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몇 달 전 한국에 있을 때 은사님을 찾아뵙고 공부를 다시 시작할 작정이라는 말씀을 드렸었다. 교수님이 플라톤 전공이셨던지라 이런 대화가 오고가기도 했다.

나: 박종현 번역의 국가를 읽었는데 번역이 너무 좋았습니다. 이런 유려한 번역이라면 도저히 원전에 충실한 것일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수님: 아냐, 아냐. 박종현 교수님 번역은 원전에 아주 충실한 번역이야. 그러면서도 가독성이 아주 좋지. 그래서 박종현 교수님이 탁월하다는 거야. 다른 사람들은 원전에 충실하면서도 잘 읽힐 수 있게끔 번역해내기가 힘들어...

교수님과 나는 계속해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여러 번역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플라톤보다 아리스토텔레스를 번역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다, 그러나 플라톤보다 아리스토텔레스 번역의 질이 뛰어나지는 않다, 아리스토텔레스 번역에는 박종현 교수님 수준의 대가가 아직 나오고 있지 않다, 그에 얽힌 얘기들...

(그때 나온 얘기는 아니지만, 나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도 참으로 아름답게 번역되었다고 생각한다. 유려하여 마치 소설처럼 읽힌다. 그런데 이 번역은 박종현 교수님의 것이 아니다. 박종현 교수님의 훌륭한 번역에서 많은 계발을 받은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전적으로 내 인상에 불과하지만...)

2. 전공자들 사이에서는 평이 좋은데 일반 독자들은 전혀 그런 느낌을 받는 못하는 번역서들이 왕왕 있는 것 같다. 나도 얼마 전에 학문적으로 아주 충실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번역본의 일부를 원문과 비교해서 살펴 본 적이 있다. 그 경험을 일반화해서 성급히 결론을 내리면, 전공자들이 학문적으로 충실하다고 말하는 번역은 거의 원문에 대한 축자 번역이라는 것이다. 즉, 원문을 옆에 펴놓고 나란히 읽어 갈 때 도움이 되는 번역을 전공자들은 좋은 번역이라고 여기는 것 같다는 얘기다. 그러나 일반 독자들에게는 그런 번역이 가장 나쁜 번역처럼 여겨질 수 있다. 심한 경우 그런 번역은 거의 기계 번역과 같은 수준으로 보일 테니까(이기상 교수의 하이데거 번역이 적절한 예가 되겠다). 

3. 나의 경우 한국어 번역본을 고르는 기준은 무조건 가독성이다. 중역이 아닌 원전에 대한 번역, 학적으로 정선된 술어의 선택 등등은 내게 부차적이다. 순수이성비판 번역이 새로 나왔다 해서 둘러 본 적이 있었다. 역자의, 문장 구조 하나까지 충실히 옮기려 했다는 말에 내 속은 쓰려졌다. 구역과 신역의 맨 마지막 페이지를 펴들고 맨 마지막 문장을 비교해 보았다. 구역은 관계대명사절을 안고 있는 문장을 두 문장으로 잘랐고, 신역은 그대로 옮겼다. 그렇게 해서 신역이 무엇을 얻었는지 나는 잘 모르겠다. 분명한 건 그렇게 해서 신역은 가독성을 잃었고 판매 부수를 하나 잃었다는 것이다.

4. 철학 서적 번역에 대한 비평의 많은 부분은 개념어를 얼마나 적절하게 한국어 단어로 옮겼는가에 집중되는 것 같다. 나는 이런 비평을 게으른 비평이라고 여긴다. 단 한가지 이유만으로도 그렇다. 그런 것은 책을 읽지 않고도 할 수 있는 비평이라는 것! 예를 들어 사르트르의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는 명제를 누가 "존재는 본질에 앞선다"로 옮겼다고 하자. 아마 철학에 조금만 조예가 있는 일반 독자라면 누구나 이런 엉터리 같은 번역에 어이없다는 표정을 지으며 비판의 칼을 들이대려 할 것이다. 그러나 물어보자. 존재와 실존은 어떻게 다른가? 실존 대신 존재로 옮기면 안되는 건가? 나는 오히려 이렇게 말하고 싶다. 쓸데없는 걱정들 말라고. 사르트르가 그의 책에서 하는 일이란 결국 존재(실존)라는 말에 대한 다양한 맥락들을 제공하는 것이지 않은가? 설사 어떤 비전문가가 실존이라는 학계에서 통용되는 말 대신 존재라는 말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그 단어의 쓰임에 대한 전체 맥락이 제공된다면 독자가 사르트르의 명제를 오독하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거라는 얘기다. 내 말의 요지는, 특정 개념들에 집착하고, 원문의 축자적 의미를 따라가는 번역보다는, 맥락을 잘 풀어주는 번역이 훨씬 의미있다는 것이다.

