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설의 <이념들 1> 하나만을 끝까지 읽었다. 이러 저러한 것들을 상수로 할 때 변수로 끼여 든 것은 <나의 아저씨>라는 드라마 시리즈였다. 이걸 보려고 네플릭스 가입까지 했고(영국은 한달 무료, 이런 것이 없다), 덩달아 <길모어 걸스>를, 시청한 순서대로. 7, 5, 6 시즌까지 봐버렸다. (주로 세수할 때 보기는 했지만)  


나의 아저씨: 1, 2 회를 볼 때는 기가 막힌 드라마가 여기 있구나 하는 감탄을 거듭 했으나 곧 열기가 사그라들기는 했다. 여튼 한류가 그저 이름은 아닌게로구나, 다 이유가 있는 게로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삶에 대해 너무 가르치려든다거나, 대사가 중언부언한다든가, 술집을 배경으로 한 일본식 드라마 아닌가, 하는 등등의 비판도 있을 것 같다. 혹은 있었을 것 같다.


길모어 걸스: 이번에 후반 시즌들을 보면서 드라마를 형식적으로 틀짓는 구조들에 관심이 갔다. 즉, 계급 갈등과 세대 갈등. 계급 갈등은 길모어 할머니-할아버지로 대표되는 부르주아 계급과, 식당 주인 루크를 포함하는 스타스 할로우 주민들 사이의 이질성을 뜻하고, 세대 갈등은, 길모어 할머니-할아버지와 레인의 엄마 김여사로 대표되는 부모 세대와, 로렐라이로 대표되는 자식 세대 사이의 이질성을 뜻한다. 전자들은 존재의 튼실함에 기반해 있고 후자들은 상대적으로 존재의 가벼움을 택하는 경향이 있다. 노동 계급에 속하지만 아시아 출신 부모 세대라고 할 수 있는 김여사는 바로 이런 점에서 길모어 집안의 노인들(화이트 부르주아)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이들 부모 세대들은 결혼 등을 통해 자신의 집단에 들어오려는 사람에 대해 배타적이고 속물적인 검증을 하지만, 맘에 들던 들지 않던 자신의 집단의 구성원으로 일단 인정한 사람에 대해서는 그들에게 존재의 튼실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이런 존재의 튼실함에 대한 부정성을 인물화한 것이 로렐라이라는 캐릭터다. 그러므로, 부정적 관계 속에서이기는 하지만 로렐라이라는 인물에게도 존재의 튼실함의 세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로렐라이의 딸 로리에게는 존재의 튼실함의 세계에 대한 부정의 관계조차 없다. 그러므로 로리의 존재는, 길모어 할아버지가 표현한 대로, 드리프트하는 것으로 조건지워져 있는 셈이다. 그래서 이 드라마는 로리의 성장 이야기라기보다는,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것으로 조건지워져 있는, 혹은 운명지워져 있는, 로리에게 그 가능성이 결국 운명이 되어 버리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다. 나는 이 극의 작가가 로리를 애초부터 그런 성격의 인물로 설정해 놓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리버럴한 부모들에게서 자란 아이들의 이런 방황에 대한 이야기가 아주 드문 것은 아니니까. 


다음은 11월에 읽은 책:

1. <이념들 1>, 후설: 지루한 초반부를 지나고나면 뭔가 설득력 있는 전망이 제시되는 절이 시작되어 기대를 품게 하지만,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긴 설명에도 불구하고 마음에 와닿는 부분이 별로 없음을 자각하게 된다. 그래서, 이 책을 끝내고나면 후설의 이념에 경도된 철학자들의 책을 찾아, 도대체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그런 전향을 하게 한 것인가를 알아봐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러다 후반부에 접어들자 매우 흥미롭고 구체적인 분석이 이어져서 일단 후설을 계속 파봐야겠다는 애초의 계획을 다시 긍정하게 되었다. 아마 다시 이 책을 읽게 될 즈음에는 상당히 구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될 것 같다.


시작했으나 끝내지 못한 책:

1. <후설의 ‘이념들 1’의 핵심>, 폴 리퀘르: 후설의 책에 대한 주석서다. 서론 부분만 읽었다. <이념들 1>을 다시 읽을 때 참고하면서 읽게 될 것이다.

2. <현상학>, 한전숙: 한국에서 가져온 책. 독자 친화적인 책이기 때문에, 즉 반복적이고 깊지 않아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기 때문에, 일종의 용어 사전으로 활용하다가 후반 장부터 제대로 읽어나갔다. 내가 직접 읽은 후설과 이 책 사이의 간격이, 내가 생각하기에, 내가 이루고 있는 진보의 지표다. 진보에 대한 느낌이 대부분의 경우 환상일 뿐이긴 하지만.

3. <내적 시간 의식의 현상학>, 후설: 전반부는 재미있게 잘 읽었는데 어느 순간 흐름을 놓쳤다. 다음에 처음부터 다시 읽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