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빛 오후의 만남 - 루이스 캐럴의 판타지 동화 <앨리스>의 세계
양윤정 지음 / 열음사 / 2006년 3월
평점 :
품절


  
 

'앨리스’ 열풍 뒤에 그늘

 서점가에서 베스트셀러는 여지없이 자본의 논리를 따른다. 거대 출판사의 물량공세에 발맞춰 베스트셀러가 만들어진다. 무엇보다 인기있는 드라마나 영화에 노출된 책은 여지없이 입소문을 타고 팔려나간다. 근래에 서점가 베스트셀러순위에 꾸준히 선보인 ‘앨리스(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거울나라의 앨리스)’도 여기에 힘입고 있다. ‘앨리스’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내가 아끼는 책이 많은 이의 손에 놓인다는 소식은 기쁜 일이다.  


한국에서 ‘앨리스’를 여지껏 소비(?)했던 이들은 대부분 어린 아이였다. 동화로서 ‘앨리스’는 충분히 매력이 있지만 어른의 눈에 띄지 못했다. 그 이유로는 ‘앨리스’가 지닌 해석의 어려움에 있다. ‘앨리스’를 읽어본 독자라면 기억속에 중구난망의 줄거리가 엉켜있다. 읽었으나 읽지 않은 책으로 남아있는 책이 ‘앨리스’ 설명하는 수식어이다. 아이의 동화로서가 아니라, 어른의 동화로서 ‘앨리스’를 독해하기 위해서는 이런저런 도움이 필요하다.

앨리스를 어떻게 읽을까?


양윤정의 ‘황금빛 오후의 만남-루이스 캐럴과 동화 <앨리스>의 세계’는 이런 면에서 도움이 될만한 책이다. 영문학자로서 저자는 앨리스의 문학적 가치부터 시작해서 앨리스에 나타난 판타지 동화의 특성을 분석한다. 학위논문의 성과를 출판한 관계로 이 책은 영문학, 특히 아동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독자에게는 상당히 지루하다. 그 중에서도 저자가 ‘앨리스’의 판타지 동화의 특성을 전래동화로서 프로프의 ‘민담 형태론’과 아르네와 톰슨의 ‘민담의 유형’을 동원한 4장 1절이 특히 그렇다.  


일반 독자라면 2장의 루이스 캐럴의 문학적 생애와 <앨리스>의 형성과정과 4장의 2절 삶의 비평을 담은 <앨리스> 정도가 읽어볼 만한 내용인 듯하다. 이 부분은 ‘앨리스’의 의미를 두 가지로 전달한다. 하나는 질서의 탐색으로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읽는다. 둘, 사랑에 대한 탐색으로서 ‘거울나라의 앨리스’를 독해한다. ‘앨리스’의 의미를 전달하는 이 절은 기존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다. 저자 나름의 독특한 해석을 기대한다면 아쉬운 대목이다. 

 
저자의 머리말 독백처럼 ‘앨리스’를 어린아이의 전유물인 동화로 간주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앨리스’의 문학사적 가치를 저자가 그토록 강조하는 이유는 우리가 아이와 어른의 경계를 이분법으로 나누는 데 익숙하기 때문이다. ‘앨리스’는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즐거움이 있지만, 어른의 눈높이에 맞는 색다름도 있다. 저자의 말처럼 ‘앨리스’는 삶을 비추는 거울로서 그 역할을 담당한다. 

 

꿈과 현실의 경계

 ‘앨리스’는 모두 꿈에서 시작해 깨어나며 끝난다. 앨리스는 영원히 꿈에서 존재하는 어린아이이다. 우리는 루이스 캐럴처럼 앨리스를 영원한 7살 어린 소녀로 기억한다. 앨리스의 매력은 시들지 않은 젊음에 있다. 현실에서 청춘은 순간이지만 꿈속에서는 영원하다. 꿈에서 깨어난 앨리스는 황금빛 오후의 서늘한 미풍을 맛본다. 앨리스의 모험은 현실로 돌아올 수 있는 꿈이기에 아름답다. 가끔 찌든 생활에서 벗어나려 할 때마다 나는 ‘앨리스’를 꺼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