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31 매일 시읽기 94일
그래도 사랑해
- 행복한책읽기
아들 사랑해
내 인생의 애물단지 그렇지만...
장난기 드글드글한 네 두 눈도
사랑해
베베거리며 떨어대는 네 입도
사랑해
찰떡 같이 쫀득쫀득한 네 볼도
사랑해
너무 짧아 소매 넘치는 네 두 팔도
사랑해
짤막해서 웃기고 안쓰런 네 손가락도
사랑해
언제나 불룩 솟아 있는 네 배도
사랑해
오동통하고 탱글탱글한 네 엉덩이도
사랑해
튼실하고 탄탄한 네 허벅지도
사랑해
알통이 불끈 솟는 네 종아리도
사랑해
방바닥을 쿵쿵 찍어대는 네 두 발도
사랑해
엄마는 네 모든 걸
사랑해
그러니까 말썽 좀 그만 피워!!!
그런 너도 또또 사랑해^^
2020년 마지막날 시는 무엇을 읽고 쓸까. 그제 도착한 책 김소영 에세이 <<어린이라는 세계>> 를 보고 떠오른 것이 6년 전 내가 쓴 저 글이었다.
나의 아들은 뱃속에서부터 나를 힘들게 한 아이였다. 힘듦의 종류와 강도만 다를 뿐, 이 아이는 해마다 내게 과업 같은 숙제를 내민다. ˝엄마, 이런 나도 감당이 되나요?˝ 약을 올리듯. 나는 아이를 낳기 전부터 믿는 바가 있었다. ˝신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아이를
주신다˝고. 신은 믿지 않지만, 오래 전부터 회자되어온 저 말은 믿었고 저 말에 기대 지금껏 살고 있다. 나를 아는 지인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나 같으면 감당 못해. 너니까, 언니니까 가능해. 과연?
올초 코로나19가 터졌을 때만 해도 사스나 메르스 때와 비슷하리라 여겼다. 개학을 못하고 학교를 못 가는 사태가 이렇게까지 장기화되리라곤 꿈에도, 정말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 2020년 상반기는 식구들 삼 시 세끼 챙기고 온라인 수업에 당사자도 엄마도 적응하는 데 에너지를 소비한 듯하다. 내가 숨을 고르고 정신을 차린 건 한여름이 훌쩍 지나 선선한 바람이 찾아들 때쯤이었을 것이다.
인생에도 육아에도 이른바 ‘고비‘라는 것이 있다. 어떤 고비가 닥칠 때마다 그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어 준 것 중 하나가 책이었다.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라는 말을 워즈워스의 시에서 처음 발견한 날부터 내 삶의 경구처럼 속에 간직하고 살았다. 어른들이 어린이를 폄하하는 시선들이 내게는 늘 불편했다. 왜 라는 질문을 던지면 ˝쓸데없는 소리˝라는 핀잔을 듣기 일쑤였다. 그랬기에 나는 어린이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어른으로 크고 싶었다.
무너졌다. 내가 아들을 키우면서 알게 된 사실은 바람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 공부가 필요하다는 사실이었다. 다른 아이는 다르게 대해야 하고,
다르게 대하려면 왜 다른지부터 알아야 한다는 사실이었다. 그러나 육아서나 심리서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절대원칙이 있다. 아이를 있는 그대로
응시하기. 있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하기. 저 시는 그런 마음에서 탄생한 것이다. 저 시를 쓴 날로부터 6년이란 시간이 흐른 지금, 놀랍게도 아들은 저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덩치만 커졌을 뿐.
˝어린이라는 세계는 우리를 환대한다는 사실이다. 우리에게 ‘어린 시절‘이라는 공통점이 있어서인지, 어린이들의 진솔한 모습 때문인지 모르겠다.
어린이라는 세계가 늘 우리 가까이, 우리 안에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확실한 건 어린이에 대해 생각할수록 우리 세계가 넓어진다는 것이다.˝ (들어가며 8)
나의 아들은 내가 절대로 알려고 하지 않았을 세상을 들여다보게 해주는 ‘어린이‘다. 이 아이 덕에 나의 세계가 넓어진다는 사실에 흐뭇해하며 의기양양해하던 때가 있었다. 코로나19는 그 득세도 꺾어 버렸다. 심기일전하는 마음으로 <<어린이라는 세계>>를 찬찬히 읽을 예정이다. 어린이의 세계를 들여다보는 일은, 나와 숱한 타인의 세계를 들여다보는 일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거기에 ‘어린이‘의 위대함이 깃들어 있다.
‘사랑해‘는 언제 들어도 좋은가. 식상할 때도 오글거릴 때도 있지만 그런 느낌조차 사랑으로 덮는 한 해를 만들어볼까.
모두들 해피뉴이어!! 건강하세요!!