5. 해석가들은 철학자들이 만들어낸 용어의 의미를 한정지으려 한다. 그러나 그건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철학자들은 자신이 고안한 용어들에 한가지 분명한 뜻만을 부여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 낱말들은 놓여지는 맥락마다 진동을 할 수 밖에 없다. 그리하여 철학자들은 서로를 향해 똑같은 문장을 사용하여 비판을 한다. "당신은 ~라는 말을 여기 저기서 부주의하게, 부적절하게, 혼란스럽게, 때로는 정반대의 뜻으로 쓰고 있다!" (이런 비판을 받자 사르트르는 이렇게 답했었다. "아, 그때 내가 좀 실수를 했지요...")

6. 여기서도 다시 알 수 있는 것은, 어떤 개념어에 대한 확고한 대용어를 한국어에서 찾는 일은 지나친 정력의 소모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보다는 그 개념이 그 맥락에서 정확히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를 부각시켜 주는 것이 훨씬 값지고 의미있는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우리에게 더욱 분명해지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실이다. 즉, 축자 번역(그리고 개념어 번역에 대한 과도한 집착. 결국은 같은 맥락이다)은 맥락에 대한 요구를 회피하려는 아주 적절한 핑계라는 것(물론 해석적 중립성을 내세우지만). 앞서 이야기한 가독성이란 결국 역자가 원문을 읽고 앞뒤가 맞게 잘 이해한 것을 한국어로 풀어줄 때 나타나는 현상 이외의 아무 것도 아니다. 반면, 축자 번역에 특징적인 것은 이해를 아주 희소하게만 담고 있다는 것. 

7. 이러한 맥락 드러냄이 없는 철학서를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본다. 어떤 분은 한국어판 정신현상학을 읽을 때는 거의 아무 것도 이해하지 못했는데 영어판을 읽으니 이해가 잘 되더라, 그러나 다시 한국어판으로 돌아와 읽으니 또 이해가 안되더라, 그러나 아무래도 이건 역자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어와 독어 사이의 간격이 너무 커서일 것이다... 라고 말하더라. 비슷한 말을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번역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로 읽으면 이해할만 한데 한국어로 읽으면 그야말로 형이상학이 된다! 이걸 고전 그리스어와 한국어 사이의 간극이 커서 그렇다고 양해해 주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는 걸 박종현 교수님이 충분히 증명해 주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독어와 한국어 사이에서만 그 간극을 인정해야 할까?

8. 한국에 있을 때 나는 한국어가 영어에 비해 많이 추상적인 언어라고 생각했었다. 영어를 옮긴 글들이 원문에 비해 추상적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영국에서 나는 비슷한 말을 들었다. 라틴어 문헌을 번역하는데  있어 영어가 라틴어의 생생한 구체성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다는. 우리가 바보가 아니라면 라틴어>영어>한국어 순으로 각 언어가 구체적 현상을 제대로 포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짓지 않을 것이다. 사유가 시작된 곳에 생생함의 권리가 놓여 있다. 사유가 전달되는 과정이 곧 추상화의 과정이다. 추상화되지 않으면 사유가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유가 추상화의 외피에 갇혀 있는 한 그것은 사유가 아니다. 즉, 그것은 고유의 생생함으로 환원되어야 한다. 이때 "고유함"이란 사유가 처음 발생했던 그곳의 고유함이 아니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바로 지금 이곳, 그 사유가 전개되고 있는 바로 이 맥락에서의 고유함이 그 사유가 드러내야 할, 그리고 드러낼 수 있는 유일한 구체적 생생함이다. 만일 이 명제를 긍정한다면 철학서들이 어떻게 번역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답도 자명할 것이다. 즉, 축자적 번역을 지향한다는 말은 철학적 넌센스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경선생 2012-07-26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저도 얼마전 국가 (박종현 역)을 읽었습니다만, 블로거님의 평가와 달리 저는 매우 블편한 독서를 했었습니다. 제경우에는 반대로 번역이 전혀 매끄럽지 않았거든요. 문장의 호응관계도 뭔가 어색하고... 그래서 영문판을 찾아 몇장 대조해 보았더니 확실히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윗글의 7번에 해당하는 경우죠. 사실 '국가'에 담겨진 내용이 그리 어려운 내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매끄럽게 읽히지 않아 짜증이 났었는데, 결론적으로 제 문장이해 능력에 문제가 있었는가 봅니다. 아무래도 제가 철학 전공자도 아니거니와 원문의 '참맛'을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처지라 더욱 그런가 봅니다.

