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전략 - 장(場)을 가진 자가 미래의 부를 지배한다
히라노 아쓰시 칼 & 안드레이 학주 지음, 천채정 옮김, 최병삼 감수 / 더숲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읽은 기간: 5/7 하루(1시간 45분 걸림)
총평: 더 두꺼워야 했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 사람이다(저자 중 한 사람은 일본 사람, 다른 한 사람은 미국 사람으로 생각됨). 미국 사람이 썼더라면 더 풍부하고 현대적인(!) 예화들을 모아다 피카레스크식으로 묘사하면서 책의 부피를 늘렸을 것이다. 그랬더라면 더 읽을 만한 책이 되었을 것 같다. 무엇보다도 이런 주제로 이런 얇은 분량은 도대체 말이 안되기 때문이다.

이 책은 플랫폼 전략이란 단일 주제에 집중하면서 이를 (마치 수학에서처럼) 공식화한다. 그래서 대단히 명료하게 읽히고, 또 곳곳에서 통찰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런 통찰력은 고도의 추상화때문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저자는 플랫폼의 기능 중 하나로 삼각 프리즘 기능을 든다. "언뜻 보면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두 개 이상의 그룹을 서로 연결해 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잡지나 TV, 신문 등은 광고주와 구독자(혹은 시청자)라는 두 개의 그룹을 연결하기 위해 제3의 그룹, 즉 구독자(혹은 시청자)가 원하는 기사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미디어라는 플랫폼을 만들고 있다."(50페이지) 통찰력이 빛나는 명쾌한 문장들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구글은 광고주와 사용자를 연결하기 위해 검색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고 페이스북은 관계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이렇게 추상적으로 플랫폼을 정의하고 나면 플랫폼 이용자와 플랫폼 운용자 사이의 전략적 행동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글은 애플의 iOS에 맞서 안드로이드 진영을 창설하였다. 구글은 모바일 시장의 절대 강자인 애플의 플랫폼에서는 제대로 힘을 쓸 수 없음을 깨닫고는 안드로이드를 무상으로 시장에 제공하여 스스로를 플랫폼화한 것이다. 저자들은 이를 거대 플랫폼에 대해서 오픈 플랫폼으로 대항하는 전략적 행동으로 설명한다. 명쾌하다.

이러한 연역적이고 추상적인, 그러므로 명쾌한 논리는 이 책의 대단한 장점이다. 그러나 이 책은 얇다. 이러한 멋진 논리에 더 풍부하게 살을 붙였어야 했다. 예를 들어 저자들은 플랫폼 전략이란 "관련 그룹을 플랫폼에 모아 네트워크 효과(일종의 입소문)를 창출하고 새로운 사업의 에코 시스템, 즉 생태계를 구축하는 전략이다."(16페이지)라고 정리해 준다. 그러면 실제로 관련 그룹들을 어떻게 플랫폼에 모을 것인가, 어떻게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할 것인가? 그러나 저자들은 이에 별 관심을 주지 않는다. 탁월한 검색 서비스일 수도 있을 것이고, 대대적이거나 독특한 홍보일 수도 있을 것이고, 풍부한 콘텐츠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 페이스북의 경우는 무엇일까?) 저자들은 이에 대한 조언을 해주지 않는다. 또, 네트워크 효과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나 트위터 등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그러므로 내가 보기에 이 책의 가장 큰 한계는 바로 그 분량이다. 이 책은 더 좋은 책이 될 수도 있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준호 2011-07-17 0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드레이 학주는 미국사람으로 알고 있습니다.

weekly 2011-07-17 11:15   좋아요 0 | URL
지적 감사합니다.
제가 다시 확인해 보지는 않았지만 저도 그렇게 생각되어서 본문에 반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