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는 학문의 최고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연구했다. 그것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루트, 즉 문경을 찾는 것이었다.

                                                                   (<세한도>, 박상철)


학문의 최고 경지... 이런 말은 좀 과도한 것 같고, 어떤 영역에 최대한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빠르고 깊게 접근하는 방법 정도로 문경을 이해하자.


철학에서라면 플라톤이나 칸트가 문경일까? 이상적으로는 그렇겠지만 이 사람들은 이미 죽었다. 이 사람들의 철학에 직접 도전하는 것은, 두 도시 사이의 최단 거리는 직선이라는 신념 하에 도로를 설계하는 것처럼 멍청한 일일지도 모른다.


플라톤이나 칸트가 에베레스트 산이라면 어떤 루트를 선택하여 어디에 베이스 캠프를 차리는가가 아주 중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베이스 캠프는 당연히 살아 있는 당대의 사람이어야 한다.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죽어있는 글이 아닌 살아 있는 말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것이 문경의 진정한 의미일 것이다. 추사 역시 당대의 인물 옹방공을 흠모하여 10년을 준비한 끝에 실제로 만나 지도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니 요즘 말로 하면 문경은 멘토와의 만남에서 시작될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나는 여기에 대해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는 것...


2.

(출처: http://www.paul-cezanne.org/Houses-In-Provence---The-Riaux-Valley-Near-L-Estaque.html)


너무 너무 예쁜 그림이다. 나는 요즘 금단 현상을 느끼듯 세잔에 빠져들어감을 느낀다. U2의 노래 가사 "Like powder needs a spark/ Like lies need the dark..." 처럼.


아마 예술가의 절대적인 윤리는 그의 창작이 실제의 모사처럼 보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리라. 그럼에도 실재성을 결코 놓쳐서는 안된다는 것이리라. 나는 그 실재성을 실존성이란 말로 대체하여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예전부터 죽. 그리고 그것을 스피노자한테서 배웠다고 생각해 왔다. 출전이야 어떻든 나는 아직도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고 있다. 세잔은 나의 그러한 확신을 더욱 강하게 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