Weekly 2012-07-27 02:44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제가 국가를 읽은지 너무 오래 되어서 위 포스팅의 이야기는 제 기억에 남은 인상에 불과한 것일 수 있습니다. 제 기억에도 박종현 번역의 국가가 읽기 쉬운 글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원문의 스타일을 반영한 때문인지 문장들이 무척 길고 단어들이 풀어져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피통치자"라고 하면 읽기에 더 쉬울 수 있는 것을 "다스림을 받는 사람"이라는 식으로... -이 예는 물론 제가 지금 즉흥적으로 만든 것입니다.) 제가 박종현 번역을 읽으면서 놀랐던 것은 문장이 그렇게 늘어져 있으면서도 아귀가 딱딱 맞아서 번역문이 아니라 한국어 문장처럼 읽혔기 때문일 것입니다. 말하자면 복잡한 사유를 개념어를 배제하고 일상적인 어법으로 풀어 쓴 것 같은 느낌... 플라톤 시대에는 개념어들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상적인 단어들과 예를 가지고 추상적인 사유들을 표현해야 했었으니 박종현 번역이 그러한 분위기를 탁월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 것이죠. (한 이년 전쯤에 조대호 번역의 파이드로스를 나름 꼼꼼하게 읽었었는데 박종현 번역의 국가와 유사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의 은사님의 평가에 따르면 박종현 번역이 그리스어 원문에 아주 충실한 것이라 하니 이제 스타일의 문제가 남겠지요. 스타일은 개인의 취향이 되겠습니다만, 저는 플라톤 철학의 진수는 일상적이고 소박한 단어들로 추상적인 사유를 표현해 내려 한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박종현 번역의 스타일에 높은 가치를 주고 싶습니다. 물론 문장 호응이 안맞는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다면, 이는 악역에 해당하는 문장이 왕왕 있다는 것이니 이런 것은 논외가 되겠지요...

(박종현 번역이 실제로 어떻게 되어 있는지 한번 찾아보았습니다. 제가 한국 밖에 있는 관계로 직접 책을 참조하지는 못하고 박종현 번역의 일부를 어느 분이 발췌해 놓은 것을 긁어다 아래 그대로 붙여 보았습니다.)

소크라테스: “그러니까, 트라시마코스 선생, 그 밖의 다른 어떤 통솔(다스림, arche)을 맡은 사람이든, 그가 통솔자(다스리는 자)인 한은, 자신에게 편익이 되는 걸 생각하거나 지시하지 않고, 통솔(다스림)을 받는 쪽 그리고 자신이 일해 주게 되는 쪽에 편익이 되는 걸 생각하거나 지시하오. 또한 그가 말하는 모든 것도, 그가 행하는 모든 것도 그 쪽을 염두에 두고서 그 쪽에 편익이 되고 적절한 것을 염두에 두고서 말하고 행하오.” 342e, (pp. 92-93)

수경선생 2012-07-28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철학적 '무지자'의 애꿎은 투정에 이렇게 긴 글로 화답하여 주시니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 이 부분은 아마도 첫 편에서 소크라테스와 트라시마코스가 '올바름'에 관해 논쟁을 벌이는 내용인 듯합니다. 플라톤이 쓴 대화편들은 아시다시피 일상적인 대화의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원문의 엄밀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좋은 번역일른지 모르지만, '일상적인 대화'라는 관점에서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과연 이런 식의 표현으로 대화를 했을까요? 구체적인 지적을 하자면 다시 책을 빌려 조목조목 따져봐야겠습니다만, 블로거님이 예시한 문장(정확한 인용이란 가정하에)만 보더라도 어의 중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보실까요?

