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wo Worlds

 먼저 이 책 『빼앗긴 자들』(어슐러 K. 르 귄 지음, 이수현 옮김, 황금가지, 2002)을 간단히 소개하자면, 저자 르 귄은 갖가지 환경의 사람들의 사고와 문화를 치밀하게 가상하여 그려낸 일련의 작품들로 미국 문학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휴고 상, 네뷸러 상 등 기라성 같은 상을 휩쓴 과학 소설 작가이다. 이 책은 헤인 시리즈라 불리는 일련의 불연속적인 작품군의 한 권으로, 한 때 헤어졌다 다시 만나기 시작하는 두 ‘세계’에 대한 이야기이다.
 
 행성 우라스(Urras). 아름다운 자연을 가지고 있으며 고도로 발달된 문명 체제를 가진 인종들이 살고 있다. 하지만 그 문명은 결국 누군가의 희생과 고혈의 산물일 수 밖에 없는 터. 산업화된 소유 경제의 정점에 선 자본주의 국가와 공산주의 국가가 계속 긴장 상태와 전쟁을 반복하고 있다. 소유를 위한 지배욕은 사회 구조에도 반영되어, 남자는 여자를 억압하고 소유하고, 가진 자는 못 가진 자를 착취하고 부려먹는다. 이 세계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어떤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비록 소설 속에 따로 ‘테라’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지구인들이 나오지만. 겉보기에는 모든 것이 다 풍족하게 갖춰진 우라스지만, 여기에는 한 가지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행성 아나레스(Anarres)의 사람들, 즉 외부에서 주어진 체제와 억압을 거부하는 아나키스트들이었다. 인간의 근원적인 지배욕구가 이루어낸 구조 자체에 반기를 들고 일어선 그들은, 우라스에서 수용될 수 없었고, 이들은 결국 우라스의 형제 행성인 아나레스로 이주당한 것이다. 뭍짐승들마저 생존을 포기해버린 황량한 사막에, 가진 것은 아무 것도 없이.

 그들이 도착한 세계는 ‘온통 먼지투성이에 메마른 언덕뿐’(p. 317)인 곳이었다. 우라스에서 너무도 당연하게 충분히 존재했던 공기, 풀, 비, 바다, 음식, 건물, 공장, 책, 음악 등의 모든 것이 결핍된 곳이다. 그들은 기본적으로 자원이 풍족한 고도화된 문명 상태(즉, 우라스)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형성된 자유인들의 억압받지 않는 연대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메마르고 헐벗은 적대적인 땅에서 먼저 살아남아야 했던 것이다. 그들은 따분하고 안락한 온실 속이 아니라, 역경과 고난 속에서 자유를 쟁취해야 했다.

그들이 원하는 자유는 국가로 대표되는 권력기관으로부터의 자유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는 차별성을 가진다. ‘국가의 신화를 밀어놓고서야 진정한 상호 관계와, 사회와 개인간의 상호 의존이 뚜렷해’질 수 있었던 것이다. ‘오직 사회만이 안전과 안정성을 줄 수 있다고는 해도, 도덕적 선택의 힘, 생명의 필수기능인 변화의 힘을 지닌 것은 오로지 개개의 사람들뿐이기에.’(pp 458~459) 이러한 자유인들의 연대 속에서 ‘개인의 의무는 어떤 규칙도 받아들이지 않는 것, 그 자신의 행동의 주체가 도는 것, 책임을 지는 것’이다. 그렇게 할 때에만 ‘사회도 생동하고, 변화하고, 적응하고, 살아남을 것’(p. 494)이라는 것이 이들의 생각이다. 

