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외롭고 쓸쓸한 밤 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3
박완서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완서 소설은 타인이라는 속절없는 속물의 세계와 내부에 존재하는 구멍 사이에 좁혀지지 않는 혼돈을 이야기한다.


소견으로는 아무리 보아도 갈피를 잡을 없는 막막한 혼돈(p.316), 


비로소 내가 철들고 덮어놓고 몸을 던진 광대무변한 혼돈 속에서 무엇인가를 보았다고 말할 있을 같았다. 그건 사람마다 죽자꾸나 쫓고 쫓기고 있다는 거였다.(p.326)


둘은 <무중(霧中)> 문장이다. 무중의 나는 맨션 아파트 1층에 이사 살기 시작했다. 1층에 사는 나와 옆집 남자 둘뿐. 나는 나이 남자가 마련해준 집에 살면서도 도망칠 틈을 두기 위해 1층을 고집했다. 나는 매일 남자의 쫓기는듯한 숨소리를 들으며 남자와 불안을 야금야금 나눠먹을 꿈을 꾸고 그에게 다가가고 그의 베란다에 숨어들지만, 그는 현상금이 붙은 남자였음이 밝혀지며 소설은 끝난다.


소설 <로열 박스> 비슷하게 아파트에 살게 여성의 이야기다. 재벌의 둘째 아들인 남편이 갑자기 가문을 물려받을 위기 속에서 정신병원에 들어가게 혼자 시아버지와 같은 단지 아파트에 살게 그녀에게 보험을 들라며 친구가 찾아온다. 친구의 속물성이나 <무중> 반상회에서 만난 여자들의 속물성. 그러나 결국 속물성 뒤에 또한 소설 화자거나 주인공인 이들의 속에도 '욕망' '지글대' 있으며 욕망의 부딪힘 속에서 커져가는 혼돈의 구멍을 박완서 소설은 주시한다. 내부에 뚫려가는 구멍.  '마음을 좀먹고 있는 불안'.

 

박완서의 소설은 하나같이 무섭다. <육복>에서 아내는 사우디에서 일하던 남편이 서울로 발령난 대해 화를 낸다. 그런 더러운 막노동꾼꼴로 우리 집을 매일 드나들거. 집을 남편이 더러운 막노동꾼꼴로 만들어냈음에도. , 하지만 그게 나다. 그게 사람이다.


<천변풍경>에서 남자는 약수터에서 만난 이들의 속물근성에 치를 떨지만, 실은 그가 그들보다 아래 연배임에도 일찍 자리에서 물러나 겉만 속절없이 늙어버렸음이 후반부에 밝혀진다.


<그의 외롭고 쓸쓸한 > 광고 카피라이터인 남자가 말로만 어머니방을 만들어두었다 어머니가 실지로 서울로 집에 살겠다고 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다룬다. 남자도 어머니도 속에 진득하게 들러붙은 욕망이 덕지덕지 추해져버린 어떤 덩어리로 그려진다.


<아저씨의 훈장> 전쟁 조카만 데리고 남한으로 아저씨가 혼자 늙어 버려져 자기 아들 이름을 부르는 것으로 끝이 난다. '아저씨' 입때껏 자신을 치장했던 도덕성이 벗겨져 버린 모습.


<무서운 아이들>에서 '' 약혼한 남자에게 아버지의 사업이 망한 퇴짜 맞고 선생이 반의 지능발달이 늦은 아이를 자기 아이들이 시키자 아이에게 훔치든지 빼앗으라고 한다. 말이 실수임에도 그녀는 통쾌함을 느낀다.


<소묘>에서는 시어머니가 화분을 가꾸며 남편과 아들과 며느리를 보이고 싶은 방식으로 외부에 노출시키고 집안 사람들은 자기 욕망에 시들해진 오락을 하는 아들(남편) 손길에서 거침없는 욕망을 보는 것으로 끝이 난다.


박완서 소설 인물은 하나같이 욕망 앞에서, 늙음 앞에서 속절없다. 그게 삶이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7
조지 오웰 지음, 김병익 옮김 / 문예출판사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거대한 이야기도 인물에서 시작한다.

결국 세계는 사유이므로.

그러나 무서운 문장이 다시 돌아와, 모든 객관이 무화된다.

권력-타인에게 고통을 줌으로써 자신의 권력을 확인하는 .

그러므로 세계에 남는 것은 고통뿐이 없게 되는

그것이 실은 인간성의 본질일 있다는 .

고독 속에서 희미하게 쫓는 사랑, 껍데기뿐인 그러나 존재할 수밖에 없는 사랑. 마지막 문장은

He loved Big Brother.

