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학기(논문 학기 포함) 동안 8 개의 에세이와 한 개의 논문, 모두 합쳐서 대략 3만자를 썼다. 냉정하게 평가하자면 3만자의 쓰레기를 썼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첫번째 학기의 첫번 에세이는 두어 달을 끌고도 끝을 내지 못한 반면, 마지막 에세이는 단 하루만에 끝을 내버렸다. 물론 데드라인에 걸려서. 마감일 직전 일, 이주는 잠다운 잠을 잔 날이 없었고, 마지막 이틀 정도는 날밤을 꼬박 세워야 했다. (6월19일날 논문을 제출할 때도 그랬다.)


학위 논문은 언어 철학 관련 주제. 원래는 비트겐쉬타인에 대해 썼던 입학 에세이를 발전시켜 논문으로 완성해 보려 했었는데, 두번째 학기가 끝나갈 무렵 그동안 공부한 것들을 정리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두번째 학기에 들었던 언어 철학 강의 때 나는 세미나를 하나 했다. 다른 학생들 하는 것을 참고하려고 맨 마지막 시간에 세미나를 하겠다고 했는데 이러 저러한 이유로 세미나들이 다 취소되어 나만 세미나를 하게 되었다. 세미나 반응이 나쁘지 않아서 그 주제를 학위 논문으로 발전시켜 보려 했는데, 딱 일주일 후 그것이 임시변통적인 이론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폐기. 이래 저래 학위 논문 주제로 갈팡질팡했다. 


두번째 학기 에세이 제출날에서 학위 논문 제출날까지 딱 한 달이 주어졌다. (비정상적으로 짧은 기간이다.) 일주일 동안 자료들 읽고 생각 정리, 다음 일주일 동안 하루 2000자 꼴로 1만자 완성에 8000자를 썼다. 딱 하루만 더 쓰면 초고가 나오는데 그때부터 지독한 슬럼프가 찾아왔다. 이주 가까이 거의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 마지막 일주일, 다시 엔진이 움직이기 시작했고, 나는 썼던 것을 죄다 뒤집어 엎으며 제출날 아침까지 여전히 뒤집고 있었다. 슬럼프가 너무 길어서 세 번은 뒤집었어야 할 논문을 두 번을 채 다 뒤집지 못하고 제출해야 했다는 것은 정말 아쉽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나름 대견한 점은, 논문 전체를 통해서 하나의 이론 체계를 관철시킬 수 있었다는 것. 곧 오류가 드러날 것이겠지만... (내가 철학 논문들을 읽으며 배운 유일한 것은, 결코 오류를 두려워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앞으로의 계획. 물론, 공부를 계속 하고 싶다. 현실이 허락한다면...


많은 것을 배웠다. 내가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내가 무엇을 잘 하는지, 무엇을 잘 하지 못하는지, 무얼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등. (예를 들어 나는 철학 서술을 하루에 2000 ~ 3000 자 정도 할 수 있다 등등.)


하나의 계절이 끝났고, 이제 다음 계절을 준비해야 할 때가 된 것 같다. 다시 긴장 상태로...


(8000자 정도 쓰고나서 이제 하루만 더 쓰면 되겠다 싶었을 때 기념으로 이 사진을 찍어 놓았다. 초고 완성하고 나서 이 논문 저 논문을 읽으며 내 이론을 검토해 봐야지, 이러 저런 대목은 아마 누구를 읽어봐야 겠지... 이런 생각을 했더랬다. 그리고 긴장이 풀어진 걸까... 나는 그 후로 심각한 슬럼프에 빠져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