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부의 수수께끼
정성호 / 사람과사람 / 1997년 6월
평점 :
절판



   해석의 가능성을 충분히 열어두는 텍스트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텍스트도 있다. 계몽의 의지를 가진 작가들은 대체로 해석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다. 미학적,조형적 관심보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앞설 때,  중층적 의미 구조는 미덕이기에 앞서 명쾌한 커뮤니케이션을 저해하는 소위 “소음(noise)”에 다름 아니다. 무릇 理性의 논리란 명쾌하고 삽상하게 구획된 의미를 기반으로 제 스스로의 지평을 확장시킨다. 의미란 칸을 나누고 구획하는, 구분의 원리의 산물이 아니었던가. 주체와 객체, 플러스와 마이너스, 음과 양, 선과 악, 여성과 남성, 육체와 정신 등 2항 대립 칸막이들의 무수한 자기 증식에 의해서 세계는 비로소 질서라는 이름 아래 포섭된다. 플러스냐 마이너스냐, 선이냐 악이냐는 등의 2항 대립에 의해서 코스모스를 정돈해 가는 이분법적 사고는 음양이론의 원리에서부터 디지털형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가 장구하다.


   그러나 언제나 중간은 있는 법,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것들이 반드시 존재하기 마련인 것이다. Yes도 아니고 No도 아닌 것, 검은색도 아니고 흰색도 아닌 것, 남성도 아니고 여성도 아닌 것,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것, 그런 어중간한 것들이 반드시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언어는 그런 어중간한 것들을 달가와 하지 않는다. 무지개의 색깔을 빨주노초파남보로 언어는 구분하지만 현실은 언어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 혼돈스럽게 존재한다. 어떤 무지개도 일곱 가지 색깔로 명쾌하게 칸막이지워지지 않았다. “빨주노초파남보”는 현실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이 개입된 언어일 뿐이다. 인간이 생각하는 현실은, 현실의 모습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현실이 그런 방식으로 있어 주었으면 하는 방식’으로 언어 속에 존재할 뿐이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는지 어땠는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인간은 언어를 통해 카오스의 세계를 명확한 질서의 공간으로 바꾸어 왔다.  그러나 인간의 언어가 아무리 세세한 의미의 차이- 뉘앙스를 발전시켜 왔다고 해도 언어로서 분류해낼 수 없는 영역들이 반드시 세상에는 존재하기 마련이다.


   인류학자 터너는 말한다. “경계성, 혹은 경계[문지방Threshold]에 있는 인간의 속성은 예외 없이 애매한 것이 특징이다. 이런 사람들의 자세는 평소 상태나 지위를 문화적 공간에 설정하는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있거나, 혹은 그것에서 빠져 나와 있기 때문이다. 경계에 있는 사람들은 이쪽에도 있지 않으며, 저쪽에도 있지 않다. 그런 까닭으로 그들의 애매하고 부정확한 속성은 사회적, 문화적 이행을 의례화하고 있는 많은 사회에서는 다양한 상징에 의해서 표현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경계성은 종종 죽음이나 자궁, 보이지 않는 것, 암흑, 암수동체, 황야, 그리고 일식이나 월식에 비유된다.”라고.( 『터부의 수수께끼』에서 재인용 )


   경계[문지방]에 있는 것들은 동일성의 체계와 질서의 세계를 혼란시키고 교란한다. 이런 까닭에 ‘분류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박해는 시작된다. 낮도 아니요, 밤도 아닌 저녁의 황혼 무렵은 온갖 도깨비가 우글거리는 시간이 된다. 발리섬에서는 황혼녘이면 악령이 지상을 배회한다고 해서 어린이들을 서둘러 집으로 돌아가게 했다던가.  모든 것이 혼연일체로 뒤죽박죽이 된 카오스는, 각기 개체로 명확히 분리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는 것, 어떤 것을 연속하는 그 유사물에서 잘라내서 차별화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分類의 논리이다. 이렇게 해서 다른 것으로부터 절단된 개체는 그 자체로서의 고유성과 성스러움을 획득하게 된다. 성스러운 것에는 아무런 흠이나 결점이 없는 완전한 경우에 한해서 청정성(淸淨性)이 부여된다. 반대로 고유성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불순하고 불결하다고 여겨진다. 즉, 다른 물체나 카테고리와 교차하고 혼재하는 것은 모두 부정한 것으로 취급되며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로 여겨진다. 이것이 바로 터부가 되는 것이다. 문지방은 경계와 경계가 만나는 곳이므로 분류의 체계를 위협하는 곳이다.  이곳을 지나치기 위해서는 의식이 필요하다. 불순함을 성스러움으로 전화시키고 독성을 중화시키는 통과의례(passage rite), 푸코가 말하는 감옥, 병원, 학교와 같은 감시의 기제들은 근대성이라고 하는 순수(?)의 세계를 위협하는 것들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통과의례로서의 체계라고 이해할 수는 없을까. 경계[문지방]에 있는 자들을 따로 관리,통제하고, 가능하다면 기존의 체계에 편입시키기 위한 기제, 거기엔 막대한 고통의 비용이 지불된다.

