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자서전 - 상
버트런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사회평론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일기나 자서전 등 개인적 삶에 치우친 글을 읽기를 싫어한다. 자신의 삶을 대중에게 공개해 평가를 받을 만한 의미있는 인물이 그렇게 많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지금까지 읽어본 자서전이라고 해봤자 공병우의 '나는 내식대로 살았다' 정도이다. 그런데 여기서 의미있는 자서전 한 권을 추가해야 겠다. 바로 러셀의 자서전이다.
 

 러셀의 자서전의 의미는 이미 그의 프롤로그에 잘 나타나 있다. 사랑에 대한 갈망, 지식에 대한 탐구욕, 인류의 고통에 대한 연민이야말로 러셀의 인생을 지배해온 열정이었다. 자서전 전체에 걸쳐 러셀이 어떻게 이 가치를 위하여 살아왔는지가 잘 나타나 있다. 자기 자신의 입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 주고받은 서신에서 그의 삶의 열정이 고스란히 전달된다.

 

 러셀이야말로 자신의 가치를 공동체의 삶과 연결시키는 방법을 안 사람이다. 러셀의 삶에 '멋있다'는 수식어를 붙이는 게 주저하지 않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자신을 위해서 사는 사람은 많지만 타인을 위해 자신의 삶을 연결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러셀의 첫 번째, 두 번째 가치와 더불어 세 번째 가치가 더욱 중요한 이유가 거기에 있다.

 

 자서전 1권에서는 러셀 스스로 세 가치에 눈뜨는 과정이 드러나 있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사랑과 지식에 눈뜨고 1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평화운동을 전개하며 연민에 눈뜬다. 자서전이 점차 중년기와 노년기로 들어갈수록 러셀의 삶은 정치적 삶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3권에 이르러서는 개인적인 에피소드보다는 시민불복종운동과 반전운동의 공적인 삶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개인적으로 1권이 자서전 2권과 3권에 비해 재미있다. 러셀과 친분있던 사람들의 속속을 엿볼 수 있는 에피소드가 많기 때문이다. 러셀 스스로 3권 머리말에 밝히고 있듯이 명예훼손 등을 염려해 뒤로 갈수록 다른 사람과 얽힌 사적인 이야기의 비중이 줄어든다. 그러나 공동체 삶을 위해 헌신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3권이야말로 러셀이 오늘날까지 생생하게 기억되는 이유이다. 한 인물이 살아온 여정을 보면서 삶의 가치를 고민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학적 논리학
앤서니 그레일링 지음, 이윤일 옮김 / 북코리아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공부가 힘든 이유는 철학의 각 영역이 서로 얽혀 있어 실타래를 푸는데 내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각 영역은 다른 영역의 이해가 부분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그 내공을 키우는데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다. 그랠링의 책은 철학적 논리학의 영역에서 이 실타래를 푸는데 더할나이 없이 좋은 책이다. 명제, 분석성, 필연성, 선험성, 존재, 전제, 기술, 진리, 의미, 지시, 실재론, 반실재론 등의 철학적 주제를 저자의 내공을 담아 충실히 전달하는 책은 드문 것 같다.
 

 물론 이 책은 사다리를 올라가기 위한 첫 발판만을 제공할 따름이다. 저자가 밝히고 있듯이 이 책의 각 장은 그 장의 주제로 한권의 입문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전체 9장에서 8장 까지 각 주제를 자신의 관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공정하게 논의의 배경을 전달한다. 그리고 마지막 9장에 이르러서야 자신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개진한다. 적어도 관심있는 주제를 펼치고 해당 주제의 숲 조망을 얻는데 좋은 안내서이다.

 

 그러나 이 책은 철학의 완전한 초보자를 위한 책은 아니다. 적어도 이 영역에 약간의 지식이 있거나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독자만을 위한 책이다. 각 장은 앞서 언급했듯이 그 하나로도 상당한 논의거리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독파하기에는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각 장의 처음 절에서는 쉬운 주제를 배치하기는 했으나 그 역시 상대적이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듯하다. 공부방법으로서 약간의 팁을 제공한다면 색인을 이용하여 관심있는 철학자나 주제를 찾아가면서 공부를 해보는 게 좋다.(한글색인이 자세히 정리되어 해당 주제나 철학자의 견해를 종합하며 읽어나가는 데 도움이 된다.)

 

 다른 철학영역뿐만 아니라 철학적 논리학을 위한 한국어로 된 좋은 입문서가 드물기 때문에 외국어로 된 입문서를 선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기본적으로 번역되어야 할 책도 번역서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 그 핵심에 접근하기 힘든 게 우리의 현실이다. 좋은 입문서를 만나게 되어 기쁘지만 이 책도 번역상 약간의 오자, 탈자 등이 보인다. 마지막 교정에서 조금 더 신경을 썼다면 좋았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건축가 안도 다다오 - 한줄기 희망의 빛으로 세상을 지어라
안도 다다오 지음, 이규원 옮김, 김광현 감수 / 안그라픽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도 다다오, 그늘에서 빛을 본 건축가. 건조한 번역탓에 열정이 전해지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롤리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권택영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부터 따라다녔던 물음은 하나밖에 없다. 그 질문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자유주의 대안론 - 신자유주의 혹은 시장만능주의 넘어서기 창비담론총서 3
최태욱 엮음 / 창비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비식 글쓰기는 얼마나 실천될 수 있을까? 거시적 담론은 언제나 무겁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