 

20130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와 빤하게 연결된 현재, 이상에 이르지 못하는 실재, 비대하고 멋대가리 없는 외형, 시대의 돌봄을 받은 적은 거의 없지만 알아서 먹고살며 시대 - P94

를 이루었고 이제 시대의 뒤꽁무니에 남은 사람들, 아 사기꾼들, 여소녀 자신을 비롯한 거짓말쟁이들, 그것도 조그맣고 하찮은 스케일의 사기밖에 칠 줄 몰라 여전히 보통 사람으로 여기 남은, 내 이웃들…… 여소녀가 이해하기로는 그것이 세계의 기운이었다. 여기를 제대로 재생하려면 거짓말하지 말고 그것을 보여주어야 했다. 그들이되살리려는 것을 그들이 제대로 알아야 했다. 제대로 알려면 말이지 제대로 하려면……… 최소한 이 공간에서 인생을 보낸 사람들의 이야기 정도는 펼쳐져야 하는 거 아니냐……… 그들이 각자 어떤 질병을 앓고 있는지 여행은 몇번을 가보았는지를 알아보고 가족도 다 만나고 그들의 자녀는 어떤 학교를 다니고 어떤 직업을 얻었는지, 그중에비정규직은 몇 퍼센트인지까지도 다 알아봐야 했다. 그이야기들로 두루마리를 만들어 이 거대한 상가의 내벽과외벽을 몽땅 덮어버려야 했다.
- P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살던 용산 평화 발자국 2
김성희 외 지음 / 보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써 4 전일이다.(20130115) 라디오에서였나 참사 소식을 듣고 바로 서울역에서 집회가 있다고 해서 버스에서 내렸다. 날이 몹시 추웠지만 참을 수가 없어서. 학원에서 돌아오던 길이었다. 아는 사람도 없는 집회장에 혼자라도 서있고 싶었다. 사람들 편이 있다고 그냥 하나의 숫자를 더하는 것이라도 알려주고 싶었다.


그들에게 4년은 지금 내가 느끼는 것과는 아주 다를 것이다. 하루가 너무나 빠르거나 너무나 느리거나, 다른 속도로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책은 아주 평범한 사람들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수도 없이(무전유죄 유전무죄란 말조차 너무 흔해져 버려 아프지도 않아져 쓰고 싶지 않다) 그만 죄인이 되고 죄인으로 죽어가게 되었음을 말한다. 살려고 올라가는데 아무렴 죽이기야 하겠어 라고 했지만 죽어버린 사람들의 삶이 얼마나 평범했는가 아주 평범한 사람들이 철거민이 되고 그들에게 자식이 있고 누군가의 아버지이고 누군가의 어머니인 그들이 그저 삶을 계속해나가기 위해 망루에 올라갔음을.


용산은 지금 번화가가 되었다. 이들 다섯 명의 죽음과는 무관하다는 번뜩이는 고층 건물들. 건물들에 있는 제한된 사람들의 평화, 제한된 사람들을 위한 법이 맞느냐고 책을 보다보면 다시 묻게 된다.


그가 다시는 용산 같은 참사가 일어나지 않게 하겠다고, 시장 취임 자리에서 말했던 것은 좋았다. 2년이 넘은 사건인데도 여전히 가슴 속에 새겼다는 . 그것이었다.


세상은 이상한 곳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롭거든 산으로 가라 - 산, 사람 그리고 인생을 만나는 행복한 산책山冊
김선미 지음, 이한구 사진 / 해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에 나온 책은 읽어 보고 싶다.


남극일기에 대한 글을 보다가는 왈칵, 버스에서 했다.


"인생에도 크레바스는 도처에 숨어 있다. 때로 크레바스에 빠지기도 하고 뼈가 부러진 덮인 설원 위를 기어서 가야만 수도 있다. 끝이 보이지 않는 막막한 길을 누군가와 안자일렌을 했든 없이 혼자서 걸어서 갔든, 결국 살아남는 것은 각자의 몫이다."


크레바스에 빠져 있을 책을 읽었다. 언젠가 크레바스를 빠져나가겠지, 죽을 만큼은 아니니까.  그런 마음이었다.


책에 대한 글이다. 산에 다녀온 사람들이 , 외국과 한국의 등산인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산에 갔는지 알려주는 . 마디로 정의되지 않는다. 당신은 그렇게 사느냐고 물으면 절대 마디로 말할 없는 것과 같이. 이후 몇몇 등산인을 만나고 그들은 한결같이 없다고 했다. 나한테 산이 뭐냐고 물으면 자신도 대답할 없다고. 대답할 없어서 가는 걸까. 대답을 찾고 싶어서.


때때로 고속도로에서 보면 우리나라는 산이고 능선을 걷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신들이 걷고 있는 길처럼 거대하고…



201301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