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대표하는 교양인(고양이…) 다치바나 선생은 우리나라에도 독서인들을 중심으로 워낙 많이 알려져서 새삼 소개가 필요치 않을 것이다(「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에서 밝힌 독서법이나 책 보관을 위한 건물, 소위 고양이 빌딩을 지은 이야기 등이 화제가 된 바 있다).

일본에서도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는 「도쿄대생은 바보가 되었는가」란 책에 자세한 사정이 설명되어 있기도 하지만, 이 책 「뇌를 단련하다」는 저자가 1996년 여름학기에 고마바에서 강의한 내용을 책으로 엮어 낸 것이다(중간에 『신조(新潮)』 誌 연재를 거쳐 단행본으로 출간된 것은 그로부터 4년 뒤인 2000년의 일이고). 

문제가 되는 도쿄대 강의를 하며 붕괴 직전에 이른 도쿄대생들의 지적 수준에 놀란 저자가, 그 원인이 되는 사회적, 교육적 원인을 통시적 측면에서 해부한 것이 앞의 책이라면 이 책은 그 실제 강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를, 강사 다치바나가 직접 작성한 보고서이다.
 
그 외에도 국내에는 아직 소개되지 않았지만 수강생들의 강의 결과물을 가공하여 책으로 낸 것들도 있으니, 상당히 생산적이고 창발적인 강의였던 셈이다(강의 하나로 너무 많은 것을 우려낸 것은 아닌지…). 
  
이렇게 그 태생이 같기에, 「바보가 되었는가」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다치바나 식 교양론이 여기에서도 수강생들에 대한 충고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어, 일단은 이것만으로도 배움의 세계에 본격적으로 첫발을 내디딘 대학생들에게 일독의 가치가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고교과정에서 이수과목의 축소(정확히 말하면 수능시험 반영과목의 축소)로 인해 그 전에 비해 경악스러울 정도로 기초 지식이 결여된 채로 대학에 들어오고, 장기적인 인생 목표보다는 점수에 맞춰 들어온 채, 입학하자마자 잠깐의 유흥적 일탈의 시기를 거쳐 곧장 고시니 자격증 취득 전선에 뛰어드는 지금의 대학생들에게는 구구절절 들려주고픈 내용 뿐이다. “강의는 제끼기를 위해서 존재한다”니 “유급을 권함” 같은, 얼핏 보기에 불량스러워 보이는 내용들도 말이다.
 
단답형 질문으로 평가된 단세포적 지식이 들어가는 대학을 결정할지는 모르지만, 정보의 창의적인 처리, 기획 능력 등 종합적인 능력은 전혀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 
 
이런저런 면에서, 이 글이 가장 필요한 사람은 아무래도 우리 ‘관악 이만 학우’들이 아닐까. 단 한번의 시험으로 얻은 과분한 특권에 안주한 채, “나는 도쿄대생입네”에 버금가는 “나는 서울대생입네”하는 자만에 빠져, ‘자기들이 전두엽이 미발달된 모자란 인간이라는 사실’도 모르면서 ‘가슴을 펴고 활보하고’ 다니는 ‘비대한 자존심 덩어리’들이 예나 지금이나 꽤 많이 있을 터이니. 

 

2004-05-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