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잔의 화집을 보러 서점엘 갔다. 정물화. 어제 처음 펼쳤을 때의 그 강렬한 색감이 주는 충격은 이미 희미해져 있었다. 그림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노력은 배제하고 기법에만 주의해 찬찬히 살펴 보았다. 어제는 세잔의 저 정물화에서 확고함과 단단함을 보았었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표현에 있어서는 상식의 예상을 이리 저리 깨고 있더라. 나는 실험이 단호함과 연결될 수 있다는 사실에 감동을 받았다. 가슴이 쿵꽝 쿵꽝 뛰는 걸 느꼈다. 그리고 바로 화집을 닫았다.

종일 세잔의 그림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무척 보고 싶었다. 그래서 집에 돌아오는 길에 서점엘 들렀다. 오늘은 세잔이 내게 그닥 강한 존재감을 주지는 못했다. 대신 다른 화가들의 그림에서 세잔을 읽을 수 있었다는 것에 만족해 했다.

그러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세잔이 나를 부지런하게 만드는 구나. 어제 본 그림 몇 장을 또 보기 위해 나는 길을 돌아 이삼십 분을 더 걸었다. 길 양편으로 드리워진 처마들의 구도가 처음으로 눈에 들어온다. 벽에 붙은 전시회 광고 내용을 암기하고 있는 나를 느낀다. 세잔의 단단하면서도 어설퍼 보이는 붓터치는 내게 뭐든 맘껏 휘둘러 봐, 라고 속삭인다. 피카소의 그 무궁한 작품들, 나를 기겁하게 한 그 무지막지한 창의의 생산물들은, 피카소야말로 스피노자의 그 신임을 증명한다.

스피노자의 단호함은 나의 게으름을 정당화한다. 그것은 스피노자의 본질에 관한 이론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스피노자는 실존에 관한 이론 또한 가지고 있다. 즉, 실존이란 표현된 것의 총체이며,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이 표현될 수록 더 많이 실존하는 것이며, 더 완전한 것이며 더 많은 힘을 갖는 것이라는 이론. 사실 이 이론은 신에 관한 이론이다. 그리고 신에 있어 실존과 본질은 같은 것이다. 인간에 있어서는 실존과 본질이 분리되어 있다. 인간은 본질에 관한 장에서 주로 논해진다. 아다시피 인간의 본질은 코나투스, 즉 삶에의 맹목적 욕구다. 다시 피카소를 떠올려 본다. 스피노자는 피카소의 관점에서, 피카소의 환경에서 읽혀져야 한다. 왜? 지금은 21세기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