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영국 맨 부커상 국제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기에, 예전에 읽다 만 것을 다시 꺼내 읽어 보았다.
<채식주의자>는 세 편의 중편으로 이루어진 연작 소설이다. 어느날 갑자기 고기를 먹기를 거부하고 나무가 되기를 원하는 영혜라는 인물을 중심에 설정하고 있다.
즉각적으로 이 소설은 타자성, 육체성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현대적 고민의 가장 깊은 곳에서 이 소설은 이야기를 시작한다. 고기로서의 자신의 육체를 거부하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일까? 나무가 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 반항은 무엇에 대한 것일까? 그것은 삶의 어느 자락의 어느 한편에 어떤 빛을 비추어 줄까?
미리 말하자면 이에 대한 답은 없다. 아마 작가는 이런 문제 의식 자체를 갖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작가는 단지 고기를 먹기를 거부하고 자신을 식물적인 삶으로 향하게 하는 한 인물에 대한 간단한 아이디어밖에는 갖고 있지 않은 듯 하다.
작가에게 정신분석학자나 심리학자가 되라고 강요할 생각은 없다. 그러나 작가는 더 깊을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소설적 완성도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그 깊이이기 때문이다. 내가 보기에 세 편의 중편들은 허다한 결점과 아쉬운 점들을 남기고 있다. 그것들을 세세하게 얘기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이러한 것들은 작가가 작품의 깊이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에 초래된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런 주제에 이런 허술한 이야기는 꽤나 실망스러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