 이러한 개인들이 모여 이루어지는 공동체의 원칙은 ‘개인과 개인 사이의 상호 협력이라는 하나의 원칙 외에는 어떤 법률도 없’고, ‘자유로운 유대라는 하나의 원칙 외에는 어떤 정부도 없’는 사회이다. ‘국가도, 국민도, 대통령도, 국무 총리도, 장관도, 장군도, 두목도, 은행가도, 지주도, 임금도, 적선도, 경찰도, 군인도, 전쟁도 없’다. 그들은 ‘소유하는 자들이 아니라, 나누는 자들’이며, 유복하지 않고 강력하지도 않다. 오직 ‘고통 속에서, 굶주림 속에서, 가난 속에서, 희망 속에서’ 나눔의 의미를 깨닫고 그 속에서 형제애로 뭉친 것이다. 세계를 기본적으로 고통으로 인식하는 주인공 쉐벡의 세계관 속에서 서로에게 손을 뻗어 서로를 구원해 주지 않는다면 세상은 무의미한 것이 되기 때문이다. (pp 414~415에서 부분인용)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두 세계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는 주인공 쉐벡의 말을 들어보자: “당신네는 가졌고 우리는 가지지 못했소. 여긴 모든 게 아름답지. 얼굴들만 빼고. 아나레스에는 아무것도 아름다운 게 없어. 얼굴들을 빼면. … 우리에겐 그것밖에 없소, 오직 서로밖에. 여기 당신들은 보석을 보지만 거기서는 눈동자를 봐요. 그리고 그 눈속에서 장려함을, 인간 영혼의 장려함을 보는 거요. 우리의 남자와 여자들은 자유롭기에…….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았기에 그들은 자유롭소. 그리고 당신들 소유자들은 소유당하지. 모두들 감옥 속에 있어. 각각이 외롭게, 고립되어, 소유하고 있는 쓰레기더미와 함께.”(p. 318)

 이런 정도의 모습이 춘추전국이라는 혼돈과 격동의 시대 속에서 인간의 어리석음을 깊이 통찰했던 한 현인이 말한 이상향을 그대로 구현한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최소한 현대의 복잡다기한 문명의 상황 속에서, 각종 사상의 실험이 이루어진 뒤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근사치는 되지 않을까 싶다. 타인을 지배하려는 모든 인위의 산물을 제거하고 남는 것은 평등의 땅 위에 어깨를 나란히 한 자유인들의 느슨한 연대가 될 것이기에. ‘小國寡民’을 끊임없는 동사적 상태로 볼 때 그 궁극에는 어떠한 국가의 조직도 거부하는 자족적인 소규모 공동체, 또한 당연히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고 오로지 자기 자신에 대한 책임만을 가지는 자율적이 개인만이 남을 수 있을 것이기에. (김용옥이 『노자철학 이것이다』에서 시경의 한 싯귀를 분석해가며 설파했던 里制論이 고대 중국의 이러한 소규모 공동체의 한 근사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노자의 사회상과 차이가 있다면 아나레스의 사회는 지방 분권이 철저히 이루어지고 각각의 공동체는 필수적인 산물을 즉각 취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자연스레 규모가 제한되어 있으나, 모든 공동체는 통신과 이동 수단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곳에서 상품과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될 것이다. 노자가 이웃 마을간에도 서로 왕래가 없는 폐쇄적인 원시 자급자족 사회를 상정했다면, 아나레스는 서로의 연대와 소통을 최우선시하기에 황량한 자연환경 속에서 드문드문 떨어져 있을 수 밖에 없는 공동체들이지만 도로와 통신의 연결이 마을의 건설보다 먼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정된다. 인간이 단순히 원시상태로 회귀할 것이 아니라 문명과 문화를 유지하고자 한다면, 이런 상호 유기성을 가진 전체로서의 사회상이 더 생태계와 유사하고, 타당해 보인다. 그것이 ‘스스로 그러한’ 한에 있어서는 말이다. 

 물론 아나레스 공동체도 완벽한 것은 아니다. 공동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수직적인 것이 아니라 중심지, 관료기구, 지배자 등이 없는 평등한 것으로 설정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보이지 않는 관료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p. 137)
 관료기구 대신에 인간의 의지가 들어가지 않는 자원배분 컴퓨터가 자원과 사람들을 배치하고, 누구나 뽑힐 수 있는 위원회에서 공동체의 중요한 사항들을 결정하지만, 그 속에서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이지 않는 권력의 집중이 생겼던 것이다. 하지만, 이 사회는 혁명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 ‘법률에 기초한 국가의 백성이 아니라 혁명에 근거한 사회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사회이기에, 끊임없이 자체의 오류와 모순들을 고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혁명은 개인의 영혼 속에 있거나, 그렇지 않다면 어디에도 없다. 그것은 모두를 위한 것이거나,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다. 혁명에 끝이 있다고 보인다면 진정 시작조차 하지 않을 것이다.>’(p. 494 : 최초의 혁명가 오도의 말) 주인공은 바로 이런 아나레스의 자기모순을 발견하고 그것을 사람들에게 일깨우고, 투쟁해 나가고 있다. 또다른 혁명을 준비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