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학의 연구에 도움이 되는 각종 참고서적, 영어로는 Reference Book을 사계(斯界)에서는 흔히 공구서라 불러왔다. 전통적으로 소학(小學)이라 불리는 범주에 포함되는 문자학, 음운학 등의 서적들인데, [이아], [강희자전], [옥편], [사해], [사원], [설문해자], [동국정운], [홍무정운] 등이 다 이 범주에 속한다. 
 

 

 


 

 

 

 

 

 

나의 경우, 십여년 전에 장만한 동아 [새한한사전]을 (오자를 잡아가면서..) 아직까지 쓰고 있는데, 요즘의 새 사전들을 보면 가끔 부러울 때가 있다. 일단 [새한한사전]만 해도 중국어 발음 기호를 웨이드-자일 식에서 한어병음부호로 바꿔 [백년옥편]이란 이름으로 새 판이 나오지 않았겠나.

 



 

 

 

 

그 몇년 뒤에 나온 것이 민중서림의 [한한대자전]이 되겠다. 옛날에 일본 사전 그대로 세로쓰기로 나왔던 책을 요즘에 맞게 편집을 새로 한 것인데, 동아 사전보다 표제어는 약간 많았지만 들고 다니기에는 약간 무겁고, 그렇다고 집에 놔두고 보는 사전으로는 약간 모자라, 한마디로 좀 어중간한 사전이었다는 것이 주변의 평가였다.

 


 

 

 

 

 

 

 

 

 

 

 

 

 

그런데... 요즘 주변의 자문도 있고 해서 둘러보다 최근에 나온 [한자사전]을 보게 되었는데, 한마디로 말해서 "이게 바로 내가 원하던 거야!"였다. 일단 사이즈는 기존 [한한대자전]의 최대 단점인 휴대성을 보강하여 [백년옥편]보다 약간 작은 정도로 만들어 손에 쏙 들어가는 크기.

표제자는, 물경(勿驚) 31000자라고 한다. [백년]이나 [대자전]보다 두배나 되는 글자수이다. 물론 이런 엄청난 표제자를 상재하기 위한 희생은 따르는 법. 대신 단어 설명 부분을 완전히 없앤 것이다. 즉, 오직 낱개의 글자 설명만 있는 전통적인 자전 체제로 돌아간 것이다. 뭐, 사실 단어 설명은 그리 활용도가 높지 않았음을 생각해 볼때 표제자를 위한 이 정도의 희생은 그닥 아쉬울 것은 없는 부분이다.

대신 기존 [대자전]에서 약했던 일본어 음과 훈이 대폭 보강되었고, 설문해자 등의 전통 공구서의 직접 인용이 많아 단어 이해에 매우 도움이 되었다. 설문해자를 바로 인용했다는 말은 요즘 식으로 말하면 그냥 영한사전이 아니고 영영한사전이라는 말 되겠다. 게다가 구하기가 약간 까다로운 설문해자나 기타 전통 공구서들이 인용의 형태로 들어 있으니 떡을 먹으라고 입앞에 대어주는 꼴이 아니겠는가.

아, 난 한동안 [한자사전]이 눈앞에 아른거리는 것을 꾸욱 참고 고색창연한 웨이드-자일식 영문 표기를 자랑하는 문제의 [새한한사전] 초판이나 뒤적이다, 거기에 안 나오는 한자는 서가 한 칸을 온통 차지한 [대한화사전]을 힘겹게 뒤적여야 할 것이다! 날로 학인들의 수요에 맞는 공구서가 출판되는 것은 환영할 일이나, 때늦음은 한탄할 일이다.

 

2003-04-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