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튭으로 한국 뉴스를 검색하다가 지역 축제나 전통 시장 등에서 상인들이 바가지를 씌우는 것이 문제라는 기사들이 연이어 올라온 것을 보았다. 아직도 이렇구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얼마 전에 다녀 온 스페인 말라가를 떠올리게 되었다.


철학이 주관심사 중 하나인 나에게 스페인은 그렇게 매력적인 나라가 아니었다. 이번에 처음 스페인에 가면서도 단순히 관광을 간 셈 치고 아무 준비없이 몸만 비행기에 실어보냈었다. 그러나 다녀오고 나서는 계속 스페인 관련 정보를 찾아본다. 아내는 스페인어를 배운다고 하고, 나는 지금 중세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철학자 마이모니데스의 전기를 읽고 있다. 다시 가보고 싶고, 심지어는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나라이다. 유튭을 찾아보면 스페인을 방문했다가 스페인에 반해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다.


짧게 다녀온 나도 스페인의 매력에 대해 말을 하라면 할 말이 너무 많다. 그러나 다 치우고 딱 한 사례만 이야기하기로 하자.


첫 날, 말라가의 유명하다는 한 식당에 저녁을 먹으러 갔다. 그러나 줄이 너무 길게 늘어서 있어서 그날은 그냥 포기했다. 말라가를 떠나기 전날 밤에 다시 갔는데, 여전히 줄이 늘어서 있었다. 좀 기다렸고, 차례가 되어, 한국 식당처럼 활기차게 시끄러운 식당에서 해산물 등과 맥주 등을 먹었다. 식사를 마치고 식기를 치워가게 하고 나서 계산서를 기다리며 우리는 텅 빈 식탁 앞에서 한참을 수다를 떨었다. 밖에는 여전히 사람들 줄이 길게 늘어서 있었다. 테이블을 빨리 돌리면 그것이 다 돈일 터인데, 식당 안을 분주하게 오고가는 종원원들, 매니저 누구도 텅빈 식탁을 사이에 두고 수다를 떠는 우리에게 눈치를 주지 않았다. 식기를 치우게 하면 당연히 계산서를 가지고 오겠지 했는데, 스페인에서 둘은 별개의 사건인가보다. 계산하시겠냐고 묻지도 않는다. 식기들을 치우고 말끔한 식탁 상태에서 대화를 하고자 하는 사람도 있을 테니 그걸 고려하는 것인가 보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계산을 하고 나서도 뒷맛이 깔끔했다. 가격이 무척 저렴했기 때문이다. 스페인 남부 말라가 한정 체감 물가는, 말라가 관광 중심부에서조차 한국보다 낮았다. 


스페인은 세계 최대의 관광국이기 때문에, 역으로 보면 그에 걸맞는 시스템이나 소양이 갖추어져 있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그러한 시스템이 구축되었을까? 물론 나는 모른다. 그러나 어떤 원리에 의해 그러한 시스템이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한 마디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것은 개인의 선택에 대한 철저한 존중이다. 내가 손님으로서 식당에 들어갔으면, 줄이 길게 늘어서 있고는 그 줄을 서고 있는 사람이나 식당 사장의 사정이지 손님인 나의 사정이 아니다. 나는 손님으로서 그 식당의 서비스를 최대한으로 즐기면 그만이다. 내가 관광객이든 지역 사람이든 그런 것 또한 식당 직원이나 사장, 식당의 다른 손님들의 관심사일 필요가 전혀 없다. 손님으로서 나는 그 식당의 서비스를 최대한으로 즐길 권리가 있고, 내가 손님으로서 철저하게 존중받는 것과 똑같은 원리에서 식당의 직원들을 철저하게 존중해주면 된다. 아마 이러한 원칙이, 적어도 말라가의 식당 주인과 직원들에게 철저하게 공유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아마 한국의 지역 축제 등의 상인들에게 이러한 원리는 말도 안되는 것일 수 있다. 그것은 개인의 선택이나 기호에 대한 철저한 존중은, 한국에서는 드문, 서구 문화의 주요한 특질로 보이기 때문이다. 어떤 문화적 특질은 다양한 맥락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그러므로 평면적으로 그것을 좋다, 나쁘다, 라고 판단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 지금의 경우 식당을 방문한 손님에게 그 식당이나, 그 식당이 속한 지역, 문화에 대해 좋은 인상을 주는 데에는 이 원리가 아주 효과적인, 그러니까 실용적인 가치를 갖는다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만일 문제를 이처럼 개인적 선택에 대한 존중과 같은 원리로까지 끌고 들어가는 것이 지나친 억지가 아니라면, 지역 축제 등에서 외지인이나 어수룩해보이는 사람을 상대로 바가지를 씌우려 드는 행위를 꼭이 이러 저러한 상인들의 일탈로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전에 숙명여대 학생들이, 성전환하여 법적으로 여성인 학생의 입학을 반대하여 그 학생이 결국 입학을 포기하고 만 일이 있었다. 숙명여대 학생들은 그 학생의 선택을 전혀 존중하지 않은 셈이다. 아마 그 반대한 학생들의 상당수는 한국 사회가 개인적 선택이나 취향에 대해 억압적이라는 점에 공감할 것이다. 아마 기성세대일수록 그런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밖에서 보면, 기성세대나 젊은 세대나 별로 다를 바가 없어 보인다. 저마다에게는 저마다의 사정이 있다. 예를 들면? 나는 손님이고 커피 한 잔을 주문했으므로 10시간이든 그 이상이든 이 카페를 이용할 권리가 있다... 이러한 것들이 한국의 현재를 정의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