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것
1. 청갈색책: 수 시간 읽음
2. 청갈색책과 관련하여 수 시간 동안 글 한편 씀, 그리고 지움
-----------------------------------------------
-.-

-비고
1. 시간통계가 거의 허물어졌다...-.-
2. 이번 달로 직장을 그만 둔다. 그리고 아마 8월쯤에 한국 밖으로 나갈 것 같다. 마음이 떠 있기 때문에 하나에 집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책을 읽는 대신 많은 웹 페이지를 읽었다. 그 의미는 그냥 시간 보내기...
3. 그러나 지난 주 리뷰를 구태여 지금 적는 이유는... 반성이고 시간통계를 계속 이어 보겠다는 의지.
4. 청갈색책 읽기. 읽다가 이해가 되지 않으면 jEdit에 문장을 타이핑해 넣고 한참을 바라보고 번역을 해 보고 코멘트를 달아 본다. 그렇게 느리게 느리게 어렵게 어렵게 한 문장씩 나아간다. 방바닥에 누웠다가 커피를 마셨다가 친구에게 온 전화를 받았다가. 그렇게 한 두 페이지를 나아가다 보면 굳이 jEdit에 타이핑해 넣을 필요 없이 문장이 읽히는 지점이 나온다. 언젠가는 가파른 등성이가 끝나고 평지가 나오게 마련이듯이. 그때 느끼는 작은 행복. 미소.
그러면. 그렇게 수고스럽게 읽은 문장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철학적 질문들의 무의미함. 그러니 철학은 스스로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이 튀어나올 수 밖에 없다.
첫째. 어쨌든 비트겐쉬타인은 철학적 활동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즉, 자기반성적, 혹은 자기성찰적 활동. 둘째. 나 자신의 고백인데, 그러한 활동에서 영원성에 대한 욕구의 일부가 충족됨을 느낄 수 있다. IT 관련 웹 페이지들을 읽고 그에 관한 나 자신의 의견을 형성시켜 가다가 문득 깨달은 것은, 그런 것들이 내게 별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
Men grow cold as girls grow old
And we all lose our charms in the end
But square cut or pear shaped
These rocks don't lose their shape
Diamonds are a girl's best friend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것
1. code name GA: 2.01
--------------------------------
총 2시간 1분 읽고 씀-.-

-다음 주 계획
1. 페이퍼: 청갈색책의 두 가지 번역본
2. 부자 통장 리뷰

-비고
1. 많은 일을 하지 않았다.
2. 집중해야 할 일이 하나 있다. 그에 들어가기 전에 저 두 일을 끝내 버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계획했던 것
1. 부자 통장 리뷰[빚]
2. 구글노믹스 리뷰[포기]
3. 헤드 퍼스트 프로그래밍 리뷰[완료], 6/4, 6/4, 2.18
그리고
4. 구글노믹스 재독[완료]: 4.13
5. 헤드 퍼스트 프로그래밍 연습[계속]: 3.10
6. code name AS[완료]: 1.13
7. code name GA: 0.52
8. code name SP: 0.28
9. code name GR[완료]: 2.00?
------------------------------
총 14시간 34?분 읽고 씀

