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유품을 정리하다가 명문당에서 나온 "대학 . 중용"을 발견했다. 아마 지지난번 한국에 갔을 때 아버지께 사다드린 것이었다. 하루 종일 멍하니 테레비젼만 보시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까웠다. 아버지는 철없는 아들을 바라보며 어이없어 웃으셨다. "너는 내가 지금 이런 책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냐?"


그래도 보시긴 했나보다. 아니 보시려고 노력은 하신 것 같다. 많이는 아니지만 여기 저기 줄이 그어져 있고 어려운 한자에는 동그라미도 그려져 있다. 그러나 그보다 의미로운 것은 책갈피에 끼여 있는 종잇장이었다. 위임장이었다. 허리가 아파 병원에 갈 수 없으니 다른 사람을 대신 보내어 약을 받아오게 하겠다는... 2022년 4월7일.


아버지는 돌이킬 수 없는 육체적, 정신적 퇴락의 과정을 겪고 계셨다. 그 과정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그리고 그 끝에 무엇이 놓여있는지를 완벽하게 알고 계셨을 것이다. 그 퇴락의 과정은 철저하게 개인적이다. 그것은 타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타자에게 죽음이란 남의 일, 혹은 자연적 현상일 뿐이다. 이 소통 불가능성은 일종의 절대고독을 구성한다. 혹은 절대고독의 원초적 의미를 구성한다. (예컨대 나는 어떤 성인들, 어떤 현인들이, 이를테면 노자가 토로하는 류의 그러한 절대고독은 허언이라 생각한다.)  


이 무자비한 죽음의 과정은 즉자가 최종적으로 대자를 잡아먹는 과정이다. 그렇게 인간은 완전한 사물이 된다. 이 완전한 사물화라는 회피할 수 없는 사실에 대해 고대인들은 상상력을 발휘했다. 죽음은 끝이 아니라 완전한 탈-사물화를 위한 과정일 뿐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아이디어이다. 하나의 관념이다. 검증될 수 없다는 의미에서 믿음이기도 하다. (지식과 대비되는 의미로 믿음을 정의한다는 것은 얼마나 궁색한 이해인가?)


그러나 그에 어떤 서사를 덧붙이든 상관 없다. 우리에게는 고유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망자 앞에서, 성당에서 미사 드릴 때 등등에서 우리를 가능한 수동적인 사물로 침잠시키는 그 경험. 아마 종교적 체험이라 부를 수 있는. 아마 이 체험을 또한 절대고독이라 부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 고유한 것도 원초적인 것도 아니겠지만. 


아마 그것은 무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아마 그것은 삶의 의미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우리는 지금 삶의 의미에 대한 학적 논구를 하는 것이 아니다. 삶의 의미란 무엇일 수 있을까를 궁리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한 무화의 가능성 앞에서 삶의 의미를 생각하는 것이다. 마치 로댕의, 지옥문 앞에 선 생각하는 사람처럼. 그러니까 여기서 완전한 무화의 가능성이란, 나를 향해 덮쳐오는 호랑이 앞에서 그러하듯, 내가 그 관념을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그 관념이 나를 덮쳐 사로잡는, 그런 전면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나는 "대학 . 중용"을 아버지의 유품으로 영국에 챙겨가지고 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25-05-29 16: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위클리님 아버님께서 돌아가셨군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저도 어머니가 가실 날이 그리 멀지 않아 참으로 걱정입니다.

weekly 2025-05-29 18:08   좋아요 1 | URL
말씀 감사합니다.

나잇대가... 이제 그런 소식들이 몰려들 때라...

암튼 감사 드리고, 하시는 일에서 많은 성취 얻으시기를 바랄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