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은 존재자들을 분별하고 그것들 사이에 올바른 질서를 부여하려 시도한다. 예를 들면 우주에는 자연 사물, 인공 사물, 관계들, 사건들, 속성들 등등이 존재한다. 아마 존재론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바로 이 '등등'과 관련된 것일 것이다.


예를 들면, 이 방 안에 3 명의 사람이 있다고 하자. 이 사실에 대한 기술은 '이 방 안에는 ㄱ이 있고, ㄴ이 있고, ㄷ이 있다'로 완료되지 않는다. '그 밖에는 아무도 없다'가 첨가되어야 한다. 이 첨가는 철학적으로 곤란한 문제를 낳는다. 예컨대, 이 '그 밖에는 아무도 없다'는, 우주의 모든 사람들 하나 하나에 대해 그들이 이 방 안에 없음을 주장으로 것으로 표현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가 럿셀과 비트겐슈타인의 갈라짐의 단초이기도 하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아궁이에 불을 때는 사건 ㄱ이 있고,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사건 ㄴ이 있다. 그리고 이 두 사건 사이의 관계로 인과론이 거론되고, 이 인과론의 성격이 문제가 된다. 흄은 이 인과적 관계가 일종의 습관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반면, 아궁이에 불을 때는 사건과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사건에 객관적으로 엄밀한 조건을 부여하여 이 두 사건 사이에 엄밀한 인과적 관계를 구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를 주관적 인과 관계, 후자를 객관적 인과 관계라고 부를 수도 있겠지만, 사실 둘 다 세계의 객관적 구조라는 점에서는 다를 바가 없다. 


이런 예들에서 드러나는 것은 우연성의 기묘한 구조이다. 열 명의 존재론자에 대해 열 한 개의 존재론이 있어서는 안된다. 그런 자의성을 피하기 위해 근원적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다. 그런 근원적 고찰을 위해 사고 실험을 해보자. 흔하게는 형이상학적 경험이라고 하는 것. 예컨대, 우주에 주관성subjectivity가 없다고 해보자. 그때 우리는 우주에 대해서 어떤 것을 말할 수 있을까? 아마 그 우주가 우리의 우주와 같은 시공의 차원을 갖는지조차 결정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더 근원적으로는 '그' 우주라는 특정조차도 불가능할 것이다. 우리의 우주에는 수많은 주관성들이 있다. 그러면 만약 인간에게 눈이라는 시각 구조가 없었다면? 인간이 지금과 같이 두 개의 눈을 갖게 된 것은 우연성에 속한다. 말하자면 그것은 나에게 그저 주어진 것이다. 그런데 우주에 대해서도 똑같이 그렇게 말할 수 있다. 우주는 우연성에 속한다. 그것은 그저 나에게 주어진 것일 뿐이다. (예컨대, 내가 한국인이라는 것 역시 또다른 차원의 우연성에 속할 것이다.) 그런데 내가 우주에 존재한다는 이 우연한 사건은, 어떤 필연적 사실을 동반한다. 그것은 내가 만약 존재한다면, 이 우주는 내가 보는 대로, 그렇게 결정되고, 구획되고, 그러한 객관적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나에게 드러나는 우주로 존재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어떤 것이든. 요즘 유행하는 식으로 말하자면 나의 존재는 잠재성으로서의 우주를 현실성으로 고착시킨다.


정리해서 말하자면 나의 존재라는 우연성은 우주라는 우연성을 하나의 세계로 구획 짓는다. 이것을 사실적 필연성이라고 부르자. 최초의 필연성은 이렇게 등장한다. 그런데 나의 존재라는 말이 애매하다. 나의 존재란 무엇인가? 예컨대, 데카르트의 코기토인가? 바로 알 수 있는 것은 이 사유하는 코기토는 우연성으로서의 우주를 구획된 세계로 결정할 수 없으리라는 것이다. 우연성으로서의 우주에 구획을 주는 것, 우연성으로서의 우주에 좌표를 주는 것, 그것을 우리는 몸이라고 부른다. 이것이 몸의 존재론적 의미이다.


나의 몸은 하나의 생물학적 사물로 존재론적 창고 안에서 분류될 것이다. 이것이 나의 몸의 사실적 면모이다. 즉, 사실성으로서의 몸. 그러나 방금 본 것처럼 몸은 또 다른 면모, 말하자면 초월성으로서의 면모 역시 갖는다. 이 초월성으로서의 몸은 존재론적 창고 안에서 다른 어떤 사물 옆에 놓이지 않는다. 그것은 우주의 좌표, 구획 등을 통해 드러난다. 그리고 이 초월성과 사실성이 우리 존재의 양의성을 구성한다. 주관성, 혹은 초월성은 존재론의 품목에 속하지는 않지만 그 품목의 열거를 가능하게 해준다. 혹은 "이 방에 세 명만 있다"라는 말이 하나의 의미를 갖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