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에서
김사과 지음 / 창비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또 한 명의 자폐적 작가. 읽고 난 감상이다.

주인공은 세상과 아무런 접촉이 없다. 그러므로 페이지를 채우고 있는 것은 관념 뿐이다. 예를 들어 주인공인 여대생은 인천 남동공단의 노동자와 사귄다. 둘 사이에 어떤 정형화된 갈등이 벌어진다면, 그것이 어디에서 오는지는 너무도 뻔한 일이다. 즉, 그것은 둘 사이의 계급적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시선에서 온다는 것을. 그러나 <천국에서>는 그것이 남자 노동자의 입을 통해서 온다. 그것이 남자 노동자의 입을 통해 나오기 전까지 주인공은 타자의 압박을 인지하지 못한다. 그는 백치인가? 그는 어디에 살고 있을까? 한국에, 혹은 진공 속에?

예를 하나 더 들어보자. 주인공은 911 테러로 연기에 휩싸인 뉴욕 세계 무역 센터 빌딩 '사진'을 보고 있다. 그리고 그와 관련된 기사를 '읽고' 있다. 그리고 주인공의 친구인 서머의 말, "그때 뉴욕에 가면 시체 타는 냄새가 났어"라는 말을 '회상'하고 있다. 직접 체험은 어디에도 없다. 남의 체험을 통해 편집된 자료 앞에서 주인공은 어떤 고민을 하게 될까? 삶에 대한 형이상학적 고민. 이것 말고 무엇이 있을 수 있겠는가?

진지한 작가라면 감히, 시체 썩는 냄새가 났다더라... 이런 식의 서술은 하지 못하리라. 꿈이라는 장치를 통해서 썩는 냄새를 체험적으로 전해줄 수도 있지 않았을까? 그럴 자신이 없다면 시체 썩는 냄새 이야기를 아예 언급하지도 말았어야 한다고 본다. 우리가 작가에게 기대하는 것은 작가의 고유한 목소리지, 여기 저기서 보고 듣던 이야기를 잘라 붙여 엮어놓은 누더기가 아닌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소설을 미국 뉴욕의 어떤 지역에서 시작한 것은 도대체 무슨 배짱일까? 거기서부터 이미 실재는 저 너머로 사라져 버렸다.  

예전에 <미생>이라는 드라마를 보고 놀랐었다. 사실적이었기 때문이다. 원작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것일 게라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취재를 한 것이더라. (아주 단편적인 예지만) 한국 만화의 사정이 이렇다면, 한국 소설의 사정은 어떨까? 몇몇 작가들의 작품을 보면, 책상 머리에 앉아 관념만으로 쓴 것 같다. 이런 것은 아무런 힘을 갖지 못한다. 힘은 실재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괴테가 말했듯이 작가는 대상 앞에 서야 한다. 그러려면 자기 밖으로 나와야 한다. 자폐적인 소설들은 그만 읽고 싶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2-14 12: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14 22: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2-14 23:2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