에서 목화 중개 사업을 크게 성공시킨 이모부 안토니 반 볼렌, 네덜란드 출생으로 이름의 ‘반’은 독일의 폰von처럼 귀족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흔하게 반 고흐처럼 두 번째 이름으로 쓰는 것뿐인 이모부가 이제 사업을 두 아들에게 맡겨놓고 부부동반 해서 스위스 남동부 중에서도 최남단, 풍광 좋은 알프스의 엥가딘 계곡에서도 가장 비싼 팰리스 호텔에서, 크리스티네의 엄마이자 이모의 친언니한테 한 번 놀러 오라고 했던 것이고, 엄마는 전쟁 중에 병원에서 일하다가 얻은 다리 부종 때문에 꼼짝 못한다면서 괜찮다면 크리스티네를 두어 주 휴가 겸해서 보냈으면 좋겠다 했던 것.
크리스티네의 가족은 오스트리아에서도 가장 유명한 박제 장인 집안이었으나 1차 세계대전이 벌어지자 오빠가 전사하고, 전시에 무슨 사치 장식품인 박제, 집안 경제도 거덜이 나, 그래서 아빠도 몸이 아프건만 의사한테 한 번 보여줄 생각도 못한 채 와중에 최절정의 젊음을 향유하려던 크리스티네는 바로 그 젊음이 흐지부지, 시새푸새 빠져나가 버렸다. 살면서 휴가다운 휴가를 지내보지 못한 크리스티네는 그리하여 등나무 가방에 간단한 짐을 챙겨 넣고 알프스 행 기차에 오르고,
여기까지 읽은 다음, 나는, 책을 덮어버렸던 거디다.
왜? 이미 읽은 책이거든.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라는 제목으로. 이게 원래 제목이 Rausch der Verwandlung, “변신의 중독”이다. 독일어 제목만 그대로 우리말로 고쳤어도 애초에 읽을 생각을 하지 않았을 것인데, <우체국 아가씨>라니, 거 참. 우리나라에 츠바이크 팬이 많아 나같이 덜 떨어진 독자라면 책을 또 사서 후회하고 자빠지지 않겠나 하는 출판사가 뇌를 좀 굴렸는지 모르지만, 진짜 그랬으면, 지옥 간다, 지옥 가.
내가 이렇게 거품 문다고 해도, 이 책은 읽어보시라. 진짜 츠바이크, 소위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꼽을 수 있을 만큼 매력적인 반전의 마무리를 준비하고 있는 작품이니. 어쨌든 나는 츠바이크 말고, <Rausch der Verwandlung> 또는 <크리스티네, 변신에 도취하다>가 아닌 <우체국 아가씨>라는 책을 읽다가, 더 읽을까, 하다가, 이만큼 읽어준 것만 해도 충분히 성의는 보여준 거다, 싶어 덮어버렸다는 것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