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있다
니콜라스 카 지음, 최지향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읽은 기간: 3/26 ~ 3/28
번역 상태: 나쁘다
한 마디로 평가하자면 이 책은 맥루한의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명제에 대한 각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중적인 의미에서 그렇다. 첫째는, 말 그대로 맥루한의 저 명제에 대한 확장 부연이 이 책의 내용이라는 것이고, 둘째는, 그러므로(혹은 그러나) 이 책은 맥루한의 통찰 이상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맥루한의 명제는 미디어가 단순히 콘텐츠를 전해 나르는 도구인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콘텐츠임을, 즉 우리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그리고 그 영향은 암시적임을 뜻한다.
저자는 타자기를 사용하게 된 니체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니체에게 벌어진 일이나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게 된 한국의 작가들에게 벌어진 일이나 똑같다. 즉, 문체가 간결하고 명료하게 변했다는 것. 그러므로 사고도.
저자는 우리 시대, 즉 인터넷의 시대를 조망하기 위해 신경 과학, 미디어의 역사, 심리학 등등의 영역으로 독자들을 끌고 다닌다. 다소 산만하고 피상적이란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부분이 가장 읽을 만 했다.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재미가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책의 후반부를 장식하는 저자의 무모한 문명 비판적 관점과 비교하면, 적어도 읽으면서 헛웃음을 짓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러나 후반부의 농담들 하나 하나를 들어 비판하는 것은 그만 두기로 하자. 소모적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터넷 안에서 집중을 유지하는 것이 극히 힘들다는 것을 잘 안다. 아니 이 말에는 어폐가 있다. 우리가 인터넷 안에서 하는 일이란 "집중"이 아니라 "서핑"이기 때문이다. 전자책이 책을 대체할까? 확신을 갖고 말할 수 있는 건 신문이나 잡지는 그렇게 되리라는 것이다. 그것들은 "서핑"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오디오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은 전자책으로도 만들어 질 수 있으리라. 요점은 "집중"의 공간은 어떤 형태로든 남아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다작의 작가 스티븐 킹은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글을 쓰려거든 전화기부터 끊어 놓으라고 했다. 역시 다작의 철학자이자 놀랍도록 분주한 인간이었던 사르뜨르는 하루 일과 중 자신만의 시간을 일생에 걸쳐 관철해 내었다. 또, 오만가지 일을 해낸 한 명의 인간 크누스는 자신의 생산성의 비결을 "한번에 한가지 일만 하기"라고 요약해 주었다. 따지고 보면 멀티태스킹이란 것도 동시에 여러가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하나의 일만 하는 것이다. 결국 우리를 깊게 만들고, 우리를 생산성 있게 만드는 것은 홀로인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것을 견뎌내는 지성 이외의 다른 것일 수 없다는, 아주 평범한 상식을 재확인하게 된다. 저자는 바보같이 미래의 프로그래머들에게 인간의 두뇌를 과도하게 기계에 의존케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지 말아 달라고 애원한다. 나는 반대로 얘기하겠다. 아이폰의 텍스트 자동 완성 기능을 좀 더 똑똑하게 만들어 다오, 무척 짜증이 난다오! 인터넷의 빠름은 우리 문명의 빠름을 반영한다. 나는 그것을 거역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그에 휩쓸리고 싶지도 않다. 모두가 그 빠름에 허우적댈 때도 자기 중심을 잡고 차곡 차곡 성과를 뽑아낸 사람들이 있었지 않은가? 나는 그 사람들을 본받고 싶다. 가장 효율적인 미디어를 이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