-비고
1. 위클리 리뷰가 늦었다.
2. 구글노믹스 리뷰는 포기하기로 한다. 부채 탕감하는 차원에서 깨끗하게 포기하기로 했다. 내 속에서는 저 책에 대한 비판적 관점이 자라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그것의 전모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글노믹스의 주 포인트는 사용자의 자율적 통제권 강조, 그리고 무료 비즈니스 모델 등일 것이다. 나는 저자가 현상을 심층적으로 파고들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인지 많은 점에서 솔직하지 못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예를 들자면 애플이다. 저자는 애플을 예외라고 인정한다. 애플은 사용자에게 통제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잡스가 모든 것을 통제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애플 역시 여러 면에서 구글적이라고 한다. 둘 다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고 단순함을 추구하는 기업이고 등등... 그러나 이런 공통점은 이 책의 주포인트에 비추어 볼 때 본질적인 것이 아니다. 이 책의 주포인트에 비추어 볼 때 두 기업은 양 극단에 위치하고 있다. 저자는 그 점을 심층적으로 해명해 주어야 했다. 은근슬쩍 넘어가면서 나의 짜증을 유발하는 대신에. 구글은 검색 서비스를 매개로 한 광고중개업자다. 그래서 구글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본적으로 무료 모델이다. 요컨대 구글은 광고로 먹고 사는 방송사와 같다. 반면 애플은 컨텐츠 공급자(예컨대 거대 음반사)와 소비자들이 연결되는 공간으로 자신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애플은 자신의 플랫폼에서 컨텐츠의 검색-구매-결제-배달-유지보수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것이 불법복제본을 구할 때 드는 비용보다 저렴하다는 것을 보증하여 성공했지만(즉, 네그로폰테의 아이디어를 구현했다) 그럼에도, 당연히 유료 모델이다. 구글은 무료 모델이므로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선택권, 통제권을 부여하지만 애플은 자신이 최대한 통제권을 행사하면서 대신 제품의 질을 보증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여기서 하나의 숙제가 생긴다. 컨텐츠의 질과 사용자 통제권 사이의 관계라는. 저자가 책에서 긍정적인 면만 말한 디그 닷컴이 하나의 예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트래픽에만 의존하여 수익을 얻는 언론의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앱이냐 웹이냐 하는 논쟁도 그렇다. 안드로이드 마켓의 문제도 그렇다. 저자가 아이디어를 낸, 조리법을 공개하고 고객들의 의견을 받는 식당에 대해서도 그 음양의 양면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모든 것을 구글화하려 하며 구글화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마치 창의적 아이디어의 부족인 것처럼 여기는 듯 하다. 내가 보기에는 저자의 관점이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는 것 같다. 나는 다양성과 질과 깊이를 어떻게 보증할 것이냐 하는 질문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런 질문은 저자에게 그리 중요하게 취급되지 않는 것 같았다. 그러나 구글 방식이 다양성과 질, 깊이를 보증할 수 없는 영역에서는 분명 새로운 방식이 호응을 얻을 것이다. 애플이 그 한 예인 것은 분명하다. 나는 좀 더 유연한 사고에 대해 듣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계획했던 것
1. 플랫폼 전략 리뷰 쓰기[완료], 5/29, 5/29, 1.10
2. 헤드 퍼스트 프로그래밍[완료], 5/23, 5/28, 3.53
3. 구글노믹스 리뷰 쓰기[빚]
-그리고
4. 페이스북 이펙트(이준구 저)[완료], 5/23, 5/24, 3.25
-----------------------------------------------
총 7시간 28분 읽고 씀