2. 문지방에 앉은 자, 너의 정체를 밝혀라?

   더러움(그것이 물질적인 것이든 관념적인 것이든)에 대한 혐오의 이유가 악취나 구역질과 같은 生理的 차원에 있다면 별 문제가 없다. 물론 위생학적,생리적 차원에서의  더러움 대한 규정이 곧바로 더러움을 혐오해야 한다는 당위로까지 이어질 수는 없다. 생리적인 차원의 설명도 때로는 상당 부분을 문화적인 면과 연관 하에서 온전한 설명이 가능할 수 있다. 가령 함석을 손톱으로 긋는 소리를 모든 인류가 공통적으로 혐오할 수 있고, 그 소리에 구역질까지 느끼는 생리적 반응을 보일 수 있지만,  食人의 풍습은 어떤 특정 문화권에서만 혐오의 대상인 것이지, 식인의 풍습 자체가 種으로서의 인류 공통의 구역질을 자아내는 것은 아니다. 일견 본능적인 것으로만 알고 있는 ‘구역질의 시스템’도 따지고 보면 상당 부분 문화에 의해서 무의식적으로 규정된 것일 때가 허다하다. (食人의 풍습, 그 자체가 도덕적 보편성을 가지느냐는 도덕론자의 항변은 범주 착각의 오류이다. 구역질이 선천적인 것이냐 문화적인 것이냐, 아니면 일정 부분 선천적이면서도 또 한편으론 일정 부분 문화적인 것이냐를 따지는 데에 문제의 핵심이 있다)


    우리는 아무런 합리적 근거나 냉정한 사유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어떤 대상에 대해서 막연한 혐오의 감정을 가질 수 있다. 혐오는 단순히 주관적인 감정상,체질상의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혐오의 대상쪽에서 볼 때는 존재의 死活이 걸린 생존권 차원의 문제일 수도 있겠다. 어두움은 존재에겐 하나의 위협이요 장애라는 것은 인정할 수 있디만, 어두움을 상징하는 ‘검정색’마저도 하나의 위협일 수는 없다. 검정색이 하나의 위협이라는 가정을 반성없이 받아 들일 때 우리는 인종차별이라는 예고된 길을 갈 수밖에 없다. 물론 건강한 살은 희고, 시체는 거무튀튀하기 마련이지만 그렇다고 검정색이 부패와 죽음과 동일시될 수는 없다. 검정색이 부패와 죽음과 연관된다고 할 때, 억압의 상징 체계가 생겨나는 것이 아닌가. 이럴 때, 검정색으로부터 ‘부패와 죽음’이라는 불필요하게 덧생긴 잉여의 의미를 걷어내고 문지방으로부터 오염의 의미를 걷어내는 작업은 비로소 억압에 저항한다는 정치적 의미를 가진다.


    대체적으로 무엇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들은 서러울 수밖에 없다. 남자도 아니요, 여자도 아닌 양성소유자는 남성과 여성으로 구획된 분류체계 속에서는 극심한 소외를 겪을 수밖에 없다. 성서의 「레위기」는 짐승이면서 새처럼 하늘을 나는 박쥐, 새이면서도 날지 못하는 타조, 육지와 수중에서 동시에 생활하는 개구리, 포유류이면서도 수중 생활을 하고 알을 낳는 오리너구리 등 애매한 양의적 경계상의 동물들이 터부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문지방에 앉지 말라’는 말은 한국인의 것만이 아닌 듯싶다. 백인이면 백인이고 흑인이면 흑인이어야지 혼혈아는 불순하다는 관념도 이런 터부의 논리적 시스템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고체면 고체고 액체면 액체이어야지 gel상태의 끈적끈적함, 느물느물거림. 미끈미끈함, 질척질척함은 기분 나쁘다. 물컹한 것을 밟을 때의 불쾌감은 어떤 한 개인의 독점적인 느낌은 아닐 것이다. <사람들 사이에 있고 싶었다. 양쪽에서 돌이 날아왔다>라는 어떤 이의 싯구는 문지방에 있는 자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혐오의 감정을 재치있게 형상화해주고 있다. 문지방에 앉아 있는 자들에게 우린 이렇게 주문한다. <너의 정체를 밝혀라>라고. 그러나 이런 주문은 그 자체로 하나의 억압이다. <너의 정체를 밝히라>는 주문은 실상, <너의 정체를 기존의 분류 체계의 틀에 끼워 맞추어 보아라>라는 주문과 다르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