A 통솔(다스림)을 받는 쪽 그리고 자신이 일해 주게 되는 쪽에 편익이 되는 걸 생각하거나 지시하오.
B 그 (통솔을 받는)쪽을 염두에 두고서 그쪽에 편익이 되고 적절한 것을 염두에 두고서 말하고 행하오.

A-B 두 문장을 비교하자면 '생각하고 지시하는 것'과 '말하고 행하는 것'을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해 '통솔을 받는 쪽에 편익이 되는 것'이 반복 사용되고 있습니다.
A 문장에서는 바로 앞서 제시된 '생각하거나 지시하는 것'이 반복 사용되고 있습니다.
B 문장에서는 '그가 말하는 모든 것도, 그가 행하는 모든 것도'와 '말하고 행하오'가 어색한 호응관계를 이루고 있고, '염두에 두고'가 반복 사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정확히 원문이 어떠한가는 알 수 없지만, 대략 이 정도로도 간단히 뜻이 통하지 않을까요?

소크라테스:"그래서 트라시마코스 선생, 여타 어떠한 통솔을 맡은 사람이건 간에 그가 통솔자라고 한다면 자기에게 편익이 되는 쪽보다는 자신에게 통솔을 받거나 혹은 자신이 통솔하게 되는 이들에게 편익이 되도록 생각하거나 지시할 거요. 게다가 말하고 행할 때도 또한 이에 적절한 것을 염두에 두겠지요.

조금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영문판과 대조해 보아야겠습니다.

Weekly 2012-07-29 18:12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저의 원칙은 역자가 원문을 정확히 이해하고(물론, 이 이해에는 해석이 들어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번역하는 하는 한에 있어서, 번역문의 스타일은 역자의 선택사항이라는 것입니다. 문제의 번역문에서 저자인 플라톤이 무의미하게 어의를 중첩하였을 경우, 즉 나쁜 스타일로 글을 썼을 경우, 역자가 이를 바로 잡아야 할 것인가 하는 것도, 저는 역자의 선택사항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선택은 정당화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그것이 나쁜 스타일이라는 확증이 있어야 하고, 나쁜 스타일임을 주석하는 데 머물지 않고 굳이 교정해야만 하는 근거가 제시되어야 합니다. 단지 어의가 중첩되었고, 중첩은 나쁘므로 중첩을 해소해야 한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는 것이지요. 저는 플라톤의 스타일이 전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고 그걸 살려준 박종현의 선택도 옳다고 생각합니다. 수경 선생님께서는 생각이 다르시겠지만요... (이에 대해 더 자세한 논의를 하려면 저 문장의 앞뒤 맥락을 살펴야 하는 등의 수고가 따르기 때문에 여기까지만 이야기하기로 하지요.)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호응이 어긋나게 번역된 문장들은 악역에 속한다고 저는 봅니다. 그러나 적어도 제가 예시한 문장에 한해 말씀드린다면, 저는 박종현이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다고 믿습니다. 저 한 문장을 옮기기 위해 많은 고민을 했겠지요. 그리고 그 결과물은 얼마나 훌륭한지요! 저 문장의 영어역을 한국어 문장으로 옮길 생각을 하면 저는 암담합니다. 단어들이 풀어져 있어 문장이 늘어졌는데, 곳곳에 쉼표를 치면서도 호응을 유지해야 하고, 절대 외국어 번역문의 냄새를 나게 해서는 안된다! 차라리 "통치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피통치자의 이익을 위해서 통치 행위를 한다."고 대의만 전달해 주고 싶은 욕망이 생길 수도 있겠지요. 저는 이런 번역도 하나의 스타일로 인정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박종현의 것보다 나은 번역이라고는 결코 생각되지 않습니다. 이런 스타일의 번역은 원문이 극도로 난해하든지, 원문의 스타일이 극단적으로 나쁜 경우에만 인정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아시겠지만, 플라톤의 특수성에는 플라톤이 훌륭한 철학자 이전에 훌륭한 작가라는 사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플라톤의 번역자들은 플라톤의 스타일을 가능한 살려주어야 하는 임무도 떠안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수경선생 2012-07-31 14: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제가 철학 전공자도 아니고 그리스 원전을 읽을 만한 능력도 없는 처지라 더이상 사족은 달지 않겠습니다. 더군다나 Weekly님께서는 철학 전공자이시고 영국에서 유학도 하고 계신 것 같으니 아래 영문본을 옮기는 것으로 저의 어리석은 지적을 마치려 합니다.