-다음 주 계획
1. 부자 통장 리뷰
2. 구글노믹스 리뷰
3. 헤드 퍼스트 프로그래밍 리뷰

-비고
1. 시간 통계가 점점 허물어져 가고 있음을 느낀다. 이주 동안이나 빚으로 남아 있는 일이 있는데도 태연하다-.-
2. 시간  통계가 이것밖에 안나왔지만... 많은 블로그 글들을 읽었고 프로그래밍 연습을 했고 노트를 작성했고 읽은 책들을 다시 읽었고... 그랬다. 그 결과물들을 이 블로그에 올리기는 좀 그래서 적당한 곳을 찾고 있었다. (그래서 찾았다.) 아무튼 시간 통계를 엄격하게 준수하기로 하자.
3. 커크패트릭의 "페이스북 이펙트"를 읽으면서 좀 충격을 받았다. 마크 주커버그는 인터넷을 새로 정의하려는 야망을 갖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주커버그가 책의 저자에게 선물경제gift economy에 대해 아느냐고 묻는 대목에서 나는 깜짝 놀랐다. 나는 그 개념을 서키의 책이든가, 자비스의 책이든가에서 읽은지 얼마 안되었기 때문이었다. 주커버그는 자신이 하려는 일이 어떤 일인지, 어떤 일이어야 하는지를 두고 오래 숙고를 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해답 중 하나를 적절히 표현해 주는 개념을 발견해 낸 것이었을 것이다. 나는 그것이 시대가 진화해 가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사람들이 룻소나 볼테르의 문장에서 자신들의 사고의 표현을 발견하던 방식이었을 거라는 얘기다. 룻소나 볼테르를 일러 철학자, 사상가라 한다면 우리 시대의 사상가는, 내가 보기에는 구글이나 페이스북, 애플과 같은 시대의 아이콘을 경영하는 사람들인 것 같다. 그들은 무엇보다도 엔지니어들이다. 구글의 창설자들은 검색 알고리듬을 만든 사람이고 페이스북의 CEO는 페이스북을 직접 코딩한 사람이고 애플의 독재자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룩앤필을 픽셀 단위로 검토하는 사람이다. 그러면서 그들은 시대의 흐름을 조망하고 자신의 방식대로 시대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지구상의 인간을 기준으로 평가한다면 가장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 사람이다. 말하자면 그들은 슈퍼 파워 테크놀로지스트다. 나는 갑자기 그들의 머리 속을 들여다 봐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짐작하듯이... 체했다.
4. 비트겐쉬타인의 청갈색책 원서가 왔다. 번역에서 문제가 되었던 부분만 한번 쓱 보고는 구석에 던져 두고 있다. 나의 블로그의 주 테마는 철학이다. 그러나 철학은... 어렵다. 일단 사고가 어렵다. 그리고 건설적이라기보다는 비판적, 파괴적이다. 그리고 무용... 하다. 나는 곧 청갈색책으로 돌아갈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마치 내게는 짐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5. 철학, 주로 Spinoza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별도의 블로그를 하나 만들것[someday], modern times라는 주제에 걸맞는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별도의 블로그를 하나 더 만들 것[someday]. 너무 과한 욕심을 부리지 말 것. 
6. 5월 한달 동안 7권 혹은 8권의 책을 읽었다. 그러나 리뷰는 2권에 불과하다. 빚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16 ~ 5/22
-계획했던 것
1. 청갈색책 갈색책 부분 완독하기[못했음],5/16,,1.06
2. 페이스북 이펙트 완독하기[완료], 5/11, 5/16, 6.00?, [총]10.58
3. TED 세 개 보고 리뷰 쓰기[못했음]
4. 영어 공부 매일 진척 상황 기록하기[못했음]
5. 부자통장 리뷰 쓰기[못했음]
6. 구글노믹스 리뷰 쓰기[못했음]
7.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 리뷰 쓰기[완료], 5/22, 5/22, 2.45
8. 초월하는 애플 추월하는 삼성 리뷰쓰기[완료] , 5/22, 5/22, 1.42
9. 아이폰 사진 스쿨 완독하기[완료], 5/20, 5/20, 1.08
-----------------------------------------------------------
총 12시간 44분 읽고 씀(지난 주랑 똑같다!)

-다음 주 계획
1. 플랫폼 전략 리뷰 쓰기
2. 헤드 퍼스트 프로그래밍
3. 구글노믹스 리뷰 쓰기

-비고
1. 이번 주는 좀 놀자 했는데 막상 시간 통계를 보니 아주 놀지는 않은 것 같다. 지난 주에 진을 좀 뺐고, 월요일에 서울 갔다 내려왔고, 우분투 리눅스를 다시 갈아엎고 윈도로 복귀했고, 시간 통계를 의식하면서 사는 것에 짜증이 날 때도 되었고, 어짜피 한 주 놀면 다음 주부터는 정신 바짝 차리겠지 하는 마음도 있었고 해서 어느 정도 게으름을 부린 한 주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쨌든.
2. 계획을 좀 단순하게 짜기로 했다. 너무 빠듯하면 결국 지치게 마련인 것 같다. 단기적 성과는 풍성해 보일런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구색만 남는 것 같다.
3. 책을 몰아서 읽지 말자. 하나 읽고 리뷰 하나 쓰고 다음 책으로 넘어가고... 이렇게 하자. 완전히 소화시키고 다음 음식을 먹자는 이야기. 아직 리뷰가 너댓 개 남은 것 같다. 이것들 끝날 때까지 새로운 책에 들어가지 말자. 그렇다고 리뷰만 써댈 수도 없으니 프로그래밍 책을 보자!^^
4. 계획된 것들에 손대기가 싫어서 이것 저것 잡다한 것들을 건드렸었다. 그러나 그것들은 시간 통계에 올라 있지 않다. 집중된 시간이 아니었다는 의미다. 만약 TED 보기를 계획에 넣어 놓지 않았다면 그 시간에 TED를 봤을 것이다. 인간의 심리란 묘하다. 똑같은 의미지만 달리 표현하면, 인간의 심리란 너무도 뻔하다. 푸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