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런던 레스터 스퀘어의 헌책방 몇 군데를 돌아 책 몇 권을 샀다.


레이 몽크의 럿셀 전기를 살까 하다가 두텁고 10 파운드나 되어 안사고 말았었는데 집에 와서 생각해 보니 안사길 잘 한 거 같았다.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럿셀이 직접 쓴 자서전과 회고록, 서신들이 있는데 또 무슨 전기가 필요하겠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더군다나 두텁기까지 하다면.


사 온 책 중에 하이데거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독/영 대역본이 있다. 예전에 독/한 대역으로 읽은 적이 있다. 하이데거는 문제적 작가다. 그가 다른 철학자들의 사상을 해설하는 것을 들을 때면 이 사람 천재군... 이란 생각을 아니할 수 없다. 한나 아렌트가 하이데거의 플라톤 강의를 듣고 머리 속에서 폭풍이 일었다고 했는데 난 그 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반면 하이데거가 자기 자신의 철학을 이야기하는 것을 들을 때면 머리 속이 온통 의구심으로 가득차게 된다. 이게 철학일까, 말장난일까?


나는 하이데거의 "진리란 무엇인가?"를 읽고 나서 그를 아주 집어치우기로 다짐했었다. 하이데거는 거기서 고대 그리스의 어떤 개념에 대한 기존 해석들을 강하게 비판했는데, 다른 문헌들을 조사해 보니 하이데거의 비판은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하이데거가 자신의 철학을 주장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 결과들조차 무시하거나 왜곡한다고 판단했고 그에 대한 관심을 아주 끊기로 했었다.


아까 화장실에 하이데거를 갖고 들어가 역자의 해설 부분을 넘겨 보는데 "Heidegger has shown the way to a new human being rooted in the Being of being..."의 a new human being 부분에 책의 원주인이 밑줄을 치고 물음표를 달아 놓은 게 보였다. 여백에는 "Rubbish!!! Heidegger is anti-humanist & anti-political."이라고 연필로 갈겨져 있다.


이런 것 재미있다! 나는 헌책의 여백에 책의 주인이 이리 저리 코멘트를 남겨 놓은 것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 것이 헌책의 진정한 매력 중의 하나라고 여긴다. (이 책은 1956년도에 나왔다)


하이데거의 나치즘에 대한 태도는 두고 두고 이 학자의 족쇄가 될 것이다. 우리는 철학자가 나치즘에 대해 순진했다는 말을 할 수가 없다. 나치즘에 대해 순진할 수 있는 사람은 철학자일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젊은 날의 스피노자에 대해 당대의 어떤 사람이 "스피노자는 상인을 하기에는 너무 순진하다"고 썼다고 한다. 이 말을 듣고 우리는 스피노자가 보여준 인간 심리에 대한 심오한 통찰들에 의구심을 갖게 되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내가 보기에는 그러한 순진함만이 철학자에게 용인될 수 있는 유일한 순진함이다. 나는 그러한 순진함이 한 인간을 철학자로 만든다고까지 말하고 싶다. 


하이데거가 나치즘에, 혹은 정치에 순진했다고 말할 때의 그 순진함은, 우리가 용인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시골 무지랭이가 나치즘에 순진했다고 해서 우리가 그 순진함을 용인해 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아무튼 하이데거는 문제적 작가다. 단언하건대, 그는 철학자는 절대 아니고 오히려 쓰레기에 가까운 사람이다. 그럼에도 그가 전체 철학사에 대한 방대한 지식과 심오한 통찰을 갖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될 수 없다. 그것이 그의 비극이고, 어쩌면 우리의 비극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