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 ‘죽었다 깨어나면’ 모를까, 이 땅 위에서는 아무리 발버둥 쳐도 할 수 없는 ‘하늘나라’의 경험을 하고 온 사람들이 있다. 저자는 이 경험을 통해 독실한 ‘지구교’ 신도가 된 특별한 사람들과 인터뷰를 하여 그들이 겪은 지고의 체험(peak experience)에 대한 ‘간증’을 얻어낸다.

‘회개’할진저,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우주비행사로 지구궤도를 돌거나, 달까지 갔다 오거나 하며 광막한 우주라는 공간에서 필연적으로, 우리의 터전인 지구가 얼마나 가냘픈 것인지를 순식간에 깨우쳐버린 사건이 얼마나 큰 충격이었는지는 이들의 이후 인생 여정을 봐도 알 수 있다: 달에서 神의 존재를 깨달아 전도사가 된 이나 환경 기업을 차리게 된 이가 있는가 하면 이런저런 충격으로 장성 진급 직전에 정신병원 신세를 지게 된 이도 있다.

우주비행사로 얻은 인기와 지명도를 세속적으로 이용하여 상원의원에 출마하거나 재계에 진출한 이가 있는 반면, 정신능력의 비상한 고양을 경험하고 초감각적지각(ESP) 연구소[Institute for Noetic Science]를 세운 Edgar Mitchell 같은 이나 기존의 종교 관념에서 벗어난 새로운 통찰을 얻은 Gibson이나 Carr 같은 이도 있다.

Carr의 경우 우주의 패턴에 대한 직관적 이해가 흥미로운데, ‘우주에서는 만물에게 질서가 부여되어 있고, 모든 사물과 현상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균형을 있다는 것, 즉’(300쪽) ‘모든 것이 어떤 패턴에 따라 조화를 이루고 있다’, ‘모든 신은 이런 현실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명사에 지나지 않는다’(301쪽)는 그의 통찰은 옥에 난 결[패턴]을 뜻하는 단어인 理(玉+里)로 세상의 질서를 설명했던 송학을 떠올리게 한다.

이들의 경험담을 보면, 지구를 벗어나 오싹할 정도로 아무 것도 없는 암흑뿐인 우주 공간 속에서 신의 관점으로 하잘것없는 지구를 보는 것은 깨달음의 즉각적이고 새로운 (그리고 아직은 불공평하고 비싼) 수단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수십년간 산 속에서, 혹은 광야에서 뼈를 깎는 수행을 한 것도 아닌 보통 사람들, 그것도 성찰적인 사고와는 약간 거리가 있다는 편견을 가질 수 있는 기술 전공자나 군인 출신인 이들에게 ‘단박 깨침’[頓悟]이 일어난 것이다. 물론 수십년간 수행을 한 수도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그러한 각성 상태를 유지한다는 나름의 장점이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우주 여행의 기회가 오게 되는 먼 훗날이 오면, 인간 의식은 분명 한 단계 더 고양될 것이다(차라리 모든 지구 사람들이 수행과 명상을 하는 것이 더 싸고 빠르고 효과적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제대로 된 단기속성 수행법만 개발된다면).

멀리 갈 것도 없이 당대를 살아가는 지성인이라면 시간과 공간이 절대적인 인식의 틀이 아니라 물질의 영향을 받는 변수라는 상대성 이론을 대강은 알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이미지로 떠올릴 수 있는 세계는 아직도 뉴턴적 세계에 머물러 있다. 현실의 지각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면 인간에게는 이미지로 떠오르지 않는다. 우주 시대에 들어와 비로소 인간은 아인슈타인적 세계를 아주 잠깐 현실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331쪽, 미첼의 말) 따라서 우주에 대한 인식이 심화된 지금, 원시적 관념 체계에 기반을 둔 기존 사고방식은 성립이 불가능하다. 이들은 더 크고 더 넓은 의미를 가지는 새 관념으로 발전되어야 한다(모든 지구인이 지구 바깥에서 우주를 볼 수 있게 되는 그날까지, 잠깐의 유예 기간은 있는 셈이다). 예컨대 ‘天地’라는, 고대 동아시아의 이분적 사고의 틀이 되는 관념 체계는 우주적 측면에서 보면 한 점 티끌도 안 되는 흙덩이와, 그 흙덩이를 아주 얇게 덮고 있는 보잘것없는 공기덩이를 말하는 것에 불과하게 된다. 이 낡아빠진 개념은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까. 아예 그냥 폐기처분 해야 하는 것일까.

과연 새로운 인식의 지평에서 펼쳐지는 철학, 혹은 사고의 틀은 어떤 모습일까. “We do not realize what we have on Earth until we leave it.” 이라 했던 James Lovell의 말처럼, 우주선을 타든, 죽어서 비루한 몸을 빠져나가든, 우리도 지구를 떠나보지 않고서는 도저히 알지 못할지도 모른다. 이 책이 한 움큼의 글을 통해 전해주는 것 역시 그 자그마한 단서에 불과할 것이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은 손가락일 뿐, (우주비행사들이 뛰어놀다 온 바로 그!) 달은 아니기에. 혹여 ‘죽었다 깨어나면’ 나도 이런 경험이 가능할까 궁금한 사람은 다치바나 선생의 저서 『임사체험』(청어람미디어)을 보시라.  




 

 

 

 

 

 

 

 

蛇足 1. 인간 인식의 지평이 완전히 달라지는 체험을 하고 온 이들의 내면 의식은, 의외로 제대로 조사되거나 규명되지 않은 채 어물쩍 넘어갔다고 한다. 임무 수행 후 이루어지는 자세한 보고 과정은 대개 임무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진행되었을 뿐이고, 군인과 과학자들로 구성된 NASA라는 집단에서 이런 정신적이고 일견 신비적인 주제는 그들 서로 간에도 터놓고 이야기할 분위기가 아니었다. 결국 한창 우주계획이 활발하던 때로부터 20년 가까이나 지나 이루어진 다치바나 선생의 이 인터뷰가 우주비행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정신적 측면의 탐구로는 최초의 것이었다. 우주비행사들의 반응 또한, 이런 질문은 처음이라거나, 다른 비행사도 나 같은 생각을 하는 줄은 몰랐다는 식이었다고 한다. 이쯤 되면 미국 출판시장을 대상으로 한 영어판의 출간을 고려할 만도 했을 텐데 말이다. 어차피 인터뷰도 영어로 진행된 것이었으니 원고의 작성도 식은 죽 먹기였겠고...



蛇足 2. 이 책은 1981년 11월부터 『中央公論』에 연재되어 83년도에 책으로 나왔는데, 아무리 당시에 일본의 경제력이 욱일승천의 기세였다고는 하나, 다른 나라에까지 가서 곳곳을 누비며 취재 활동을 벌인다는 것은 역시 대단하다고 밖에는 말 할 수 없을 듯 하다. 무엇이 그로 하여금 태평양까지 건너게 하였을까. 우주의식의 탐구를 위해서는 태평양도 얕은 물웅덩이 정도에 지나지 않았던 것일까. 20년이 지나서야 겨우 번역본이 나오는 우리 풍토에서는 엄두도 못 낼 일이다.



蛇足 3. ‘회개’는 헬라스어 ‘메타노이아’의 번역어로, ‘나쁜 짓을 하고 나서 반성을 하면 천국에 갈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세계를 완전히 다른 시점으로 보면 신적 세계가 이미 지금 이곳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327쪽). 
 




 

 

 

2004-05-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