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스티븐 내들러의 "스피노자" 9장, 10장을 읽었고 지금은 7장을 읽고 있다.

1. 회사 그만 두기 전날. 매주 수요일은 이 지역의 모든 공장이 잔업이 없는 날이다. 삼성중공업의 본을 따라 모두 그렇게들 한단다. 동료와 저녁 식사를 하러 시내에 나갔더니 똑같은 옷(삼성중공업의 사복을 거의 모든 삼성 하청업체들이 자사 유니폼으로 채택했다)을 입은 사람들로 거리와 식당이 붐볐다.

갈비탕집에 빈 자리가 있어 거기서 갈비탕을 시켜 먹었다. 옆 자리에는 남자 셋과 여자 하나가 밥을 볶아 먹고 있었다. 그네들의 목소리가 들린다. "퇴근하고 기숙사에 있다가 시간이 아까와서..." 시간이 아까와서 밖으로 나가 동료들과 술도 먹고 그런다는 이야기다. 그러다 보면 자정을 넘기기 일쑤고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 지고... 그러나 퇴근하고 나면 또 "시간이 아까와서..."의 반복.

맞은 편 여자가 "책 읽으면 되잖아요..." 라고 말한다. 나도 그걸 선택했다. 그냥 자기에는 시간이 아까와서...

공장 노동자들은 종속노동이 무엇인지를 몸으로 느낀다. 종속노동이라는 개념 자체가 공장 노동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일 게다. 한국의 거의 모든 공장들은 잔업이 기본이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보통 하루 12시간을 공장에서 보내게 된다. 그 12시간에다가 출퇴근 시간과 잠자는 시간 등의 생리적 용도의 시간을 더해 보라. 무엇이 남을까? 우리가 생활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을 위해 남겨진 시간은 없다. 그러므로 생리적 용도의 시간을 줄여서라도 "생활"을 위한 시간을 갖고자 하는 것이다.

시간이 아까와서... 라는 말의 의미는 이런 것이다.

2. 회사 그만 두던 날. 그러니까 어제. 내가 일하는 업종은 이직이 비교적 자유롭다. 그래서 그만 두는 날에 통고하거나 아예 아무 말도 없이 그만 두는 사람도 많다. 나는 인수인계를 생각해서 이주 전에 미리 이야기를 했었다. 반장에게 당분간 비밀로 해달라 했지만 다음날 오전부터 사람들은 내게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묻기 시작했다.

그래서 지난 이 주는 길었고 내 마음은 펄럭였다. 드디어 그만 두는 날. 나는 작업 종료 시간보다 이르게 토치를 내려 놓고 사람들을 찾아 다니며 작별 인사를 하고 악수를 나누었다. 가는 귀가 먹은 노인도 있고 캄보디아 사람도 있고 조선족도 있다. 필리핀 친구 하나가 캔음료 하나를 건네 주어서 받아 왔다.

친구가 문자로 이제 새로운 장(chapter)로 넘어가는 거냐고 물어왔다. 내 느낌이 정확히 그랬다. 이제 인생의 새로운 장으로 넘어가는가 보다. 새로운 장은 아직 쓰여 지지 않았다. 나는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어린 아이마냥 왼쪽 가슴에 작은 손수건을 달고 가방 필통엔 전날 밤에 누나가 정성스레 깍아준 연필을 가득 담아 놓았다. 글쎄 뭔가 집에 빠뜨리고 온 것이 있긴 할거다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