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에 관한 책들을 읽으면서 내 머리 속에 쌓인 단상들을 여기에 비워 놓기로 한다.

1.
"... 라이프니츠와 스피노자가 올덴부르크를 처음 직접 만났을 때는 거의 같은 나이였던 셈이다. 스피노자는 28세 때였고, 라이프니츠는 26세 때였다." ("스피노자는 왜" 262 페이지)

올덴부르크는 처음 만난 스피노자에게서 인간적으로든 지적으로든 대단히 강한 인상을 받았다. 스피노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러한 경외감을 읽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 나중에 올덴부르크는 자신의 길과 스피노자의 길이 엇갈려 있음을 깨닫게 된다. 자신의 경력에 있어 스피노자가 매우 위험한 장애물이라는 것도. 그러나 그러한 때라도 스피노자에 대한 올덴부르크의 애정은 식지 않는다. 그것이 혹 분노와 좌절감을 동반하는 것일 지라도. 짧은 직접 만남으로 시작된 올덴부르크와 스피노자의 관계는 그들의 생애 내내 진실함 속에 있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들의 관계에 애증이 깃들어 있었다는 것이 그 징표일 것이다.

반면 올덴부르크는 라이프니츠를 다소 사무적이고 퉁명하게 대했던 것 같다. 올덴부르크는 당시의 라이프니츠의 학식을 대단히 높게 사지도 않았던 것 같다. 올덴부르크의 눈에 라이프니츠는 출세를 추구하는 당시의 수 많았던 준천재들 중 하나로 보였을지 모르겠다. 라이프니츠는 올덴부르크에게 뭔가를 증명해 보여야 할 사람이었을 것이다. 스피노자가 올덴부르크에게 더할 나위없이 독특한, 신비롭기까지 한 인간이었다면 라이프니츠는 당대의 숱한 사람 중 하나였을 것이다.

스피노자는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는 사람이다. 동시에 세상에 빼앗길 것도 없는 사람이다. 스피노자에게서 그의 철학을 뺏어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의 재산을 뺏어가는 것도 불가능하다(단순히 그는 재산이 없었으므로). 그의 기술을 뺏어가는 것도 불가능하다(물론 그의 손가락을 분질러 버리면 되겠지만). 교수라는 명예와 부로 스피노자를 유혹하는 것도 불가능하다(그는 자유를 더 사랑하였으므로). 심지어 스피노자에게서 생명을 뺏어가는 것도 불가능하다(왜냐하면 스피노자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이 신체와 더불어 완전히 파괴될 수 없음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아마 이러한 것들이 스피노자를 철학자로, 혹은 진실한 인간으로 정의하는 것들일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 앞에 있는 저 작고 여린, 모성애나 부성애를 자극하는 사람이 진실된 인간임을 깨닫도록 해주는 것이었을 게다. 그리고 스피노자 자신에게는 그러한 자족감이 자신의 철학의 힘, 즉 자신의 철학의 진리성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라 여겨졌을 것이다.

스피노자는 어느 지역에서건 어느 시대에서건 희소하다. 그러므로 그렇게 드러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소중하게 다뤄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2.
올덴부르크는 변한다. 시야가 새로운 시대를 창조한다는 자부심으로 좁아져 있을 때 올덴부르크는 스피노자에게 저작들을 출판할 것을 강하게 촉구한다. 정치적 소용돌이에 휘말려 런던탑에서 죄수 생활을 하고 나자 그의 시야는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올덴부르크는 스피노자에게 저작들을 출판하지 말 것을 간곡히 권유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시대의 풍세는 올덴부르크를 때로는 진보적인 사람으로, 때로는 보수적인 사람으로 만든다. 올덴부르크가 폭풍에 흔들리는 배였을 때 스피노자는 등대처럼 자기 자리를 지켰다. 그것이 스피노자에게 만족을 주는 삶이었는지는 지금 중요치 않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스피노자를 철학자로 정의한다는 것과, 그리하여 스피노자는 등대로써 지금도 우리 눈 앞에 있다는 것일 테다.

3.
"스피노자의 편집증적인 탐구를 촉발한 확고부동한 신념들에 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의 경우에 수수께끼는 오히려 그러한 신념들의 원천에 있다. 그는 어떻게 그렇게 확신할 수 있었을까? 반면에, 라이프니츠는... (그 자신이 말한 그 숱한 것들을) 도대체 믿긴 믿은 것인가?"("스피노자는 왜" 168 페이지)

여기 똑같은 문제가 또 나온다. 스피노자가 자신의 철학의 진리성을 확신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스피노자가 죽기 전의 마지막 식사를 "맛있게 먹었다"는 사소한 구절마저 그의 철학의 진실성을 증명하는 것처럼 보일 정도다. 반면 그의 철학의 원천은 무엇이었을까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쉽게 찾아내기 힘든 것 같다. 예를 들어 그는 의지의 자유를 부정한다. 나는 그의 철학 체계 안에서 의지의 자유를 부정하는 것은 매우 정합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의지의 자유의 부정은 체계에서 연역된 것이라기보다는 체계를 건설해 가는 과정의 한 단계였을 것이다. 그러면 어디서 이러한 관념을 얻었을까? 그리고 왜 이런 관념을 채택했을까? -일단 나는 모른다.

라이프니츠의 경우에 대해서는 그리 고심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라이프니츠는 무엇보다도 법률가이자 외교관이었기 때문이다. 그에게 벌거벗은 진리를 요구하는 것은 너무 가혹한 일일 것이다. 여하튼 그가 자신의 주장을 믿었건 말건은, 그에게도 우리에게도 전혀 중요치 않은 일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13-08-01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피노자를 다시 읽어 봐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Weekly 2013-08-01 17:13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저는 요즘 오히려... 좀 가볍게 사는 건 어떤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아, 베르그손이 스피노자는 모든 철학자의 첫번째 철학자라든가... 하는 말을 했다던 기억이 나네요. 동의할 수 밖에 없지만 저에게 스피노자는 마치 알의 껍데기처럼 느껴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