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 바비칸 센터 극장에서 국립 창극단의 창극 리어를 보았다. 이번 런던 공연은 사나흘 정도로 짧은 일정이었고 우리는 마지막 날의 오후 공연을 보았다. 공연팀은 두 시간 남짓을 쉬고 다시 저녁 마지막 공연에 들어가야 했을 것이다. (생각만 해도 기 빨리는 일정이다.) 여튼 우리가 본 공연은 성황리에 끝났고 기립 박수를 이끌어내었다.
내 생각에도 무척 만족스러운 공연이었던 것 같다. 첫째로, 리어왕이라는 원작 자체가 문화적 경계를 타지 않는 것 같다. 다시 말해 창극으로 공연되는 리어왕에 전혀 위화감을 느낄 수 없었다. 더구나 창극이란 형식은 셰익스피어 비극 중에서도 가장 처참한 비극성을 가진 리어왕을 그 극한까지 몰아갈 수 있는 쟝르라는 생각이 들게 했다.
둘째로, 나는 이번 창극을 리어왕에 대한 가장 참신한 해석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요컨대, 한국 사람이 리어왕이라는 작품을 접했을 때의 자연스러운 반응을 토대로 각색이 이루어졌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예컨대, 이 모든 사단의 시발에는, 리어왕의 고집스러운 성격 못지 않게, 코델리아의 고지식함도 한 몫 하고 있는 것 아닌가?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의 하나로 노자의 첫 구절을 떠올릴 사람도 많을 것이다. 한국의 각색자도 분명 이런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갔을 것이다. 젊고 아름답고 착한 코델이아의 이면은 늙고 고집스러운 리어이다. 밝고 투명하고 경쾌함의 이면은 깊고 어둡고 알 수 없음이다. 그리고 그것의 이미지가 바로 물이다(여기서 바슐라르를 인용해야 할 것이나 책을 뒤지기 귀찮다). 극이 시작하고, 무대의 바닥에서 조용히 출렁이고 있는 것을 나는 비단이거나 레이저 2D 이미지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것은 진짜 물이었다. 배우들은 그 물에 발을 담그고, 첨벙대고, 고기를 잡고 등등... 했다. 어리석음과 어리석은 척 하는 것, 광기와 광기인 척 하는 것 등등의 이 처절한 변증법에서 물은 그 어느 캐릭터보다 더 강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아마 물의 배역을 말하라면 그것은 바로 '비극'이라고 대답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리어는 처형당한 코델리아를 안고 와서 그 물에 누인다. 코델리아는 잔잔한 물 위에 누워 있다. 나는 충격을 받았다. 아마 내 옆에 셰익스피어가 앉아 있었더라면 그는 충격을 받고, 눈물을 흘리고, 공연팀에 감사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 장면을 통해 한국에서 온 공연팀은 '햄릿(오필리어의 비극)'과 '리어왕'의 가장 비극적인 장면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기, 죽음 등등에 무엇을 첨가해야 그 광기는, 그 죽음은 궁극의 비극성을 성취할 수 있게 될까? 무지함, 고집스러움 등등으로는 아직 부족하다. 필요한 것은 바로 순진함, 나이브함, 어린 아이같음이다. 노자에 따르면, 천지는 인간을 어린 아이처럼 대한다. 그리고 동시에 노자는 천지는 결코 인자하지 아니하다고 말한다... (이 두 번째 구절은, 고전 그리스 비극의 합창의 형태로, 무대에서 직접 표현된다.)
기립 박수가 터지는 와중에도 나는 조용히 앉아서 박수를 쳤다. 나는 원래 기립 박수같은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담할 수 있다. 한국에서 온 공연팀의 자기 확신을 그 순간 나는 누구보다 강하게 긍정하고 있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