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부터 지금까지 내 머리를 떠나지 않는 말이다:

"My work has extende from the foundations of logic to the nature of the world." (Wittgenstein's notebooks, 79)

거기에 나는 이런 말을 덧붙이고 싶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이제 나는 알았노라고.

어제 나의 고민은 사태(Sachverhalt)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였다. 사태의 위치가 애매했고 심지어 모순적으로 느껴졌다. 비트겐쉬타인이 실수한 것일까? 그러다가 비트겐쉬타인의 노트북에 딸려 있는 서신 발췌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을 읽었다: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atsache[사실] and Sachverhalt[사태]?" Sachverhalt is, what corresponds to an Elementarsatz if it is true. Tatsache is what corresponds to the logical propduct of elementary propos when this product is true. The reason why I introduce Tatsache before introducing Sacherhalt would want a long explanation."(Wittgenstein's letter to RUssell, 1919)

사태를 비트겐쉬타인의 실수로 넘겨 버려서는 안되리라는 의미다. 그리고 지금 내가 느끼는 것은 저 밑줄 친 부분(내가 쳤다)을 이제 내가 어렴풋하게나마 설명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대략은 이렇다. 출발은 럿셀의 판단 이론이다. 판단 이론에 대한 비트겐쉬타인의 가장 근본적인 비판이자 대안은 다음과 같다:

"we must be able to understand a propostion without knowing if it is true or false."(notebooks, 98)

(나는 이런 말을 나의 어떤 친구에게 하기가 너무 두렵다. 그 친구는 철학에 문외한이라 바른 소리를 너무도 잘 하기 때문이다. "당연한 얘기 아니야? 저런 거 하는 게 철학이야? 정말 말장난이네...ㅉㅉㅉ")

럿셀은 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고 비트겐쉬타인은 저 기준을, 스스로 판단하기에, 충족시켰다. 나는 지금 논고 전체를 저 문장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이라고 생각한다.

문제가 무엇인지를 보자. 럿셀과 비트겐쉬타인의 철학적 야망은 같았다. 즉, 인간의 심적, 정신적 상태를 최대한 배제하고 세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럿셀은 이 기획에서 좌초했다. 판단 이론의 실패가 그 적나라한 징표다. 좌초한 이유도 명백하다. 럿셀이 자신의 철학의 기초로 영국의 경험론적 전통을 끌어들였기 때문이다(나는 이걸 럿셀리안 독트린이라고 부른다).

이제 비트겐쉬타인에게 주어진 과제는 저 기준을 충족하되 인간의 심적 상태에 대한 언급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이해"라는 단어를 공적인 어떤 것으로 번역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다시피 비트겐쉬타인의 해답은 명제의 그림 이론이었다. 그림 이론이란 명제가 현실에 대한 모델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어떻게? "사태"라는, 말하자면 잠재적인 사실을 도입하여! 이런 맥락에서 사태, 대상, 명제의 뜻(sense), 논리적 형태(logical form)에 대한 요구 등에 대한 논의가 딸려 나온다.

똑같은 맥락에서 "My fundamental idea is that the 'logical constants' are not representatives"(4.0312)라는 문장도 이해된다. 단순히 대표할 어떤 것이 세계에는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문장은 올바른 논리적 표기법이 갖춰야 할 기준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논고"의 논리학에 대한 언급들은 이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들이라는 것이다.

그러면 결론적으로 "논고"가 그리는 세계상이란? It is as it is. 내가 느끼기로 이 세계는 철학자들에게 아주 친숙한 세계다. 철학자가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세계일 테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1-11-27 15: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weekly 2011-11-27 17:18   좋아요 0 | URL
럿셀의 판단 이론을 비판한 후 비트겐쉬타인은 노르웨이 오지로 혼자 연구를 하러 떠나려 합니다. 그때 럿셀이 비트겐쉬타인에게 대강 구상만이라도 알려달라고 간청하여 비트겐쉬타인이 구술해 준 것이 "Notes on logic"입니다. 이 문서에서 비트겐쉬타인은 "명제의 가부를 알기 전에 우리가 아는 것, 즉 명제의 뜻(sense! meaninig과는 전혀 다른 말입니다)"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합니다. 당시 비트겐쉬타인이 갖고 있던 해답은 명제의 양극성 이론입니다. "[A] proposition has two poles,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its truth and the case of its falsehood. We call this the sense of a proposition."(notesbooks, 99) 그러나 이 이론은 여러가지로 불만스러운 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곧 비트겐쉬타인은 방법론적인 방향전환을 하여 우리가 명제의 뜻을 알 수 있으려면 세계와 명제가 어떤 관계여야 하는가에 대해 탐구합니다. 그 결과가 논고의 서두를 차지하고 있는 존재론적 명제들입니다. 논고 자체의 논리로 보건 문헌적인 증거들로 보건 이 이야기는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그리고 논고 전체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단초 중 하나일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저는 논고 전체를 한 단어도 빼먹지 않고 이해하고자 하는 야망에 붙잡혀 있답니다. 그러나 아직 덜된 상태에서 논문을 마무리지어야 하기 때문에... 속이 좀 상합니다.

암튼 말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