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 왔을 때 내가 가장 가보고 싶어한 나라는 그리스였다. 그러나 방문을 주저하고 있었던 이유는, 하이데거가 말년에 한번 정도 가봤던 나라를 나 따위가 함부러, 쉽게 가볼 수 있겠나 싶은 생각에서였다. 


그런데 작년엔가 그리스를 나의 머리에서 아예 지워버린 일이 일어났다. 그리스를 여행 중이던 한 한국인이 그리스 경찰에 불법이민자로 몰려 두드려 맞은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그리스에서는 드문 일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였다. 아내의 회사 동료가 그리스 여행을 계획하던 우리에게 아시아인이 여행하기에 그리스는 안전한 나라가 아니라고 충고를 했고, 나도 나름대로 조사를 해보고는 그리스를 기억에서 싹 지웠다. 나로서는 극우정당에게 그토록 표를 몰아주는 그리스 국민들이 경멸스러웠고 그 나라에서 돈을 쓰고 싶지 않았다. 나중에 보니 그리스발 뉴스 하나가 또 난리였다. 그리스 극우 정당 총수가 테레비 토론 중에 상대 여성 패널을 마구잡이로 폭행한 것이다. 그게 그 나라 수준이려니...


일제 시대때 한국을 지지하며 한국의 독립을 기원해 주던 외국인들이 있다. 그 중 일부의 말은 이랬다: 한국은 높은 수준의 문화를 이루어 왔고, 그렇게 계속 세계에 높은 수준의 문화로 기여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내가 그리스를 존경스럽게 여긴 이유도 그 나라가 세계에 기여한 문화 때문이다. 홍윤기씨(맞나?)가 카잔차키스의 묘를 찾아 소주잔을 놓고 절을 하여 옆에 있던 그리스 가이드의 눈에서 눈물을 뽑게 된 사연도 다 이런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정치적 올바름의 기준 또한 갖고 있다. 그리스가 이룬 문화적 업적은 영원할 것이지만 나는 나의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기준에 따라 더 이상 저 나라를 존경스럽게 바라 보지 않는다. 한국이 이룬 문화적 업적은 영원할 것이고 그 성취는 계속 되어야 하겠지만, 현재 한국은 그리 존경스러운 나라가 아니다. 나만이 느끼는 감정은 아닐 것이다. 존경은 헌신의 토대이고, 헌신에서 문화가 생성된다. 그러므로 나로 말하자면 현 집권 세력의 가장 커다란 죄악은 그들이 한국의 문화적 토대를 파괴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존경스러운 나라가 되어야 하고, 나는 내가 한국인인 것이 자랑스러워야 한다. 한국이 자신의 정체성에서 무언가를 지속적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려면 자국민들이 스스로를 자랑스러워할 조건들을 계속 제공해 주어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5645 2013-12-05 23: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표가 그런데 몰리는건 당연하잖아. 난 당신이 더 경멸스러운데 극좌에다 했으면 더 볼만하겠지?

weekly 2013-12-20 02:20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니까요... 사람에 따라서는 멀쩡한 한국인 여행객을 그리스 경찰이 함부러 잡아다 패는 거나, 그리스 정당의 총수가 테레비 토론하다 말이 안통한다고 여성 토론자를 패는 것이 그리 심각한 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겠지요. 존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