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학술원에서 우수학술도서를 선정했다 하여 보았더니 ...

뭐 다른 분야도 할 말은 많지만, 입을 다물고 ...

 

한의학 분야만 살펴보자.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책도 있고, 아니 대체 왜? 싶은 책도 있다.

 

소위 저 우수학술도서 중에 한의학 분야는 누가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지,

궁금증이 일었다.

 

내친 김에 ... 최근 몇 년 간의 선정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2015년도 것부터 살펴보자.

 

 

 

 

 

 

 

 

 

 

 

 

 

딱 한 권이 선정되었는데 ...

([세계의 독성식물]이라는 책을 ... 넓게 봐서 본초학이라 볼 수도 있겠지만

아마도 동양의학의 본초학 개념보다는 약물학 범주로 봐야 할 것이다.)

흠 ... 2014년도 출간된 책 중에는 다른 저자의 번역서가 훨씬 더 비중있는 작품인데 ...

뭐, 주학해의 저작을 번역한 것도 의미 있는 일이긴 하다.

 

 

2014년도를 보면 ... 아주 가관이다.

처음 들어본 저자들의 ... 개론서 하나와 본초 도감 하나인데,

이 책들이 학술적으로 무슨 대단한 의미가 있는거지?

 

 

 

 

 

 

 

 

 

 

 

 

 

 

2013년도, 역시 한 권 ...

학술원에서는 도감류를 좋아하시는구만.

 

 

 

 

 

 

 

 

 

 

 

 

 

2012년도에는 한의학 책이 아예 선정되지 않았고 ...

(국립국어원에서 국어 연구 자료로 나와 한국학 분야에 선정된 [구황촬요]를 제외하면)

 

 

 

 

 

 

 

 

 

 

 

 

 

 

 

2011년도에도 ...

한국학 분야에 속한다 할 수 있는 고려시대 의사학 관련서 두 점을 제외하면

(이 두 서적은 고려 의학사라는, 불모에 가까운 분야로서는 소중한 연구자료가 될 것이다.)

[황제내경소문해석] 한 점.

이거 학술적으로 그닥 큰 반향을 일으킨 책도 아닌데 ...

 

 

 

 

 

 

 

 

 

 

 

 

 

 

 

 

 

 

 

한의학의 학술 분야에서 큰 성취를 이루었거나,

임상적으로 진일보한, 의미있는 서적들이 최근 5년 동안에도 분명히 많이 출간되었는데

이런 수준의 면면이라면 ... 이거 참 뭔가 당황스럽네. 

올해의 저런 모습은 다른 해에 비하면 딱히 못할 것도 없는 것이었군.

 

한의학 분야만 언급했는데, 양의학이나 치의학 쪽은 훨씬 더 안드로메다로 가는 느낌이고.

인문 사회 계열은 뭔가 보편적인 기준이랄까, 어느 정도의 상식선을 벗어나지 않는데

(누가 봐도 타당한 책이 열에 아홉 정도 뽑히면, 이건 대체 뭐야 싶은 책 한 권 정도 겉다리로 ...

뭐 그런 느낌?)

자연과학, 특히 공학이나 기타 각종 기술과학 쪽은 일반인의 해당 분야에 대한 무지라는

장막을 너무 믿고 ... 쿵따리 짝짝으로 돌아가는게 아닌가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5-30 14:5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