Then, I said, Thrasymachus, there is no one in any rule who, in so far as he is a ruler, considers or enjoins what is for his own interest, but always what is for the interest of his subject or suitable to his art; to that he looks, and that alone he considers in everything which he say and does.

- Scott Buchanan, He studied philosophy at Balliol College, Oxford as a Rhodes scholar between 1919 and 1921. He continued his studies in philosophy at Harvard University and received his doctorate in 1925.

한가지만 덧붙이자면, 플라톤은 당대 최고의 철학자로써 누구보다도 훨씬 간결하면서 명료하고 논리적인 언명을 구사하였을 것이며, 적어도 박종현 선생의 번역이 플라톤의 스타일을 그대로 옮긴 것 같지는 않습니다.

weekly 2012-07-31 18:50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수경선생님께서 달아주신 댓글들에 많은 자극을 받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사소하지만 그릇된 인상들에 대해서는 정정을 하여야 제 마음이 편할 것 같습니다.

제가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한 것은 맞지만, 졸업 후 10 여년의 세월 동안 철학과는 다른 길을 걸었었기에 철학 전공자로 간주되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 블로그 사이트에서 그런 인상을 피웠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저의 잘못이겠지요. (저는 작년 여름까지 거제도에서 용접을 하던 노동자였습니다.)
또, 작년 여름에 영국에 건너와서 이번 가을 학기부터 대학원에서 철학을 공부할 예정인 것은 맞지만, 영국 체류의 대부분은 어학 코스를 밟는 과정이었고, 대학원엔 아직 등록도 하지 않았습니다. 철학에 있어 저는 수경 선생님과 같은 일반인이지, 전공자가 아니라는 것이지요.
제가 굳이 이런 말을 하는 것은, 댓글들 중에 수경선생님 겸손이 지나친 점이 있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서입니다. 제가 설사 학계의 대가라 할지라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단 한가지 이유만으로 그렇습니다. 철학은 아무 유보없이 바로 여기서 시작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플라톤이 알려준 소크라테스가 철학한 방법이겠지요...

예시 번역문에 대해 제가 구체적인 비평을 피한 것은, 단순히 제가 그리스어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한 마디 하자면, 저는 수경선생님이 수정한 문장이 박종현의 문장보다 명확하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에게 통솔을 받거나 혹은 자신이 통솔하게 되는 이들에게" 같은 대목은, 아주 나쁜 한국어 문장이고, 그러므로 철학적으로도 틀렸습니다. 그 이유는 박종현본이든 영역본이든 다시 한번 살펴 보시면 바로 알 수 있으실 것입니다. 일반론적으로 얘기해서 철학자가 어의 중첩의 위험을 무릅쓰고 두 가지로 나누어 말한 것을 하나로 묶어서 번역하는 데에는 매우 신중해야 할 것입니다. 반대로, 철학자가 지시어를 빈번하게 사용한 문장들은 번역자가 어의중첩을 무릅쓰고라도 지시어를 명확하게 풀어주는 것이 옳은 태도라고 저는 믿습니다. 철학은 이해될 수 있어야 하니까요!

철학적 무지자로 자칭하시는 분께서 전혀 명쾌하게 읽히지 않는다고 말씀하시는 번역을, 끝까지 명쾌하고 훌륭하다고 고집하는 저 자신을 바라보면서, 원글에서 제가 말한 것과 모순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반성을 하게 되더군요. 진지하고 사려 깊은 댓글들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은 무척 덮다니 건강에 유의하시고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다시 말씀을 나누도록 하지요. 

weekly 2012-08-01 0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경선생님께

남겨주신 이메일 주소는 제가 잘 간직하였습니다. 그리고 개인 정보 노출 문제가 염려되어 본의아니게 수경선생님의 댓글을 급히 지웠습니다. 무단으로 수경선생님의 댓글에 손에 댄 점 양해를 구합니다. 그럼 좋은 하루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