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 가져갈 책들을 골라 내고 있다. 가능하면 한국어 책은 가져가지 않으려 하는데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는 어떻게 해야 할지 결정하기 힘들었다. 한국어 번역판이니 원칙대로라면 하차를 시켜야 옳지만 원서가 (영어가 아니라) 프랑스어라서 머뭇거려졌다. 게다가 스피노자에 관한 참고 문헌 목록에 빠짐없이 이름을 내미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반면 쪽수가 900여 페이지에 달하는데다 체감하는 물리적 두께는 그 이상이어서 부피상으로 꽤 부담이 된다. 전에 이 책을 읽다가 중간에 집어 던진 기억이 났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지만 하나만 대자면 이 책에서 진지함을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에티카"의 자연학 소론을 가지고 이상한 수식을 꾸미는 대목을 읽다가, '이런 게 스피노자와, 에티카와 도대체 무슨 상관이람!' 하면서 미련없이 책장을 덮었고 그 후론 펴보지도 않았다.  

도서관에 들고 가서 차분히 읽어 보기로 했다. 할 수만 있다면 빨리 읽어 버리고 싶었다. 사실은 이런 철학책을 읽고 있을 시간 내지 여유가 없지만 말이다.

"여기에서 결과란 활동 자체와 다른 것이 아니다. 사실, 그것은 활동이 전개되면서 취하는 구조일 뿐이며, 바로 이런 의미에서 결과는 활동에 의해 인식되며 마찬가지로 활동 안에 있다... 활동은 자기 구조의 내재적 원인이다."(24~25페이지)

역자가 말한 대로 마트롱은 스피노자에게서 개체성의 형이상학을 읽어내려 시도하고 있다. 위의 문장에서 활동 대신에 신이나 실체라는 단어를 써넣으면 문자 그대로 스피노자의 철학이 된다. 단, 주어는 실체나 신이 아니라 개체가 된다. 나는 마트롱의 해석이 대단히 독창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스피노자가 실제로 저런 식으로 사고했을까 하는 의문이 튀어 나왔다.

마트롱은 이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제 이를 전통적인 어휘로 말해 보자. 이와 같은 순수 산출성이 곧 실체이며, 실체가 전개되면서 취하는 구조들이 바로 실체의 양태들이다. 그리고 실체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 곧 실체가 자신의 구조들을 산출하는 방식이 곧 속성이다." (27페이지)

마트롱의 논증은 대단히 명료해 보인다. 그러나 첫째, 스피노자의 정의에서 보이는 불투명성이 마트롱의 해석에서 명료해지지는 않는다. 그리고 둘째, 스피노자의 정의에서 대단히 불투명해 보이는 부분은 마트롱의 해석에서는 아예 회피되기도 한다. 위 문장의 경우를 보면 마트롱은 아무 문제도 없다는 듯이 속성의 정의를 스쳐 지나간다. 그러면 스피노자가 속성을 "지성이 지각한 것"이라고 한 부분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마트롱은 이 부분을 해결하고 넘어간 걸까? 난 잘 모르겠다. 지금 그런 거 같지 않아서 꺼림직하다고 말하고 있는 중이다.

이런 대목들이 내가 마트롱을 읽으면서 미심쩍어 하는 부분이다. 마트롱은 거칠 것 없다는 듯, 시퍼렇게 날이 선 칼을 휘두르며 질주한다. 그런데 내가 보기에 그 칼은 파란 페인트를 칠한 나무칼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예는 내가 읽은 페이지들에서 더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마트롱이 발생적 정의, 운동과 정지에 대해 너무 가볍게 얘기하고 넘어가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는다. 적어도 홉스는 참조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하며 소심해 하는 것이다. 적어도 17세기 자연철학, 요컨대 물리학과 의학은 참조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혹은 스피노자의 다른 저작, 요컨대 "행복에 관한 소론"은 참조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혹은 철학사의 한 부분, 요컨대 플로티노스는 참조해 주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계속 하게 된다. 책의 뒷 부분에서 이런 것들에 대한 참조와 좀 더 진득한 해명을 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나는 이미 책장을 넘길 의욕을 잃어 버렸으니 책 뒷 부분을 뒤적거리지는 않았다. 책을 하차시킬 적당한 꼬투리를 찾고 있던 판국에 말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저 포도는 시다, 가 될 것이다.

내가 마트롱의 책이 진지하지 못하다고 못마땅해 하는 부분은, 역자의 말에 따르면 마트롱의 방법론에 해당하는 것인 듯 하다. 역자에 따르면 마트롱은 텍스트 외부에의 참조는 가능한 억제하고 텍스트 자체의 내적 논증 구조를 철저하게 파고 들었다고 한다. 나는 이런 방법론의 의미나 장점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른다. 그래서 이런 소리를 하게 되는데, 내 생각에는 내게 어떤 텍스트가 주어진다면 그 텍스트 안에 있는 문장들만을 조합하여 그 텍스트의 의도와는 전혀 상관없는 새로운 구조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 예컨대, 마트롱은 "지성개선론"과 "에티카" 사이에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듯이 철저하게 정합적으로, 마치 두 텍스트가 한 텍스트인냥 다루고 있지만 그것은 실재하지 않았던 영원으로 완결된 스피노자를 창조하고 있을 뿐이 아닐까 하고 나는 미심쩍어 한다.

간단한 이야기를 길게 했다. 위의 얘기는 "마트롱의 책이 두꺼워서 영국까지 가져 가기 귀찮아서 짐짝에서 빼 버렸다."라는 문장에서 "두꺼워서" 부분을 길게 늘인 것에 불과하다. 그 정도 무게를 갖는 얘기에 불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